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hronou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CT상 고혈관성 위용종으로 보이는 전이성 신세포암: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Manifesting as a Gastric Polyp on CT: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김현진;박범진;성득제;김민주;한나연;심기춘;이유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425-431
    • /
    • 2022
  •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이하 RCC)으로 인한 위전이는 매우 드물며, 모든 신세포암 사례의 0.2%에서 발생한다. 낮은 유병률로 인해 영상 소견은 아직 정확히 정립되지 않은 상태로 RCC로 인한 위전이는 영상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70세 여성에서 발생한 RCC의 위전이 사례와 영상 소견을 보고하고,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을 검토하여 영상 소견을 정리하였다. 위에 고조영 증강 용종이나 종괴가 새로 보이는 경우, 신세포암에 의한 전이암의 감별이 필요하다.

구강암 환자에서 발생하는 이차암의 임상적 특징 분석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ECOND PRIMARY CANCER IN ORAL CANCER PATIENTS)

  • 조세형;신정현;이의룡;박주용;최성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57-61
    • /
    • 2010
  • Objective: Second primary malignancy (SPM) that occur in various period and region ar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iorate long-term survival rate in patients who recovered from oral cancer. Researches such as chemoprevention are being tried to reduce occurrence of SPMs. Only if analysis of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ho develop SPM such as period, region and factors precedes, adequat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PM is possible.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clinical features of SPMs that have primary lesion in oral cavity. In this study, we analysis that occurrence rates, regions that happen, risk factors and effect to survival rates of 2nd primary malignancies in oral cancer patients. From this survey, we willing to collect basic data for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of SPM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39 patients of oral oncology clinic of National Cancer Center who had up to 2-years follow up records after surgical or radiological treatment due to squamus cell carcinoma of oral cavity were reviewed. In these patients, survey of occurrence rate of SPMs, duration, survival rate and risk factors about occurrence of SPMs such as history of smoking, body mass index, age, sex, stage of primary lesion and history of radiologic treatment were achieved. Results: There are 15 patients who developed SPM in 139 cases. The actual occurrence rate of SPM was 10.79% and SPM were more likely to occur in male patients with 11 male Vs 4 female patients. Median age of these patient is 61.47 within 32 to 74 range. The regions that develop SPM are oral cavities (2 cases), stomach (4 cases), esophagus (2 cases), lung (2 cases) and others (1 case each breast, larynx, cervix, liver and kidney). In addition, metachronous cancers were 11 cases which happened more common than 4cases of synchronous cancers. Surveys of risk factors that relate to development of SPMs, such as sex, age, history of radiologic treatment, body mass index, history of smoking and stage of primary disease were done. Among them, factor of sex is only appear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but rest are not significant in statistically. Conclusion: Occurrence rates of SPMs were reported from 10% to 20% by precede study. In this study, occurrence rate of SPMs is 10.79% that is similar to results of precede research. In comparison of 5-yr survival rates of groups that develop SPMs or no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Present treatment modalities of SPMs are surgical operation, radiotherapy, chemotherapy and combination of these modalities. In choosing the treatment modality, we must consider the first treatment modality, region of primary disease, region of SPMs and general conditions of patient. Because development of SPMs have big effect on prognosis, prevention of SPMs must regard to important objective of treatments in patients of SCCa in oral cavity.

흉부 세침 흡인 생검 후 발생한 폐암의 이식성 체벽 전이 2례 (Implantation Metastasis of Lung Cancer to Chest Wall after Percutaneous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 정승묵;원태경;김태형;황흥곤;김미영;정원제;임병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6호
    • /
    • pp.718-725
    • /
    • 2001
  • 세침흡인생검을 통한 폐암의 파종성 체벽 전이는 매우 드물기는 하나 환자의 예후를 현저히 악화시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다. 그러나 그 보고가 매우 드문데, 본 저자등은 2예를 경험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43세 여자환자는 선암 IB로 수술 후 2년후에 이식성 체벽 전이암이 발생하여 이를 종양 적출술 및 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다른 65세 남자환자는 편평상피세포암 IB로 수술을 시행한 8개월 후 무통성 체벽 전이암이 발생하여 종양 적출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다. 그 후 이들은 체벽의 이식성 전이암을 제거한지 각각 15개월과 37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생존해 있다. 아직까지 세침흡인 생검 후 발생한 암의 이식성 체벽전이에 대한 확립된 치료 지침은 없으나, 그간의 문헌의 고찰 및 본 저자등의 경험을 비추어 암 적출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을 경우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urvival Outcomes of Liver Metastasectomy in Colorectal Cancer Cases: A Single-Center Analysis in Turkey

