• 제목/요약/키워드: mouse plasma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s of red ginseng on gut, microbiota, and brain in a mouse model of post-infectious irritable bowel syndrome

  • Yu, Seonhye;Chun, Eunho;Ji, Yeounjung;Lee, Young Joo;Jin, Mirim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706-716
    • /
    • 2021
  • Background: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the most commo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chronic abdominal pain and bowel habit changes. Although diverse complicated etiologies are involved in its pathogenesis, a dysregulated gut-brain axis may be an important factor. Red ginseng (R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s proven to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mprove brain function; however, these effect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IBS. Methods: Three-day intracolonic zymosan injections were used to induce post-infectious human IBS-like symptoms in mice. The animals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phosphate-buffered saline (CG) or RG (30/100/300 mg/kg) for 10 days. Amitriptyline and sulfasalazine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Macroscopic scoring was performed on day 4. Visceral pain and anxiety-like behaviors were assessed by colorectal distension and elevated plus maze and open field tests, respectively, on day 10. Next-generation sequencing of gut microbiota was performed, and biomarkers involved in gut-brain axis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Compared to CG, R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acroscopic score, frequency of visceral pain, and anxiety-like behavior in the IBS mice. These effects were comparable to those after sulfasalazine and amitriptyline treatments. Moreover, R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beneficial microbes, including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reuteri, and Parabacteroides goldsteinii. RG significantly suppressed expression of IL-1β and c-fos in the gut and prefrontal cortex, respectively. Further, it restored the plasma levels of corticosterone to within the normal range,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adrenocorticotropic hormone. Conclusion: RG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option for the management of human IBS.

Characteriz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White Ginseng Extract and Selegiline Using Triple Quadrupole-Mass Spectrometry

  • Cho, Pil Joung;Liu, Kwang-Hyeon;Song, Im-Sook;Song, Kyung-Sik;Lee, Sangkyu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0권2호
    • /
    • pp.61-65
    • /
    • 2019
  •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Meyer) is a traditional herb used across the world to treat various diseases. Although, red ginseng is this herb's most famous product and has demonstrated diverse pharmacological activities, white ginseng (WG) is another ginseng product that is made fresh and individually regulated in Eastern Asia. Red and white ginseng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distinct processing steps despite originating from the same plant, and the drug interactions induced by WG have not been well documented. Selegiline is a selective monoamine oxidase (MAO) inhibitor used as an antidyskinetic and antiparkinsonian agent. Here we developed a quantification method for selegiline in mouse plasma using a C8 stationary phase in triple quadrupole-mass spectrometry (LC-MS/MS) with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The validated LC-MS/MS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interaction with WG extract (0.1 g/kg/day) pre-administered for 4 weeks. The $AUC_{0-240min}$ of selegiline was altered due to a decrease in the absorption of selegiline with repeated administration of WG extract.

DNCB로 유도한 아토피 유사 피부염에 지모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Extract on Atopic-Dermatitis like Skin Lesions in DNCB-induced Balb/c Mice)

  • 장유미;김용웅;김미려;임혜선;박건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6
    • /
    • 2023
  • Under constant environmental pollution, the incidence of Atopic Dermatitis (AD) caused by air pollutants and allergens has increased. AD is an allergy inflammatory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pruritus, eczema, and skin dryness. In herbal medicine, Anemarrhena asphodeloides (Anemarrhenae Rhizoma; AR) has been utilized to treat Alzheimer's disease, osteoporosis, hypertension, and inflammation. The purpose of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AR in a mouse model of 2,4-dinitrochlorobenzene (DNCB)-induced AD-like skin lesions. After acclimatization for 5 days, the mice (6-week-old, male Balb/c)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6/group): NC (normal control), DNCB (control), Dex (5 mg·kg-1, p.o.), AR100 (100 mg·kg-1, p.o.), and AR300 (300 mg·kg-1, p.o.). On days 1 and 3, 1% DNCB was applied to the skin and ears. After 4 days, 0.5% DNCB was applied once every 2 days for 2 weeks. Then, skin and ears 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EASI); skin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prostaglandin E2 (PGE2) levels; and plasma immunoglobulin E (IgE) levels were examined. The AR groups showed lower EASI, skin and ear thickness, mast cell count, and IgE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s. Moreover, AR reduced iNOS, COX-2, and PGE2 levels. Therefore, AR possesse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can improve skin damage, indicating its therapeutic potential against AD.

