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on diseas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3초

2004년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of the South Korea in 2004)

  • 명인식;박경석;홍성기;박진우;심홍식;이영기;이상엽;이승돈;이수헌;최홍수;최효원;허성기;신동범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89-92
    • /
    • 2005
  • 2004년은 전년에 비해 기온이 높았고 강수량이 적었다. 벼 못자리 병, 잎도열병 발생 필지,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과 고추 역병, 탄저병 및 바이러스병, 시설참외의 급성 시들음 증상, 흰가루병 등이 2003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특히 벼잎집무늬마름병과 흰잎마름병은 전년에 비해 2배 이상 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벼 이삭도열병이 전년 $3\%$에서 2004년 $0.7\%$로 감소된 것은 출수기 동안 평균기온은 높았으나 강수일수, 강수량 및 습도가 낮아 잎도열병균이 이삭으로의 전파를 억제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추역병은 전년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다. 그리고 발표하지 않은 다른 병에 의한 피해는 다소 감소 혹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2007년 우리나라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상황 (Survey of Viral Diseases Occurrence on Major Crops in 2007)

  • 김정수;이수헌;최홍수;최국선;조점덕;정봉남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1-9
    • /
    • 2008
  • The severe damage induced by the important viruses of Rice stripe virus (RSV),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Melon necrotic spot virus (MNSV),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and Tomato bushy stunt virus (TBSV) was described on major crops in Korea. In 2007, the plot incidence rate of RSV was 100% on the precocious rice cultivars at the Western coastal provinces of Gyeonggido, Chungcheongnamdo, Jellabugdo and Jellanamdo, and Jejudo. RSV occurred in 2,441 ha with incidence rate of 70% over at 5 areas of Seocheon, Seosan, Boryung, Hongsung and Buyou in Chungcheongnamdo. At 4 areas of Buan, Gimje, Gunsan and Gochang in Jellabukdo, RSV occurred in 2.016 ha. CGMMV occurred on watermelon in 4.6 ha at Cheongyang area, and its outbreak was also 890 ha on oriental melon for 120 farmers with the incidence area of 23% against total cultivation areas of Seongju. MNSV was recorded firstly on watermelon in 2006 at Andong and it spread to 3 areas of Hapcheon, Gochang and Yanggu. TSWV occurred firstly at Danggin in Chungcheongnamdo in 2005. TSWV in 2006 spread to 6 areas; Taian, Hongsung and Seosan in Chungcheongnando, Namwon in Jellabukdo, and Sunchon and Kwangju in Jellanamdo. In 2007, TSWV covered 17 areas of western and southern parts; the 5 area including Taian in Chungcheongnamdo, Kwangju in Jellanamdo, Bucheon in Gyunggido, and so forth. TBSV was described firstly on table tomato at Sacheon in Kyungsangnamdo in 2004. TBSV occurred on cherry tomato at Chungju in 2006 and on table tomato at Busan area.

Penicillium oxalicum에 의한 멜론 푸른곰팡이병 (Blue Mold on Melon (Cucumis melo) Caused by Penicillium oxalicum)

  • 권진혁;강수웅;김정수;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8권4호
    • /
    • pp.220-223
    • /
    • 2002
  • 2002년 4월 경남 함안군 대산면 농가에서 비닐터널 재배중인 멜론(품종, 가야백자)의 과일비대기부터 성숙기까지 과일에서 푸른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멜론과 일의 꽃자리부분이 약간 함몰되고 부패되어 그 위에 푸른곰팡이가 많이 형성하였다. 분리한 병원균의 균사는 처음 흰색에서 푸른색을 띄며, 분생포자를 아주 많이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타원형이고 푸른색으로 크기가 2.6~7.4$\times$2.6~5.8 $\mu\textrm{m}$이었다. 분생포자병은 균사표면으로부터 형성되고, Stipes의 크기가 86~320$\times$2.8~4.3 $\mu\textrm{m}$로 가늘고 길며, Matulae의 크기는 12.4~31.6$\times$2.6~4.2 $\mu\textrm{m}$ 이고, Phialide는 침상이고 크기가 8.2~15.4$\times$3.6~4.6 $\mu\textrm{m}$이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포장에서 이병과율은 4.3% 이었으며 고온다습 조건에서 발병이 잘되었다. 분리된 병원균을 건전한 멜론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을 확인하였고 병징도 똑같았다 이상과 같이 이 병원균을 Peniciliium oxalicum에 의한 멜론 푸른곰팡이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CABYV 감염 멜론의 황화증상에 따른 생리적인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lon Plants Showing Leaf Yellowing Symptoms Caused by CABYV Infection)

