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ing date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5초

호남지역 논 재배에 적합한 곡실 사료용 밀 품종 선발 및 사료가치 평가 (Selection and Feed Value Evaluation of Wheat for Grain Feed at the paddy field in Honam Region)

  • 백열창;최혁;김민석;박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56-163
    • /
    • 2020
  • 본 연구는 호남지역 유휴 논토양에서 곡실 사료용 밀 생산에 적합한 품종 선발을 위해 국내산 총 8개(금강, 조경, 백중, 수안, 청우, 고소, 호중, 조중)의 품종을 선택하여 전북 완주군에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파종 및 수확하였으며,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일반성분 및 반추위 소화율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험품종 중 출수기는 "조중"이 4월 15일로 가장 빨랐으며, 성숙기 또한 5월 24일로 가장 빨랐다. "백중"의 출수기는 4월 18일로 "금강"과 같았고, 성숙기는 5월 29일로 하루 늦었지만 전 시험품종 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경수는 "고소"가 513개/㎡로 가장 적었으며, "청우"가 974개/㎡로 가장 많았다. "백중"의 경수는 901개/㎡로 시험품종 중 경수가 많은 품종에 속하며, 수확량은 542kg/10a으로 가장 많았다(p<0.05). 일반성분 분석, 반추위내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 평가에서 시험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옥수수보다 높은 영양 가치와 소화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8개 밀 품종은 공히 수입곡물을 대체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료자원이며, 수확량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여 곡실 사료로의 이용성을 확대하면, 논경지이용효율 증대와 더불어 축산농가 사료비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맥류의 출수기에 관한 연구 III. 소맥품종의 조숙성 변이에 관한 요인분석 (Heading Date of Wheat and Barley III. Factorial Analysis of Wheat Varieties on Earliness)

  • 하용웅;맹돈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4-260
    • /
    • 1984
  • 본 시험은 소맥 조숙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소맥 60품종을 국내 4개소(수원, 이리, 밀양, 무안)에 공시하여 출수기와 성숙기 및 숙기에 관여하는 내적 요인인 파성, 광주반응. 협의의 조만성 및 내한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간장 등 일반특성 및 수량구성형질과 조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맥의 출수, 성숙기는 품종 및 지역간에 고도의 유의성을 보이나 품종과 지역의 교호작용에는 유의성이 없어 품종 자체의 조만성에 따라 어느 지역에서도 안정된 반응을 보였다. 2. 등숙일수는 출수, 성숙기와 같이 어느 지역에서도 안정된 반응을 보였으나 조숙품종군들은 지역간에, 만숙품종군들은 품종간에 고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파성정도가 낮을수록 출수 및 성숙기가 다소빠른 경향을 보였다. 4. 소맥의 출수기의 조만은 협의의 조만성, 광주반응, 파성. 내한성 및 등숙일수 등이 관여하나 파성 및 내한성은 조숙품종들과, 광주반응 및 등숙일수는 만숙품종들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5. 4개 시험지 각각에서 출수기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내적 요인은 협의의 조만성과 파성이었음이 확인되었으며, 내한성은 출수기와도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소맥의 출수 및 성숙기가 빠를수록 간장 및 절간장이 짧았는데 이는 만숙품종군보다 조숙품종군에서 더 현저하였다. 7. 출수 및 성숙기는 용적중 및 월동전 경수와 부의 상관을, 그리고 일수입수와는 정상관을 보였다.

  • PDF

국내육성 및 외국도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및 사초 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Italian Ryegrass Cultivar in Korea)

  • 고기환;김종관;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7-302
    • /
    • 2015
  • 본 시험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전국 3개 지역 (전남 구례, 경북 상주 및 충남 천안)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과 사초생산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 하여 7개 품종을 3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하였다. 품종은 '코윈어리', '플로리다 80', '연봉1호', '연봉2호', '연봉3호', '계명1호', 및 '계명2호' 공시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의 경우 전남 구례는 2013년 10월 4일, 경북 상주는 10월 8일, 충남 천안은 10월 3일 파종하였다. 한편 수확시기는 품종의 평균 출수기로 전남 구례와 경북 상주는 2014년 4월 26일에 수확하였으며, 충남 천안은 4월 24일에 수확하였다. 공시한 7품종은 내병성, 내충성 및 내한성은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내도복성은 공시품 종 모두 약하였다. 전국 3개 지역에서 '연봉1호', '연봉2호' 및 '계명1호'의 출수기가 다른 품종보다 빨랐다. 출수기가 빠른 조생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건물률이 높고 초장도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 또한 조생종은 생초수량과 건물수량도 다른 품종보다 많았다. 본 시험결과를 볼 때 숙기가 빠른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초장이 높고, 건물률, 생초수량 및 건물수량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숙기가 빠르고 사초 생산성이 우수한 조생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2모작체계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부산간고랭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 (Proper Transplanting Time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in the Southern Alpine Area)

