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activity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의 여가활동, 자아존중감, 성취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y, Self esteem, Achievement on Mental Wellbeing among the Aged)

  • 한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45-652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여가활동, 자아존중감, 성취감이 정신적 웰빙에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49명의 대상자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및 연구 변수에 대한 분포의 특성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여가 활동, 자아존중감, 성취감과 정신적 웰빙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영향요인은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적 웰빙의 정도는 평균 $51.5({\pm}15.1)$점, 여가활동은 평균 $26.2({\pm}6.5)$점, 자아존중감은 평균 $30.2({\pm}5.2)$, 성취감은 평균 $44.4({\pm}8.3)$점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정신적 웰빙은 여가활동(r=.47, p<.001), 자아존중감(r=.55, p<.001), 성취감(r=.45, p<.001) 모두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여가활동, 성취감 순이었다. 이들 변인의 정신적 웰빙에 대한 설명력은 42.7%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노인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능력에 대해 스스로 만족하고 현재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수용함으로써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게 하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속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성취활동을 반복함으로써 노인의 정신적 웰빙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eural activity during simple visual imagery compared with mental rotation imagery in young adults with smartphone overuse

  • Hwang, Sujin;Lee, Jeong-Weon;Ahn, Si-Na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4호
    • /
    • pp.164-169
    • /
    • 2017
  • Objectiv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ple visual imagery and mental rotation imagery on neural activity of adults who are at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by measuring their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 people with a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was selected and then were evaluated for their neural activation patterns using EEG after reminding them about simple visual imagery and mental rotation imagery. A simple visual image was applied for 20 seconds using a smartphone. This was followed by a resting period of 20 seconds. Mental rotation imagery was applied for 20 seconds. During mental rotation imagery, the rotational angle was selected at random. We compared activ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analyzed EEG with hemisphere reminding them about imagery. Results: On the EEG, theta rhythm from the left hemisphere parietal area increased when the subjects were reminded of mental rotation imagery, and sensorimotor rhythm from close to the left hemisphere area increased when the subjects were reminded of simple visual imagery. Conclusions: Neural activation from the left hemisphere occurs for motor imagery in adults who are at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identify a neural mechanism of adults who a have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which may provid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tor rehabilitation for smartphone users.

Implementing a 1-Night, 2-Day Mental Health Healing Center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 Seojae Jeon;Do-Eun Lee;Namju Lee;Hyung Won Kang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7-36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a 1-night, 2-day mental health healing center program on the physical stress, autonomic nervous system health, brain activity levels, brain stress, concentration levels, an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scores of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Methods: Forty-eight dementia patients (average age 80 years, 14 males and 34 females) and 48 caregivers (average age 65.23 years, 14 males and 34 femal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Pre- and post-assess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s. Results: Dementia patients experienced reduced physical stress, increased brain activity levels, decreased brain stress, improved concentration level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PHQ-9 scores (p<0.05).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for a decline in autonomic nervous system health among dementia patient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ysical stress was seen in caregivers, but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Conclusions: While the 1-night, 2-day mental health healing center program did not produce significant changes in the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it exhibited overall positive effects in dementia patients. Consequently, mental healing programs should be utilized effectively for dementia patients. Furthermore,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ongoing programs for the mental well-being of dementia caregivers is imperative, mirroring the attention given to dementia patient care.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 직업능력 및 취업욕구관련 분석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Centering on Economic Status and Occupational Ability Variables)

  • 이현경;박효은;최만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65-277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08년부터 2010년 까지 장애인 고용패널조사에 3년간 참여한 정신적 장애인 298명(가중빈도적용:154,3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교육 참여희망은 남성일 때, 중졸 이상일 때, 자격증을 보유했을 때, 그리고 장애유형중 지적장애일 때 직업교육 참여희망이 높았다. 한편, 취업의사 관련요인은 남성일 때, 가구주일 때, 중등교육 이상 이수하였을 때,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을 때, 육체활동 능력이 높아질 때, 그리고 장애유형 중 자폐장애일 때 취업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정신적 장애인의 의사를 반영한 직업재활 서비스제공 및 사업주 주도적 직업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정신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신체활동량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d analysis on amounts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young children with normal condition using accelerometer)