  • 이희주;김미경;이상규;최장선;최홍수;곽해련;최국선;전창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10-218
    • /
    • 2015
  • 최근 멜론 재배지에서 확산되고 있는 멜론 황화엽 증상의 발생 원인을 구명하고자 황화엽 발생개체와 정상 개체간의 생육과 바이러스 이병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황화증상을 보이는 멜론 잎에 대해 전자현미경 검경 및 국내 보고된 박과 감염 8종에 대해 RT-PCR한 결과 바이러스가 진단되지 않았다. 국내 미보고된 바이러스로 의심되어 차세대유전체염기서열분석(NGS)를 이용하여 진단한 결과 박과진딧물바이러스(CABYV)로 판정되어 CABYV 특이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 한 결과 모두 CABYV 감염이 확인되었다. 광합성 능력은 정상엽의 경우 $12.36{\mu}mol{\cdot}m^{-2}{\cdot}s^{-1}$였고, 황화엽은 ($4.09{\mu}mol{\cdot}m^{-2}{\cdot}s^{-1}$로 황화엽이 정상엽의 1/3 수준으로 낮았다. 뿌리의 활력도 정상적인 생육을 보인 멜론에서는 $0.48mg{\cdot}g^{-1}$이었으나 황화증상이 발생한 개체에서는 $0.28mg{\cdot}g^{-1}$로 황화증상 개체의 뿌리 활력이 정상 개체보다 2배 정도 낮았다. 잎의 무기성분은 모든 성분에서 정상엽이 황화엽보다 2배 이상 유의성 있게 높게 나왔고, 특히 철분의 함량은 20배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정상 개체와 황화증상 개체의 세포조직을 관찰한 결과, 울타리조직이나 해면조직은 모두 정상적인 모양을 보여 황화증상이 잎의 세포조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지만 다만, 황화증상 개체의 잎은 통도조직의 주변을 중심으로 전분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동화양분의 전류가 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최근에 국내의 멜론재배지에서 급속하게 발생하고 있는 황화엽 증상은 생리적인 원인보다는 진딧물에 의한 바이러스 이병에 의한 원인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며 황화엽 증상의 피해와 확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매개충인 진딧물을 사전에 방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포도나무 줄기혹병균에 대한 약용식물의 항균활성 및 병발생억제 (In vitro and In viv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against Crown Gall in Grapevine)

  • 김은수;윤해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37-548
    • /
    • 2016
  • 항암, 항산화,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9종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포도나무 줄기혹병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공시한 식물 중에서 개똥쑥(15mm), 맨드라미의 꽃(27mm)과 잎(13mm), 여주의 미성숙 열매(22mm), 상사화 꽃(7mm), 질경이의 꽃(14mm)과 종자(16mm), 초석잠의 뿌리(13mm), 복숭아 나무의 수지(10mm) 추출물 등이 줄기혹병균(Rhizobium vit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의 분획물의 최소억제농도를 확인한 결과 개똥쑥, 맨드라미 잎, 여주 미성숙과 분획물은 각각 50,000배, 질경이 꽃 분획물은 10,000배 희석액이 최소억제농도(MIC)로 확인되었다. 개똥쑥, 맨드라미 꽃과 잎, 여주의 미성숙 열매 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을 column chromatography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통하여 분획하였다. 핵산/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클로로포름(20:80, v/v)으로 전개한 TLC 분석에서 개똥쑥 추출물에서는 Rf 0.36, 0.69, 0.75, 0.84, 0.94, 맨드라미 꽃 추출물은 Rf 0.96, 0.99, 맨드라미 잎 추출물은 Rf 0.92, 0.97, 여주의 미성숙열매 추출물은 Rf 0.85에서 항균 활성의 분획을 획득하였다. 개똥쑥, 맨드라미 잎, 여주 미성숙 열매 추출물을 물에 희석(500, 1,000, 2,000배)하고 온실에서 R.vitis를 접종한 '거봉' 식물체에 7일 간격으로 관수한 결과, 개똥쑥 희석액은 100%, 맨드라미 잎 추출물(500배 희석액)은 67%, 여주 미성숙 열매 추출물(500배 희석액)은 83.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약용식물 추출물이 포도나무 줄기혹병을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 제제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Genomic Tools and Their Implications for Vegetable Breeding

