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Centering on Economic Status and Occupational Ability Variables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 직업능력 및 취업욕구관련 분석

  • 이현경 (국립서울병원 정신보건연구과) ;
  • 박효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행정학전공) ;
  • 최만규 (고려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3.04.16
  • Accepted : 2013.06.17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e study aimed to figur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s the employment needs may differ according to income and occupational ability amo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are classified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Study subjects included 298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s among registere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the data from 2008-2010 Panel Data of Employment of Person with Disability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It has been found that interested in vocational education of mentally disabled when the graduated from junior high school, the typ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hope education participation rate was high. And then, Mental disabilities with employment needs, male, head of household, when the graduated from junior high school, when ability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disabilities typ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when employment desires were. Based on these results, to increase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employer-driven professional activity is proposed.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수준과 직업능력에 따른 취업욕구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08년부터 2010년 까지 장애인 고용패널조사에 3년간 참여한 정신적 장애인 298명(가중빈도적용:154,3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교육 참여희망은 남성일 때, 중졸 이상일 때, 자격증을 보유했을 때, 그리고 장애유형중 지적장애일 때 직업교육 참여희망이 높았다. 한편, 취업의사 관련요인은 남성일 때, 가구주일 때, 중등교육 이상 이수하였을 때,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을 때, 육체활동 능력이 높아질 때, 그리고 장애유형 중 자폐장애일 때 취업의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정신적 장애인의 의사를 반영한 직업재활 서비스제공 및 사업주 주도적 직업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필수, "사업체의 장애인고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179-206, 2010.
  2. 강동욱, 장애인고용과 사회복지, 한국학술정보, 2005.
  3. 곽지영, "장애여성의 노동시장진입 및 유지요인에 관한연구",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79-104, 2010.
  4. 권유경, 한국장애인의 피고용여부와 월 임금수준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5. 김기원, "장애인근로자 장기근속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26권, pp.9-50, 1995.
  6. 김성희, 윤상용, 김대철, 서동명, 박수지, 이현민, 장애인 복지지표를 통해 살펴 본 OECD국가의 장애인정책 비교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제30권, 2011.
  7. 민천식,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10th ed.), KIrk, Gallagher&Anastasiow(2003).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10th ed.)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제4권, 제1호, pp.181-189, 2003.
  8. 박경순, "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 정책 네트워크 관점", 한국직업재활학회, 제14권, 제2호, pp.23-55, 2004.
  9. 박영준,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직업기술능력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권, pp.209-229, 2011.
  10.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재활서비스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17권, 제1호, pp.165-192, 2007.
  11. 박헌수, 채인석, 강지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사례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7권, 제4호, pp.443-457, 2011.
  12. 백은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17권, 제1호, pp.223-248, 2011.
  13. 변용찬, 이정선, "취업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15권, pp.153-171, 2005.
  14. 손광훈, 심미영, 염동문, "장애인 취업욕구의 구조모형분석 - 소득, 건강상태 및 직업특성 변수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129-150, 2010.
  15. 오혜경,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 및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상황과 복지, 제13권, 제12호, pp.113-146, 2002.
  16. 유동철, 노동시장의 장애인 차별영향분석 :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17. 유숙, 정신장애인 재활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8. 윤진, 정신장애인의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련 가족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19. 이동영, 공적소득보장프로그램의 빈곤감소효과에 대한 장애인, 비장애인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20. 이상욱, 박주연, "장애인근로자의 직업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12권, pp.2-19, 2002.
  21. 이상화, 정신지체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직업재활서비스욕구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22. 이선우,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 프로빗을 이용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33권, pp.287-313, 1997.
  23. 이지훈,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24. 임효순, 이홍직, "지적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19권, 제3호, pp.27-50, 2009.
  25. 장인협, 사회복지 행정론: 이론과 실무,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26. 정기원, "장애인 고용촉진 방안", 보건복지포럼, 제7권, 1997.
  27. 정한나, "장애인의 성별임금격차에 관한 실증분석",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229-250, 2010.
  28. 조상미, "취업 장애인의 임금 결정요인",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3호, pp.75-96, 2010.
  2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장애인실태조사, 2008.
  30.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제2차 한국장애인고용패널 조사, 2009.
  31.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제3차 한국장애인고용패널 조사, 2010.
  32. 한애경, 윤혜미, "중증과 경증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3호, pp.125-153, 2012.
  33. 한이슬,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수준관련요인 탐색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34. 홍순애, 농어촌 정신적장애인의 평생계획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35. 유완식, 사업주 중심의 지원체계 개편방안, 제9차 EDI정책토론회 자료집, pp.77-84, 2008.
  36. 김세연, 구인순, 박자경,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8호, pp.318-32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318
  37. 한동우, "기업의 사회공헌과 장애인 고용", 장애와 고용, 제54권, 겨울호, pp.5-15, 2004.
  38. 이순희, 박석용, "중증장애인의 근로욕구 및 실태조사를 통한 고용확대방안", 한국콘텐츠학회지, 제9권, 제9호, pp.304-312,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304
  39. Andreja Barisin, Tomislav Benjak, and Gorka Vuletic,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relation to their employment status," Croat Med J., Vol.52, pp.550-556, 2011. https://doi.org/10.3325/cmj.2011.52.550
  40. H. Hultin, C. Lindholm, and J. Mo ller, "Is There an Association between Long-Term Sick Leave and Disability Pension and Unemployment beyond the Effect of Health Status? - A Cohort Study," PLoS ONE, Vol.7, No.4, 2012.
  41. Ker-Chiah Wei, C. Lee, Rathi Mahendran, and C. G. Lim, "Improving mental health care for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in Singapore: bridging the health social care divide," Singapore Med. J, Vol.53, No.7, pp.428-432, 2012.
  42. A. M. Konarad, M. E. Moore, A. J. Doherty, E. W. Ng, and K. Breward, "Vocational status and perceived well-being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Equality, Diversity and Inclusion, Vol.31, No.2, pp.100-123, 2012. https://doi.org/10.1108/02610151211202772
  43. E. Martz, "Invisibility of disability and work experience as predictor of employment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18, pp.153-161, 2003.
  44. P. Milet and K. W. Sandberg, "Locus of control and its relationship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unemployed sick leaves in Sweden,"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19, No.1, pp.59-66, 2003.
  45. F. R. Volkman, C. Lord, A. Klin, and E. J. Cook, Autism and th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In M, L. (ed.)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 Comprehensive Textbook.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p.587-597, 2002.
  46. WHO, The World Report Disability, 2011.
  47. 이달엽, "장애인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 비교연구", 장애인고용, 제14권, 제1호, pp.49-69, 2005.
  48. 이현경, "정신적 장애인의 근로소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인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 발표자료, pp.1-2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