  • Cokmert, Suna;Ellidokuz, Hulya;Demir, Lutfiye;Fuzun, Mehmet;Astarcioglu, Ibrahim;Aslan, Deniz;Yilmaz, Ugur;Oztop, Il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195-5200
    • /
    • 2014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ur series of liver resections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mCRC) to determin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and to evaluate the potential roles of neoadjuvant or adjuvant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underwent metastasectomy for liver metastases due to colorectal cancer at the Department of Medical Oncology, 9 Eylu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96 and 2010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followed through July 2013. Demographic, perioperative, laboratory, radiological and chemotherapy as well as survival data were obtained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Results: In 47 (47.5%) patients, liver metastases were unresectable at initial evaluation; the remaining 52 (52.5%) patients exhibited resectable liver metastases. Simultaneous hepatic resection was applied to 52 (35.4%)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whereas 5 (64.5%) patients underwent hepatic resection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Forty-two patients with metachronous metastasis underwent hepatic resection following neoadjuvant chemotherapy. R0 resection was obtained in 79 (79.8%) patients. A second hepatectomy was performed in 22 (23.2%) patients. Adjuvant chemotherapy was given to 85 (85.9%) patients after metastasectomy. The median disease-free and overall survivals after initial metastasectomy were 12 and 37 months, respectively, the 1-year, 3-year and 5-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ates being 46.5%, 24.3% and 17.9%and 92.3%, 59.0% and 39.0%, respectively.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primary tumor site, tumor differentiation, resection margin and DFS were independent factors predicting better overall survival. Conclusions: In selected cases, hepatic metastasectomy for mCRC to the liver can result in long-term survival. Neoadjuvant chemotherapy did not exert a positive effect on DFS or OS. Adjuvant chemotherapy also did not appear to impact DFS and OS.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 - 121 예의 임상적 분석- (Incidence and Significance of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s)

  • 최은경;조문준;하성환;박찬일;방영주;김노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29-133
    • /
    • 1986
  • 한 환자에서 두개 이상의 중복암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게 알려져 왔으나 근래에 들어와 치료법의 발달로 환자의 수명이 연장되고 진단법이 발달되면서 그 보고가 증가되고 또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런 중복암을 가진 환자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2차 3차 암의 조기 발견 및 나아가서는 발암 물질과 유전적 요인 등을 찾아 암의 치료 및 예방에 이응 할 수 있겠다. 이에 $1978.7\~1986.8$까지 8년간 서울 대학교 병원에서 중복암으로 진단되어 치료받은 121예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발생율은$0.7\%$이 있으며 이중 2중복암이 119례, 3중복암이 2례 있었다. 동시성은 (6개월 이내) 51례, 속발성은 (6개월 이상) 70례이었으며 속발성의 경우 $70\%$이상에서 3년내에 2차 암이 발생했다. Moertel분류에 의한 mvlticentriz은 $11.6\%$로 다소 낮은 빈도를 보였으며 다른 장기에 발생한 중복암 중에서는 위암과 간암, 위암과 직장암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 PDF

조기 식도암에서 내시경점막하박리술 시행 후 항암방사선동시요법을 시행한 1예 (A Case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fter Endoscopic Resection For Early Esophageal Cancer)

  • 한규현;신선영;문준일;송가원;고원진;김원희;홍성표;조주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35-38
    • /
    • 2015
  • 2008년 9월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을 시행받은 과거력이 있는 62세 남자가 2010년 10월 시행한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상 중부식도에 병변이 관찰되었다. 루골 색소 내시경상 염색이 잘 되지 않고, 확대내시경상에서 신생혈관이 관찰되며, 파괴된 혈관들이 연결되는 상피유두내혈관 루프상점막근층을 침범한 양상(IPCL-V3)이 관찰되었다. 초음파내시경 검사상 점막에 국한된 소견으로 보여, 조기 식도암으로 진단하에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을 시행받았다. 이후 최종 조직 검사상 침범깊이는 점막층 M2 부위까지 침범한 소견이 관찰되고 D2-40 양성으로 림프절 전이 위험성이 높아 추가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시행하였고, 이후 재발없이 지내다가 2013년 3월 중부식도에 이소성 병변으로 고분화 이형성이 발견되어 내시경점막절제술 및 광역동 치료를 시행받았다. 이 환자에서와 같이 조기 식도암에서 내시경점 막하박리술 시행 후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시행하는 것도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추후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의 적응증을 넘어선 조기위암의 미세침습 치료 후 장기 추적 결과 (Long-term Outcome after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beyond the Indication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고원진;조주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44-49
    • /
    • 2017
  • Background: 최근 제안된 조기위암에 대한 미세침습 치료법은 내시경점막하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혹은 종양 부위를 전층 절제(endoscopic full-thickness gastric resection, EFTGR)을 통해 위 절제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복강경을 통해 감시림프절 절제(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 SLND)를 시행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제시했었고, 이들을 각각 ES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ith laparoscopic 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 Hybrid-NOTES (endoscopic full-thickness gastric resection with laparoscopic 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라고 명명하였다. 본 고에서는 림프절 전이 위험성이 높은 조기위암에 대해 이 두 치료법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장기 추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Methods: 이 후향적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2013년 5월 중에 ESN 혹은 Hybrid-NOTES를 시행받은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Results: 총 42명의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ESN 21명, Hybrid-NOTES 21명이 각각 등록되었다. ESN을 시행받은 21명 중 4명, Hybrid-NOTES를 시행받은 5명은 이 미세침습수술 후 추가 수술을 받아야 했다. 아직까지 이 수술 후 사망 환자는 없지만 ESN을 시행받은 1명의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어 항암치료를 받고 있다. Conclusion: 조기위암의 미세침습 수술인 ESN 혹은 Hybrid-NOTES는 좋은 장기 추적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방법들은 향후 림프절 전이 위험성이 높은 조기위암에서 ESD와 gastrectomy 사이에 속한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 PDF