표고버섯균사체의 사염화탄소 및 알콜로 처리된 흰쥐 간기능 보호 효과 (Mycelial Culture of Lentinus edodes Alleviates Rat Liver 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and Ethanol)

  • 하영래;김영숙;안채린;권정민;박철우;하영권;김정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3-141
    • /
    • 2010
  • LED의 간 보호 기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CCl_4$ 및 ethanol로 SD rat에 간독성을 유발한 다음, LED를 처리하였다. LED의 간 기능 보호효과는 간장치료제인 Silymarin과 비교하였다. $CCl_4$로 간 독성을 유발한 경우, LED는간의 항산화효소인 SOD, catalase, GSH peroxidase 효소활성의 항진을 유도하였고, 산화물인 TBARS의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간 손상의 지표인 혈장의 GOT, GPT 및 LDH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Ethanol로 간 독성을 유발한 경우 LED는 간의 SOD, catalase, GSH preoxidase 효소활성 및 GSH 함량을 항진시켰고, 총 cholesterol, triglyceride 및 TBARS의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ethanol 대사에 관여하는 ADH 효소 활성을 증진시켰고, ROS 생성에 관여하는 CYP2E1 효소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장의 GOT, GPT 및 LDH 효소활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LED는 DPPH 및 mouse liver mitochondrial system에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LED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산화효과에 의한 간 기능 보호효과를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소음인(少陰人)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이 흰쥐의 뇌(腦)와 간조직(肝組織)의 항산화(抗酸化) 기전(機轉)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Antioxidative Effects of Sipyimiguanjungtang and Osuyubujayijungtang, Korean Traditional Prescriptions for Soum Constitutes, in Brain and Liver of Rat)

  • 정봉연;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7-250
    • /
    • 1999
  • 소음인(少陰人)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과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의 항산화(抗酸化) 효능(效能)을 검증(檢證)하기 위해, 약재(藥材)의 항산화력(抗酸化力)을 측정(測定)하였으며, 흰쥐에 투여(投與)하여 뇌(腦)와 간(肝) 조직(組織)의 항산화력(抗酸化力) 증강(增强) 효과(效果)를 실험(實驗)한 결과 유의성(有意性) 있는 성적(成績)을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과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의 화학적(化學的) 항산화력(抗酸化力)을 검증(檢證)한 결과(結果) 비교적 높은 항산화(抗酸化) 활성(活性)을 보여주었다. HepG2 세포주(細胞株)와 적혈구(赤血球)를 이용한 항산화력(抗酸化力) 검증(檢證)에서도 높은 활성(活性)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은 강한 수용성 항산화력제(抗酸化劑))로 알려진 vitamin C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실험용(實驗用) 흰쥐에게 탕제(湯劑) 추출물(抽出物)을 4주간(週間) 투여(投與)한 뒤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과 GOT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결과 탕제(湯劑) 비투여군(非投與群)과 유의적(有意的)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아 탕제(湯劑) 투여(投與)에 의한 독성(毒性)은 없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활성산소(活性酸素) 발생제(發生劑)인 2.2'-azobis(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AAPH)로 산화적(酸化的) 손상(損傷)을 유발(誘發)한 실험용(實驗用) 흰쥐에서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 투여군(投與群)은 혈장(血漿) 총항산화력(總抗酸化力), 혈장(血漿) 지질과산화(脂質過酸化)가 억제(抑制)되었으며, 혈장(血漿) thiol 그룹의 감소(減少)도 억제(抑制)되었으나.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 투여군(投與群)에서는 유의적(有意的) 차이(差異)가 나타나지 않았다.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 투여군(投與群)은 간(肝) 및 뇌조직(腦組織)에서 AAPH로 유도(誘導)된 산화적(酸化的) 손상(損傷)을 유의적(有意的)으로 억제(抑制)하였으며, 체내(體內) 중요(重要) 항산화(抗酸化) 물질(物質)인 glutathione을 보호(保護)하여 체내(體內) 항산화(抗酸化) 능력(能力)을 증진(增進)시킨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 투여군(投與群)은 제한적(制限的)인 효과(效果)만을 보였다.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은 항산화(抗酸化) 효과(效果)가 높은 처방(處方)으로 볼 수 있는 바 임상(臨床)에서 노화방지(老化防止)에 널리 활용(活用)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사염화탄소 유발 급성 간독성 생쥐모델에서 산양삼 에탄올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Wild Simulated Ginseng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Acute Hepatic Injury in Mouse)

