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산 나자스말속(Najas L.)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ic study of Najas L. (Hydrocharitaceae) in Korea)

  • 나혜련;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6-140
    • /
    • 2012
  • 국내에 분포하는 나자스말속(Najas L.) 분류군의 형태적 변이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의 식별형질을 검토하기 위하여 32개 정량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나자스말속의 분류군에서 잎의 너비, 엽초의 모양, 엽연의 거치수, 약실의 수, 한 줄에 배열하는 종자의 그물눈 수와 길이의 비 등이 유용한 식별형질로 파악되었다. 자웅이주인 민나자스말(N. marina)은 잎과 줄기, 수꽃과 암꽃, 열매가 대형으로서 자웅동주인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자웅동주인 분류군들 중에서 나자스말(N. graminea), 실나자스말(N. gracillima), 동아나자스말(N. orientalis)은 영양 형질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지만, 톱니나자스말(N. minor)과 큰톱니나자스말(N. oguraensis)은 수꽃에 있는 약실의 수에 의해서만 구분되었다.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 Miki) 군집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 (Pho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caespitosa Miki Populations at the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이상룡;이성미;최청일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39-346
    • /
    • 2002
  •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 Miki)군집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를 1998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포기거머리말의 형태적인 형질(식물체 길이, 잎 길이, 엽초 길이, 잎 너비와 잎 수),생식 형질(불염포, 육수화서와 종자)의 수와 크기, 생육밀도, 생물량과 이화학적 특성 (수온, 영양염 농도)을 관측하였다. 형태적인 형질은 엽초를 제외하고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식물체길이는 수온에 따라 명확한 년 순환을 나타내었다. 영양지는 지속적으로 출현하였으나 생식지는 1월 중순부터 4월초까지 적은 수만이 출현하였다. 포기거머리말의 개화기는 2월 중순부터 시작되었으며, 4월초에 성숙한 종자가 출현하였다. 해수내의 질산염과 인산염의 농도는 계절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암모니아의 농도는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식물체의 형태적인 형질과 이화학적인 형질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포기거머리말 생식 단계와 생활사는 수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덕산항에서 포기거머리말군집의 생육밀도와 지상부 생물량은 각각 $511.6\pm{25.6}\;shoots\;m^{-2}$$413.4\pm{19.8}\;g\;dry\;wt\;m^{-2}$로 추산되었다.

한국산 둑중개속 어류 개체군들의 형태 변이 및 AFLP 분석을 통한 유전 변이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Genetic Variations Inferred from AFLP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of Cottus Populations (Scorpaeniformes: Cottidae) in Korea)

  • 변화근;김근식;송하윤;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7-75
    • /
    • 2009
  • 한국의 Cottus 속 어류 9개체군들의 형태 및 유전 변이를 서로 비교하였다. 형태변이 분석은 계수, 계측 형질 및 수정난의 크기를 분석하였으며, 유전 변이 분석은 AFLP fingerprinting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 동해로 흐르는 하천의 둑중개 집단은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강 또는 하천의 둑중개 집단과 계측형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계수형질과 수정난 크기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배봉천의 Cottus sp. 집단은 계수형질에 있어 한둑중개와 비슷하였고, 배지느러미의 계측형질과 수정난의 크기는 둑중개와 비슷하였다. AFLP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를 추정한 결과 둑중개 집단간 0.110~0.221로 나타났다. 한둑중개 집단과 둑중개 집단간 0.542~0.621로 나타났고, 배봉천의 Cottus sp. 집단과 둑중개 집단 간 0.222~0.304로 나타났다. UPGMA dendrogram결과 Cottus sp. 집단은 다른 둑중개 집단과 분리되었다.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 (Pho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marina L. Population at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이상룡;이성미;김정하;최청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70-77
    • /
    • 2003
  •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거머리말(Zostera mat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를 1998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거머리말의 계절에 따른 생육관계, 생육밀도, 생물량과 환경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괴내 영양염 농도는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질산염은 하계에 낮았으나, 암모니아는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거머리말 생육지에서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하계보다 동계에 높게 나타났다. 영양지의 길이는 54.2(3월0~100.0cm (10월), 생식지의 길이는 97.8(3월)~213.0 cm(7월) 범위로 다양하였으며, 생식지는 3월 중순부터 9월초까지 출현하였다. 생식지의 개화는 수온이 12$^{\circ}C$부터 시작하여 21$^{\circ}C$까지 지속되었으며, 열매 성숙은 수온이 22~$25^{\circ}C$범위에서 나타났다. 영구 반형구(0.25$m^2$)내의 생육밀도는 38~136(평균 80.3$\pm$6.5), 생물량은 190(10월)~922 g dry wt m$^{-2}$ (6월)로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식물체의 형태적 형질과 이화학적 요인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계절에 따른 수온의 변화는 거머리말 생식지의 생육단계와 영양지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집수형상디스크립터와 지체시간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 of catchment shape descriptors to lag time)