  • 이준희;최원영;남정권;김상수;박홍규;백남현;최민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51-55
    • /
    • 2005
  • 남부 산간고랭지인 운봉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02\~2004$년에 삼천벼와 상미벼를 공시하여 적정 이앙시기를 검토하였는데, 이들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태형에 관계없이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2. 등숙비율은 삼천벼는 5월 21일 이앙에서 높았으나 상미벼는 조기 이앙할수록 높았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는 5월 21일 이앙에서, 상미벼는 5월 1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다. 4.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이앙적기는 조생종은 5월 21일, 준조생종은 5월 1일로 판단된다.

벼 성력재배를 위한 담수직파 파종시기와 등숙환경 분석 (Environmental Mechanism on Seeding Stage and Ripening Period in Labour Saving-Direct Sowing Rice Culture)

  • 곽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41-549
    • /
    • 1992
  •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기 및 품종을 기상 및 재배 환경과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담수직파에서 흔히 발생하는 도복의 방상대책과 후기등숙생리를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초기생육형수질중에서 출아일수는 조기파종일수록 길었으며 단립면적당 입묘수 및 입묘율은 파종이 늦을수록 그리고 만생종일수록 많고 양호하였다. 2. 단립면적당 수수는 파종이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유효경비율은 만파인 5월 21일 파종구에서 가장 낮았다. 출수개화일수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단축되었으며 등숙기간중 강우분포는 조생종의 등숙기에 많았고 중ㆍ만생종의 등숙기에는 비교적 적었다. 파종기별 및 품종의 숙기별 포장도복정도는 파종이 빠를수록, 그리고 숙기가 빠를수록 컸다. 5. 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은 파종이 빠를수록 많고 양호했으며 특히 등숙비율은 그차이가 뚜렸하였다.

  • PDF

남부지방에서 조생종 콩 품종의 특성과 조기수확 한계기 (Characteristics and Possible Early Harvesting Time of Early Maturing Soybean Cultivars in Southern Korea)

  • 김동관;손동모;천상욱;이경동;김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5-130
    • /
    • 2008
  • 본 연구는 주요 조생종 콩의 생육과 종실품질 및 수량을 비교하여 남부지방 다모작 재배농가의 조생종 콩 품종선택에 활용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circ}04'N, 경도 126^{\circ}54'E)에서 6월 15일에 파종하여 수행하였다. 큰올콩과 화성풋콩은 성숙기가 9월 12일로 빨라 작부체계 도입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종실품질과 수량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새올콩과 신록콩은 성숙기가 9월 20일 전.후로 조금 늦으나 종실품질이 좋고 수량이 많았다. 따라서 콩 후작물을 9월 중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큰올콩과 화성풋콩이, 9월 하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새올콩과 신록콩이 유리하였다. 그리고 주요 조생종 콩의 조기수확에 따른 종실품질과 수량성 등을 검토하여 조기수확 한계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큰올콩은 수확적기(9월 12일)보다 6일전(9월 6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새올콩은 수확적기(9월 24일)보다 6일전(9월 18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다. 따라서 큰올콩과 새올콩의 안정적인 조기수확 한계기는 수확적기 6일 전이다.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variation, IR 604

  • Hee Chung Ji;Sang Min Shin;Ji Hyun Yoo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365-371
    • /
    • 202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breed a medium maturing varie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n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Cheonan from 2019 to 2020. An Italian ryegrass variety, IR 604 is a tetraploid variety with green in leaf color and has half-erect growth habit in late autumn and erect growth habit in early spring, IR 604 was on May 17 in heading date as a medium maturing variety. Also, IR 604 was longer by 11 cm in flag leaf length and longer by 1.3 cm in plant height than those of the control variety, Kowinner, respectively. IR 604 was also thicker by 1.0 mm in stem thickness and strong in winter hardness. Dry matter (DM) yield (11,036 kg/ha) of IR 604 was 16.6% higher than that of Kowinner.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rude protein (CP)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IR 604 were 60.4, 13.8% and 100.6 which are 1.4, 3.3%, 7.7 higher than those of Kowinner, respectively.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of IR 604 were 35.5 and 56.7% which are 1.3 and 3.6% lower than those of Kowinner, respectively.