  • 황선영;최경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69-1873
    • /
    • 2008
  • 본 연구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정신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정신지체유아 3명과 일반유아 3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량을 분석하였다. 신체활동량의 계측은 횡축 가속도 최고치, 종축 가속도 최고치, 평균 열발산, 분당 보행 수, 피부 전도도이다. 정신지체유아를 교육하는 기관에서의 놀이활동 시간을 측정한 결과 횡축으로 움직였을 때($2.94{\pm}0.60$)와 종축으로 움직였을 때($4.97{\pm}0.65$) 일반유아들(횡측 종측 각각 $4.50{\pm}0.95$, $6.05{\pm}0.87$)보다 덜 움직이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신체적 일반 특성에서 운동능력이 부족함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평균 열발산과 분당보행수, 피부전도도가 일반 유아들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지체유아들의 교육에 있어서 정신지체유아들이 좀 더 흥미를 갖고 활동을 많이 그리고 빨리하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착용형 심장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The Assessment of Dynamic Mental Stress with Wearable He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 김경섭;신승원;이정환;최희정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7권6호
    • /
    • pp.1109-1115
    • /
    • 2008
  • In the ubiquitous health monitoring environments, it is quite important not only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health condition but also mental stress condi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he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utilizing a wearable bipolar electrode is devised and the heart rate variability(HRV) is extracted and interpreted in both frequency and time feature domains. Consequently, to evaluate the emotional stress condition of the subjects, a stress-induced experimental protocol was applied to healthy subjects and the time and frequency features of heart activity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ratio of low frequency components v.s.,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the relevant the moving average distributions compromising the successive RR peaks intervals in the ambulatory ECG measurement system.

통합활동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여성독거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Integrated Activity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f Underprivileg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 오명수;김희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8-26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activity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f underprivileg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Methods: The participants recruited were fifty underprivileg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 2015. To test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matched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N=25) and control group (N=25).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chi}^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t-test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s: After attending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found for self-efficacy (t=9.19, p<.001) and depression (t=-18.31,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enhances self-efficacy and reduces depression in underprivileg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refore, this program is a good strategy that community mental health nurses can use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underprivileg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정신지체 학생의 구강실태 및 우식활성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STATUS AND DENTAL CARIES ACTIVITY ON MENTAL RETARDATION STUDENTS)

  • 한수경;김남순;조홍규;송호준;최충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2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학생의 구강건강 실태 및 치아우식 활성도를 평가하여, 학생들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필요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적인 구강건강 관리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광주광역시 소재 S 정신지체특수학교 유아부부터 고등부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실태를 평가하기 위한 구강검사는 213명에 대해 시행하였으며, 치아우식활성도 검사는 197명에 대해 시행하였다. 치아우식활성도 평가를 시행한 197명의 정신지체 학생 중 우식활성이 고도인 학생은 33명(16.77%)으로 나타났으며, 13세 이하가 그 이상의 연령에 비해 치아우식활성도가 높았다. 치아우식활성도의 경중도와 치은염 유무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 장애학생의 치아우식활성도 경중과 치아우식경험지수와의 상관성을 평가한 결과, 치아우식활성도가 증가할수록 우식경험치율과 우식경험치지수가 높은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유치의 경우 우식경험유치율 및 우식경험유치지수는 치아우식활성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 PDF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High School Students' Mental Model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 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5-3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mental model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how they conceptualize the environment. Using the drawing and interview, 25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were asked to visualize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describe the environment they portrayed. The dominant mental model in the present was Mental Model 3: the environment as a place impacted or modified by human activity. Yet, the partial mental model in the future was Mental Model 2: the environment as a place that supports human life. The implications to environmental science education are explored.

강도가 점증하는 전신활동에 따른 반응시간의 변화와 정신작업의 정확도 (Variation of reaction time and accuracy of mental work with strength of whole-body activity gradually increasing)

  • 김정만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6-62
    • /
    • 2004
  • 산업현장에서는 높은 강도의 육체적 작업에 병행하여 정신적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육체적 작업 후에 피로의 회복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 이 피로에 수반되는 정신적 피로에 의해 정신적 작업의 정확도는 저하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높은 강도의 근육활동에 숙련된 그룹과 숙련되지 못한 그룹 모두에서 본 연구를 위한 실험조건 하에서는 오히려 육체적 활동 후의 정신적 작업의 정확도가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물리적 자극에 대한 이들 그룹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정신작업의 정확도와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반응시간은 높은 강도의 근육활동에 숙련된 그룹에서만 운동강도에 따라 안정적으로 점증하였고, 모든 피실험자 그룹에 대해서 정신작업의 정확도와 반응시간은 밀접한 관계에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