  • 이수민;박선영;장기석;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701-71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총항산화능 및 DPPH radicals 소거활성도를 통하여 항산화능을 확인한 산양삼 에탄올 추출물이 사염화탄소 투여로 급성 손상이 유도된 생쥐의 간에 대하여 보호 효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생리적 지표물질로 혈장 지질, GPT 활성, 혈장과 간의 TBARS 및 항산화효소 활성, 혈액 백혈구의 DNA fragmentation 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산양삼의 DPPH radicals 소거능은 76.85 ${\pm}$ 1.06%, IC50은 33.3 ${\mu}g$/mL였으며 총 항산화능은 2.13 ${\pm}$ 0.06 mmoL/mg으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아스코르브산 (96.45 ${\pm}$ 0.07%, IC50 = 16.5 ${\mu}g$/mL, 3.63 ${\pm}$ 0.06 mmoL/mg)과 BHT (95.40 ${\pm}$ 0.71%, 3.12 ${\pm}$ 0.02 mmoL/mg) 보다는 낮았지만 천연물질로써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장기 무게 및 식이 섭취량은 산양삼 추출물 투여 및 사염화탄소 처치 여부에 따라서 어떤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혈장의 GPT와 혈중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정상대조군에 비해 사염화탄소단독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산양삼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사염화탄소단독 투여군 (84.5 ${\pm}$ 23.0 mg/dL)이 정상 대조군 (140.6 ${\pm}$ 30.3 mg/dL)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산양삼 추출물 투여군 (130.68 ${\pm}$ 31.33 mg/dL)은 정상대조군과 같은 수준이었다 (p < 0.001).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의 간조직에서 TBARS는 정상대조군 (N)에 비해 28.64%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산양삼 추출물 투여군은 정상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p < 0.001) 적혈구내의 TBARS는 세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의 SOD의 활성은 산양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적혈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적혈구내 GPx 활성은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20.1%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산양삼 추출액을 투여받은 군은 정상대조군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사염화탄소 투여군에서 혈장 백혈구의 tail DNA, tail length, tail moment 모든 값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84.4%, 98.8%, 123.7% 증가하였으며, 산양삼 투여군에서는 이 모든 수치가 대조군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p < 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5일간 산양삼 에탄올 추출물을 미리 투여한 후 사염화탄소로 급성 간 손상을 유도하였을 때 혈 중 콜레스테롤 대사를 개선하고, 간의 지질 과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간의 SOD와 적혈구 GPx의 효소 활성을 대조군 이상으로 유지시키고,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DNA를 보호하는 등의 일부 생리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런 산양삼의 항산화 활성의 작용 기전에 대하여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 않아 추후보다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reptozotocin으로 당뇨가 유도된 C57BL/6 생쥐 지방조직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이상발현 (Altered Gen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Adipose Tissue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C57BL/6 Mice)

  • 이용호;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25-831
    • /
    • 2013
  • 본 연구를 통하여 streptozotocin 주사에 의한 당뇨 유발이 일반식이와 고지방식이로 키운 C57BL/6 수컷생쥐의 지방조직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네 그룹의 당뇨생쥐(일반식이 또는 고지방식이로 키운 16주령 또는 26주령 생쥐)와 네 그룹의 비당뇨 대조군을 포함한 모두 73마리의 생쥐가 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지방조직에서의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와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TNF-${\alpha}$ mRNA는 당뇨 유발에 의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16주령의 일반식이 생쥐의 경우 비당뇨 대조군에 비해 당뇨가 유발된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MCP-1 mRNA 발현은 STZ처리에 따른 당뇨유발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16주령 고지방식이의 당뇨 실험군에서의 발현이 비당뇨 대조군에서의 발현량의 26%에 해당할 정도로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MCP-1의 발현은 인슐린 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실험결과는 당뇨 모델 생쥐에서 지방조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이상발현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비만, 인슐린저항성, 및 당뇨에서의 저준위 염증상태와 지방조직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조절의 기작을 밝히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Ginsenoside Rb1 ameliorates liver fat accumulation by upregulating perilipin expression in adipose tissue of db/db obese mice

  • Yu, Xizhong;Ye, Lifang;Zhang, Hao;Zhao, Juan;Wang, Guoqiang;Guo, Chao;Shang, Wenb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199-205
    • /
    • 2015
  • Background: Ginsenoside Rb1 (G-Rb1), the major active constituent of ginseng,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and exerts antidiabetic effects. We tested whether the insulin-sensitizing and antidiabetic effects of G-Rb1 results from a reduction in ectopic fat accumulation, mediated by inhibition of lipolysis in adipocytes. Methods: Obese and diabetic db/db mice were treated with daily doses of 20 mg/kg G-Rb1 for 14 days. Hepatic fat accumul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liver weight and triglyceride content. Levels of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were used to evaluate insulin sensitivity in db/db mice. Lipolysis in adipocytes was evaluated by measuring plasma-free fatty acids and glycerol release from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G-Rb1. The expression of relevant genes was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Results: G-Rb1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alleviated hepatic fat accumulation in obese diabetic db/db mice, and these effects were accompanied by reduced liver weight and hepatic triglyceride content. Furthermore, G-Rb1 lowered the levels of free fatty acids in obese mice, which may contribute to a decline in hepatic lipid accumulation. Corresponding to these results, G-Rb1 significantly suppressed lipolysis in 3T3-L1 adipocytes and upregulated the perilipin expression in both 3T3-L1 adipocytes and mouse epididymal fat pads. Moreover, G-Rb1 increased the level of adiponectin and reduced that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obese mice, and these effects were confirmed in 3T3-L1 adipocytes. Conclusion: G-Rb1 may improve insulin sensitivity in obese and diabetic db/db mice by reducing hepatic fat accumulation and suppressing adipocyte lipolysis; these effects may be mediated via the upregulation of perilipin expression in adipocytes.