Effect of Sowing Dates on Agronomic Traits and Quality of Seed for Soybean [Glycine max (L.) Merr.] in Southern Area of Korea

  • Hye Rang Park;Sanjeev Kumar Dhungana;Beom Kyu Kang;Jeong Hyun Seo;Jun Hoi Kim;Su Vin Heo;Ji Yoon Lee;Won Young Han;Hong-Tai Yun;Choon Song Ki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313-326
    • /
    • 2023
  • Owing to adverse weather conditions, there is a heightened focus on actively researching the regulation of the sowing date in field crop cultivation. Soybean, a prominent field crop with extensive acreage and production, is a photophilic and thermophilic crop characterized by short-day photoperiodism. Identifying the optimal sowing time is crucial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severe weather conditions on soybean yield. Precise control over the timing of soybean sowing is the key to minimizing yield reduction due to unfavorable weather conditions. Temperature, photoperiod, and their interplay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oybean cultivation among various weather factors. We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three Korean soybean cultivars with varied maturities (Hwangkeumol: early maturing and Daewonkong and Pungsannamulkong: late maturing) in 2013 and 2014. Our investigation covered aspects of soybean growth, development, yield components, isoflavones, and visual seed quality. Across all three varieties, isoflavone levels increased with later sowing dates, while other measured components exhibited significant variations based on the sowing date. This study also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the selection of suitable cultivars that perform well in soybean cultivation at various durations of maturity.

파종기가 잎들깨의 생육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e on Growth and Grain Yield of Vegetable Perilla)

  • 김성택;강영길;고미라;문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34-438
    • /
    • 2001
  • 제주지역에서 잎들깨 품종의 채종을 위한 적정파종기를 구명하고자 잎들깨 1호와 만백들깨를 5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생육 및 종실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종과 파종기간 상호작용은 생육일수에서만 유의하였다. 개화일수만이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잎들깨 1호가 만백들깨보다 약 2일 일찍 개화되었으나 성숙기는 약 1일 늦었다. 2. 파종이 5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늦어짐에 따라 두 품종의 평균 개화일수는 137일에서 77일로, 생육일수는 179일에서 121일로 짧아졌다. 3. 파종이 5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늦어짐에 따라 경장은 150cm에서 81cm, 분지수는 17.0개에서 7.3개, 주경절수는 16.9개에서 10.3개로 감소되었다. 4. 주당 화방군수는 5월 15일 파종에서 65.6개이었던 것이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점차 줄어들어 7월 15일 파종에서 50.7 개이었다. 화방당 삭수는 32.1~33.4개로 파종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000 입중은 5월 15일 파종에서 3.2 g이었던 것이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점차 무거워져서 7월 15일 파종에서 3.9 g이었다. 5. ㏊당 종실수량은 5월 15일 파종에서 1,820 kg이었던 것이 만파할수록 감소하여 7월 15일 파종에서 1,338 kg이었는데, 5월 15일과 30일 파종간에는 유의한 수량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주지방에서 잎들깨 품종의 채종을 위한 파종적기는 5월 상순-하순으로 보인다.

  • PDF

남부평야지 벼 무논 골뿌림 재배시 파종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Tim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Puddled Drill Seeding at Southern Plain Area)

  • 김상수;백남현;석순종;이선용;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2-220
    • /
    • 1995
  • 남부평야지에서 무논 골뿌림 재배시 파종기에 따른 입모장태,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하여 품종별 파종적기 및 만파한계기를 구명하고자 조생종인 신운봉벼, 중생종인 화성벼, 중만생종인 동진벼를 4월 25일부터 6월 25일까지 15일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기(4월25일) 파종에서는 파종후 출아기간이 저온으로 경과하여 출아기간이 길고 입모수가 적었으며, 품종별에는 동진벼>신운봉벼>화성벼의 순으로 입모수가 많았다. 2. 출수기로 본 만파한계기는 신운봉벼 6월10일, 화성벼 5월 31일, 동진벼 5월 25일이었으며 현미 1,000립종과 등숙비율은 5월10일 파종 또는 5월 25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고 신운봉벼는 6월 25일 파종에서, 화성벼와 동진벼는 6월10일이후 파종에서 등숙비율과 현미 1,000립종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3. 등숙비율로 본 출수후 40일간의 등숙적온은 22.6$^{\circ}C$이었고, 현미 1,000립종으로 본 등숙적온은 22.$0^{\circ}C$로서 이를 평년기상으로 볼 때 이리지방에서 일반계품종의 출수적기는 8월 23일경이었다. 4. 생육 및 수량으로 본 파종적기는 동진벼 5월 9일, 화성벼 5월,13일, 신운봉벼 5월 15일이었다. 따라서 입모장태, 출수기 및 수량으로 본 남부평야지에서의 파종조한은 5월1일이며 파종적기는 5월 상반순이고 만파한계기는 이생종 6월 5일, 중생종 5월 31일, 중만생종 5월 25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