이식신장에 생긴 유두모양 신세포암종과 고유신장에 생긴 Xp11.2전위/전사인자E3-재배열 신세포암종: 증례 보고 (Papillary Renal Cell Carcinoma in Transplanted Kidney and Xp11.2 Translocation/Transcription Factor E3-Rearranged Renal Cell Carcinoma in the Native Kidney: A Case Report)

  • 김민혜;김경아;김정우;이석영;최재웅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437-444
    • /
    • 2024
  • 고유신장과 이식신장 모두에 신세포암종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소수의 증례만이 영문 문헌에서 보고되었다. Xp11.2전위/전사인자E3 (이하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은 성인인구에서 드문 아형이다. 신장이식을 받은 어린이에서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이 소수의 증례로 보고되었으나, 어른에서 신장이식 후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이 보고된 증례는 없다. 저자들은 이식신장에 유두모양 신세포암종이, 고유신장에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이 있던 드문 증례를 영상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고유신장에 생긴 TFE3-재배열 신세포암종은 5년에 걸쳐 천천히 자랐다. CT에서 약한 조영증강을 보이는 소엽 모양 종괴였으며, MRI에서는 T1 강조영상에서 높은 신호 강도를, T2 강조영상에서 낮은 신호 강도를 보였다.

성문상부 상피세포암에서의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rimary Radi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uprag1ottic Larynx)

  • 김원택;김동원;권병현;남지호;허원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33-243
    • /
    • 200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성문상부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 성적과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여 성문상부암에서의 방사선치료의 효율성과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치료방침의 결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알아보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8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32예를 후향적 분석을 통해 최소 29개월간 추적관찰 하였다. 6MV 광자선을 이용하여 조사영역 축소치료법과 통상적 분할조사 방법으로 원발부위와 주위 경부림프절을 평균 70.2 Gy로 치료하였고, 이중 13예는 cisplatin과 5-FU로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병기별로는 1기가 5명(15.6$\%$), 2기가 10명(31.3$\%$), 3기가 8명(25$\%$), 4기가 9명(28.1$\%$)이었다. 결과 : 연구 결과 5년 전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 성문보존율은 각각 51.7$\%$, 65.2$\%$, 65.6$\%$였고, 병기별로의 생존율은, 1기, 2기, 3기, 4기 각각 80$\%$, 66.7$\%$, 42.9$\%$, 25.0$\%$였고, 국소제어율은 각각 100$\%$,60.0$\%$, 62.5%$\%$ 44.4$\%$였으며, 성문보존율은 각각 100$\%$, 70$\%$, 62.5$\%$, 44.4$\%$였다. 유도 화학요법을 실시한 군과 방사선 단독 군에서 생존율, 국소제어율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치료실패를 보인 환자 중 7예에서 구제적 수술을 시행했고 이 중 3예에서 성공하였다. 치료 중 화학요법을 병용한 1예에서 중성구감소증으로 입원하였으며, 그 외에는 grade 3 이상의 급성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치료 후 2예에서 심한 후두부종으로 기관절개술을 받았다. 원격전이는 4예에서 보였고(폐 3예, 뇌 1예), 2예에서 이차성 원발암이 발견되었다. T병기와 N병기, 총방사선량, 그리고 종양의 육안적 소견 등이 유의한 예 후인자였다. 결론 .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조기 성문상부암인 경우 방사선치료와 보존적 수술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에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후두기능 보존의 효과가 좋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하겠으며,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서는 방사선 단독 치료가 수술과의 병합 치료보다 예후가 월등히 좋지 않게 나타나므로 가급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합요법을 시도하는 것이 좋겠으나, 방사선치료를 해야만 하는 경우에서는 성문보존율과 국소제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 특히 동시 화학방사선치료와 다분할 방사선치료, 그리고 방사선 민감제 등을 이용한보다 더 폭 넓은 연구와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