  • Phan, Ngan Thi;Sim, Sung-Chur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49-164
    • /
    • 2017
  •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ies have led to the rapid accumulation of genome sequences through whole-genome sequencing and re-sequencing of crop species. Genomic resources provide the opportunity for a new revolution in plant breeding by facilitating the dissection of complex traits. Among vegetable crops, reference genomes have been sequenced and assembled for several species in the Solanaceae and Cucurbitaceae families, including tomato, pepper, cucumber, watermelon, and melon. These reference genomes have been leveraged for re-sequencing of diverse germplasm collections to explore genome-wide sequence variations, especiall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The use of genome-wide SNPs and high-throughput genotyping method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strategies for dissecting complex quantitative traits, such 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In addition, the use of multi-parent populations, including nested association mapping (NAM) and multiparent advanced generation intercross (MAGIC) populations, has helped increase the accuracy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 detection. Consequently, a number of QTL have been discovered for agronomically important traits, such as disease resistance and fruit traits, with high mapping resolution. The molecular markers for these QTL represent a useful resource for enhancing selection efficiency via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in vegetable breeding programs. In this review, we discuss current genomic resources and marker-trait association analysis to facilitate genome-assisted breeding in vegetable species in the Solanaceae and Cucurbitaceae families.

Control of Fungal Diseases with Antagonistic Bacteria, Bacillus sp. AC-1

  • Park, Yong-Chu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1994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 /
    • pp.50-61
    • /
    • 1994
  • Biological control of important fungal diseases such as Phytophthora blight of red pepper, gary mold rot of vegetables, and powdery mildew of many crops was attempted using an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p. AC-1 in greenhouses and fields. The antagonistic bacterium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soils of healthy red pepper plant was very effective in the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plant pathogenic fungi in vitro including Phytophthora capsici, Rhizoctonia solani, Pyricularia oryzae, Botrytis cinerea, Valsa mali, Fusarium oxysporum, Pythium ultimum, Alternari mali, Helminthosporium oryzae,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ulture filtrate of antagonistic Bacillus sp. AC-1 applied to pot soils infested with Phytophthora capsici suppressed the disease occurrence better than metalaxyl application did until 37 days after treatment in greenhouse tests. Treatments of the bacterial suspension on red pepper plants also reduced the incidence of Phytophthora blight in greenhouse tests. In farmers' commercial production fields, however, the controlling efficacy of the antagonistic bacteria was variable depending on field locations. Gray mold rot of chinese chives and lettuce caused by Botrytis cinerea was also controlled effectively in field tests by the application of Bacillus sp. AC-1 with control values of 79.7% and 72.8%, respectively. Spraying of the bacterial suspension inhibited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of many crops such as cucumber, tobacco, melon, and rose effectively in greenhouse and field tests. The control efficacy of the bacterial suspension was almost same as that of Fenarimol used as a chemical standard. Further experiments for developing a commercial product from the antagonistic bacteria and for elucidating antagonistic mechanism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are in progress.

  • PDF

수박 덩굴쪼김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ethod of Screening for Watermelon Plants Resistant to Fusarium oxysporum f. sp. niveum)