  • 김주철;윤여진;김재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9-203
    • /
    • 2005
  • 지체시간은 중요한 수문학적 응답특성 중의 하나로서, 유역의 형태적 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유역의 형상은 집수평면에 대한 각종 형상디스크립터를 통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집수평면에 대한 새로운 형상지수로서 Moussa(2003)에 의하여 제안된 등가타원의 기하학적 특성을 지체시간 해석에 적용하였다. 강우-유출 관측자료의 지체시간은 Nash(1960)의 적률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우리나라의 3개 유역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유역의 형태적 특성과 지체시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류지역으로부터 하류지역까지 등가타원의 형상이 변환되어 가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등가타원을 기반으로 한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 a+b 및 $a+b+{\epsilon}OM$와 지체시간 사이에는 비교적 양호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등가타원의 형상은 하류방향을 따라 인의 형태로 접근해 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규칙한 평면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밀집도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 PDF

동해안 대게, Chionoecetes opilio의 크기조성 특징과 성숙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nd Gonad Maturity of Snow Crab, Chionorcetes opilio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임영수;이종하;이종관;이복규;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5-251
    • /
    • 2000
  • 1997년 12월부터 1998년 3월까지 경상북도 영덕~울진 인근 해역의 수심 170~250 m에서 채집된 대게, Chionoecetes opilio의 크기조성에 따른 생태학적인 특징과 성숙에 대해 연구하였다. 갑폭 조성에서, 암컷과 수컷의 주 출현개체군은 각각 70~80 mm (60.1%), 80~90 mm (64.2%) 체급군이었다. 갑장 및 갑폭의 관계 (암컷 CL=0.951 CW+0.2033, 수컷 CL=0.9387 CW+2.0811)는 암수 모두 갑장에 비해 갑폭이 약간 끈 것으로 나타났으며, 갑폭과 체중의 관계 (암컷 BW=0.0123 CW$^{2.1693}$ , 숫컷 BW=0.0056 CW$^{2.3694}$)에서 체중의 변화는 동일 체급군에서 숫컷이 암컷보다 무겁게 나타났다. 또, 갑폭 64.9-96.0 mm에서 암컷의 평균 포란수(F=8.5285 CW$^{2.0498}$ )는 35,000~114,000개로 조사되었다. 갑폭에 대한 성숙개체 (암컷 외포란 및 난소 발달, 수컷 : vasa deferentia 관찰)의 비율은, 암컷의 경우 갑폭 54.2 mm 에서 약 50%, 갑폭 60.1 mm 이상에서는 100%였으며, 갑폭 42.3 mm 이하에서는 성숙개체가 관찰되지 않았다 수컷의 경우는 갑폭 58.8 mm, 72.0 mm 이상에서 각각 50%, 100%의 성숙개체 출현율을 나타냈으며, 갑폭 48.4 mm 이하에서는 성숙개체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밀어, Rhinogobius brunneus (Pisces: Gobiidae)의 성적 이형 및 수컷의 이형 (Sexual and Males Dimorphism of Rhinogobius brunneus (Pisces: Gobiidae))

  • 송호복;백현민;손영목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95-303
    • /
    • 2005
  • 밀어의 성적 이형과 수컷 사이의 이형에 대하여, 2005년 5월에 강원도 춘천시 서면 오월리의 지암천에서 채집한 개체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emale과 maleL의 체장 분포와 성비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males는 40 mm이하의 개체들이 대부분으로 female과 maleL에 비하여 소형 개체들이었으며, maleL : maleS의 비는 1 : 0.46이었다. Female(N=79)과 maleL(N=79)의 계측형질 중 18개 형질(SNL, AHD, PHD, ML, DL, MW, AHW, IFW, PHW, ED, HL, FDFL, SDFB, CFL, AFB, VFL, PFL, PFB)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이들 중 SNL, AHD, ML, DL, MW, AHW, IFW, PHW, HL, FDFL, CFL, PFB 등 12개 형질은 현저한 차이(P<0.001)를 나타내었다. Female(N=36)과 maleS(N=36)의 비교 결과 8개 형질(SNL, ML, DL, MW, HL, CR, VFL, PFL)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이들중 ML, DL, HL 등 3개의 측정 형질에서는 현저한 차이(P<0.001)가 있었다. Male(N=36)과 maleS(N=36)의 측정 형질 중 SNL, AHD, PHD, ML, DL, MW, AHW, IFW, PHW, HL, FDFL 등 모두 11개 형질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으며, 11개 형질 중 ML., DL, MW, AHW, HL, FDFL 등 6개 형질은 큰 차이(P<0.001)가 있었다.