H2O2/HCl 처리한 Ti 임플란트의 생체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activity of Titanium Implant Treated with H2O2/HCl Solution)

  • 유재선;권오성;이오연;이민호;송기홍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53-360
    • /
    • 2005
  • Surface treatment play an important role in nucleating calcium phosphate deposition on surgical Ti impl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precipitation of apatite on cp-Ti and Ti alloys are affected by surface modification in HCl and $H_2O_2$ solution. Specimens were then chemically treated with a solution containing 0.1 M HCl and 8.8M $H_2O_2$ at $80^{\circ}C$ for 30 mins, and subsequently heat-treated at $400^{\circ}C$ for 1 hour. All specimens were immersed in the HBSS with pH 7.4 at $36.5^{\circ}C$ for 15 days, and the surface was examined with XRD, SEM, EDX ana XPS. Also, pure Ti, Ti-6Al-4V and Ti-6Al-7Nb alloy specimens with and without surface treatment were implanted in the abdominal connective tissue of mice for 4 weeks. All specimens chemically treated with HCl and $H_2O_2$ solution have the ability to form a apatite layer in the HBSS which has inorganic ion composition similar to human blood plasma.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brous capsule surrounding the specimens implanted in the connective tissue was $38.57\;{\mu}m,\;62.27\;{\mu}m\;and\;45.64\;{\mu}m$ in the cp-Ti, Ti-6Al-4V ana Ti-6Al-7Nb alloy specimens with the chemical treatment respectively, and $52.20\;{\mu}m,\;75.62\;{\mu}m\;and\;66.56\;{\mu}m$ in the commercial specimens of cp-Ti, Ti-6Al-4V and Ti-6Al-7Nb without any treatmen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indicate that the chemically treated cp-Ti, Ti-6Al-4V ana Ti-6Al-7Nb alloys have better bioactivity and biocompatibility compared to the other metals tested.

Fibricola seoulensis에 실험 감염된 마우스 및 흰쥐 소장의 병리조직학적 연구 (A Histopathological Study on the Intestine of Mice and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by Fibricola seoulensis)

  • 이순형;유병훈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58-72
    • /
    • 1985
  • Fibricola seoulensis는 1964년에 서울에서 잡은 집쥐의 소장에서 처음으로 관찰하여 기록한 이래, 우리나라 내륙에서 집쥐사이에 널리 만연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 후 인체 감염례가 보고되었고, 국내에서 뱀, 개구리, 올챙이 등이 제 2 중간숙주 또는 운반숙주로서 피낭유충을 보유하여 인체의 감염원임이 밝혀진 바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존 훈련으로 인한 인체 감염 15례가 집단으로 관찰 보고되었다. F. seoulensis를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마우스와 횐쥐의 십이지장을 위와 연결부에서 1cm및 5cm 부위에서 조직절편을 만들어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소견은 다음과 같다. 1. 십이지장의 병변에서 마우스와 횐쥐의 숙주에 다른 차이나 십이지장 내에서의 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2. 충체는 감염 1일 째부터 점막 융모 사이에 깊숙히 파고 들어 구흡반이 기저부의 점닥 상피세포틀 물고 있었다. Tribocytic organ은 감염 3일째부터 상피세포층을 파괴하고 융모의 기질층으로 파고 들어가고 있었다. 충체의 전반부는 복측 만곡을 이용하여 융모를 감싸면서 융모 사이에 끼어 충체의 장벽 부착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점막의 병변은 감염 3일 째부터 관찰되었다. 점막 융모의 병변으로는 높이의 감소, 끝의 둔화, 부종에 의한 폭의 증가, 융모의 유착 또는 불균형 배열 등이었고, 상피세포의 결손, 위축 및 편평화가 관찰되었다. 기질충의 소견으로는 부종, 모세혈관의 충혈, 현미경적 출혈, 임파관의 확장, 염증세포 침율등이 었고, 연중세포로 형질세포, 임파구, 호산구가 관찰되었다. 염증세포가 감염 부위의 점막하층에서도 관찰되었고 근육층과 장막층에까지 파급된 경우도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