  • 조은주;이지현;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409-419
    • /
    • 2015
  • 본 연구는 Fusarium oxysporum f. sp. niveum(Fon)에 의해 발생하는 수박 덩굴쪼김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함안 지역에서 채집한 덩굴쪼김병이 발생한 수박으로부터 HA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균주는 형태적 특성, ITS와 TEF 영역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동정 그리고 수박, 멜론, 참외, 오이 등의 박과 작물에 대한 기주 특이성 결과에 따라 F. oxysporum f. sp. niveum으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Fon HA 균주는 수박 덩굴쪼김병 race 판별품종의 저항성 반응에 의해 race 0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한 7종 배지 중 V8-juice broth 배지에서 가장 많은 양의 포자가 형성되었고 배지 제조도 간단하여 이 배지를 Fon HA 균주의 접종원 대량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로 선발하였다. 시판 중인 21개 수박 품종과 11개 수박용 대목 품종의 덩굴쪼김병에 대한 저항성을 실험하였다. 중도저항성을 보인 '속노란꿀'을 제외한 20개 수박 품종들은 감수성을, 11종 대목 품종들은 모두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이들 중 감수성과 중도저항성인 수박 2종 '서태자'와 '속노란꿀' 그리고 저항성인 대목 1종 '불로장생'을 선발하여 수박의 생육 시기, 접종원 농도, 포자현탁액에 침지하는 시간 및 접종 후 재배 온도 등 발병 조건에 따른 이들 품종의 덩굴쪼김병에 대한 저항성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들 결과로 부터 수박 덩굴쪼김병에 대한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검정하는 방법으로 수박 종자를 파종하여 온실에서 10일 동안 재배한 수박 유묘의 뿌리로부터 흙을 제거한 후, 뿌리를 $1.0{\times}10^5-1.0{\times}10^6conidia{\cdot}mL^{-1}$의 포자현탁액에 30분간 침지한 후에 원예용 상토에 이식하고 $25^{\circ}C$에서 하루에 12시간씩 광을 조사하면서 약 3주 동안 재배하는 것을 제안한다.

멜론 흰가루병균 및 식물 호르몬 처리하에서 MLO 유전자군의 발현검정 (Expression Profiling of MLO Family Genes under Podosphaera xanthii Infection and Exogenous Application of Phytohormones in Cucumis melo L.)

  • 쥬엘 하울라다;김회택;박종인;나잘우딘 아메드;아리프 핫산 칸 로빈;정희정;노일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9-430
    • /
    • 2016
  • 멜론 흰가루병(Podosphaera xanthii)은 멜론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병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작물 육종에 있어서 흰가루병을 포함한 병저항성 계통 육성은 병저항성 관련 유전자들의 유전양식 및 그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식물호르몬에 대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식물에 있어 흰가루병균 저항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Mildew Resistance Locus O (MLO) 유전자를 멜론 database인 ‘Melonomics’으로부터 14개 동정하여 CmMLO1~14 (ucumis elo MLO)로 표기하였다. 동정된 14개의 CmMLO유전자들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 9개의 CmMLO 유전자들은 흰가루병균에 대한 감수성 관련 아미노산 cysteine과 proline이 잘 보존되어 있었지만, 나머지 CmMLO 유전자들은 다른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었다. 멜론 흰가루병의 7 race에 대하여 이병성을 나타내는 멜론 계통 ‘SCNU1154’에 멜론 흰가루병균(P. xanthii)을 접종하고, 식물호르몬(metyl jasmonate와 salicylic acid) 처리한 후 qPCR을 통해 CmMLO 유전자들의 상대적인 발현양을 분석한 결과, 멜론 흰가루병 7 race에 대하여 14개의 CmMLO 유전자들 중 3개의 유전자들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7개의 유전자들은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4개의 CmMLO 유전자들은 race 특이적으로 발현양이 증가 혹은 감소하였다. 또한 14개의 CmMLO 유전자들의 발현양은 methyl jasmonate와 salicylic acid를 처리하였을 때 다양한 발현 양상을 나타내었다. 11개의 CmMLO 유전자들은 salicylic acid 처리하였을 때 발현양이 증가하였으며, 7개의 유전자들은 methyl jasmonate 처리하였을 때 발현양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스트레스에 반응을 보이는 CmMLO 유전자들은 멜론 흰가루병 저항성 계통 육성을 위한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 m

참외 발효과를 유발하는 세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Bacteria Causing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 in Korea)

  • 최재을;차선경;김진희;육진아;황용수;권순우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189-195
    • /
    • 2003
  • 참외의 발효과를 유발하는 세균은 16S rDNA 염기분석에 의해 3 group으로 분류되었다. CM2105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은 Microbacterium phyllosphaerae의 염기서열과 99.6%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냈고, M. holiorum과도 99.5%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냈다. CM2101과 CM2121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은 "P. pavonaceae"와 각각 98.9%, 98.8, CM2126균주는 P. costantinii와 99.5%, P. grimontii와 99.0%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냈다. CM21131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은 Enterobacter cloacae와 99.7%의 높은 상동성 나타냈다. 검정균주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의 염기분석에 따라 CM2105 균주는 M. phyllosphaerae, CM2101, CM2121, CM2126 균주는 Pseudomonas spp., 그리고 CM2113 균주는 E. cloacae로 동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