Fractal analysis of mandibular trabecular bone: optimal tile sizes for the tile counting method

  • Huh, Kyung-Hoe;Baik, Jee-Seon;Yi, Won-Jin;Heo, Min-Suk;Lee, Sam-Sun;Choi, Soon-Chul;Lee, Sun-Bok;Lee, Seung-Py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1권2호
    • /
    • pp.71-78
    • /
    • 2011
  •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tile size for the fractal dimension of the mandibular trabecular bone using a tile counting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 Digital intraoral radiographic images were obtained at the mandibular angle, molar, premolar, and incisor regions of 29 human dry mandibles. After preprocessing, the parameters representing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trabecular bone were calculated. The fractal dimensions of the processed images were analyzed in various tile sizes by the tile counting method. Results : The optimal range of tile size was 0.132 mm to 0.396 mm for the fractal dimension using the tile counting method. The siz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morphometric parameters. Conclusion : The fractal dimension of mandibular trabecular bone, as calculated with the tile counting method, can be best characterized with a range of tile sizes from 0.132 to 0.396 mm.

제주도 및 낙동강산 은어군의 형태 측정학적 분석 (MORPHOMETRIC ANALYSIS OF PLECOGLOSSUS ALTIVELIS OF CHEJU ISLAND AND THE NAKDONG RIVER)

  • 김을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28-232
    • /
    • 1970
  • 제주도산 은어의 체형이 왜소한 것이 종족적 형질에 기인하여 별개의 어군에 속하는 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낙동강산과 형태 측정확적 견지에서 비교 분석하고 검정하였다. 표본은 1968년부터 1969년에 걸쳐 제주도 천지천(天地川)과 낙동강 지류의 밀양천(密陽川)산 은어를 수시로 채집한 것으로서, 체장과 두장의 측정치를 회귀법에 의한 공분산 분석으로 F-분포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1.023($n_1=1,\;n_2=42$)로 양 어군간에 유의성이 인정되며 등일 모집만의 어군으로 볼 수 있었다. 2) 낙동강산과 제주포산의 회귀 계수는 각각 b=0.167과 b=0.185 였으며 이들 양 회귀 계수간의 차에 있어서도 역시 유의성이 검정된다. 3) 결과적으로 제주도산 은어군의 체형이 왜소(倭小)한 것은 종족적 형질에서 기인된 것이 아니며, 필연 서식하천의 환경 조건의 영향에서 온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쉬땅나무속(장미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Sorbaria (Ser.) A. Braun in Asch. (Rosaceae))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0-247
    • /
    • 2018
  • 쉬땅나무속 분류군의 형태적 변이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의 식별형질을 검토하기 위해 정량적 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쉬땅나무속 분류군은 화서의 직립여부, 자방 및 골돌과 표면의 털 유무, 수술의 개수, 악편의 형태 등의 정성적 형질로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 결과, 소엽의 개수 및 크기, 화서의 너비, 악편, 화판, 골돌과, 종자의 크기 등의 정량적 형질 또한 이들 두 그룹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그룹 내에서는 Sorbifolia group (S. grandiflora, S. sorbifolia complex)의 경우, 측소엽의 크기와 엽맥의 수, 소엽 하면 내 선점 및 성상모의 개수, 화판, 골돌과의 크기 등의 형질이 유용한 식별형질로 파악되었으며, Kirilowii group (S. arborea complex, S. kirilowii, S. tomentosa complex) 내에서는 잎의 형질 중 정소엽과 측소엽의 크기 및 하면의 선점 및 성상모의 빈도 등이 분류군을 인식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속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결과는 추후 종 하 분류군을 포함한 쉬땅나무속 전체의 분류학적 재검토 및 분류학적 한계 설정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