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rainfall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3초

대전광역시 소유역에서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CSOs)의 배출특성 모델링 (Modeling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from a Small Urban Watershed in Daejeon City)

  • 김정곤;고익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54-6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대전천에 위치한 오정천지역의 소유역을 대상으로 CSOs 배출특성에 관한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SWMM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서 $2001{\sim}2004$년까지의 연간 유량, 수질, 및 부하량 변화에 대하여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의결과에 의하면, 강우에 의해 발생된 SS 유출부하량은 강우가 집중되는 $7{\sim}8$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때 강우의 증가에 비하여 부하량의 증가는 크지 않았는데 이는 강우가 잦은 $7{\sim}8$월에는 짧은 건기일수로 인하여 유출수의 SS농도가 낮아졌기 때문이다. $2001{\sim}2004$년 동안의 유량과 수질을 기초로 유출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SS가 연간 하천에 미치는 부하량은 건기에 9.3%, 우기에 90.7%로 우기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기시에 우수토실에서 월류를 통해 유출되는 CSOs는 38.4%, 차집관거로 차집 되어 하수처리장 방류구를 통해 방류되는 부분은 61.6%로 산정되었다.

실트펜스와 식생밭두렁 적용을 통한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포장실험 연구 (A Plot Scale Experiment to Analysis the NPS Reduction by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for Non-Irrigated Cropland)

  • 김성재;박태양;김성민;장정렬;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4호
    • /
    • pp.19-2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ollutant reduction effect by the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through field monitoring. The experiment plots were established with two replication and three treatments. Each plot was designed with 5 m width, 22 m length, and 3 % slope. Flumes with the floating type stage gages were installed at the outlet of each plot to monitor the runoff. For a rainfall monitoring, tipping bucket rain gage was installed within the experiment site. Cultivated crops were spring daikon and autumn chinese cabbage. Analysis of variance (ANOVA) indicated that the water quality concentration from three experiment plo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5 % of significant level. The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ollution loads reduced by silt fence compared to control were SS 75.33 %, TN 40.87 %, TP 56.58 %, BOD 52.12 %, COD 36.07 %, TOC 34.99 %; by vegetated ridge compard to control were SS 65.27 %, TN 81.80 %, TP 54.26 %, BOD 67.09 %, COD 46.55 %, TOC 43.30 %. Analysis of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BOD-SS and SS-Turbidity were highly related at the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plots. In all plots, SS-Turbidity and TP-TN relations were relatively high. The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silt fence and vegetated ridge were effect method to reduce the pollutant loads from the field runoff. Long-term monitoring is required to obtain more quantitative reduction effect for diverse crops an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results.

LED 선박용 항해등의 저온에서의 신뢰성 방안 (Reliable methods at low temperatures for LED navigation light of ships)

  • 양병문;차재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3-87
    • /
    • 2015
  • 선박에 설치되는 항해등은 해상교통 수단으로 상호간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해등의 사용은 주로 야간에 사용되며, 주간일지라도 강우, 연기 등에 의하여 제한된 시정 내에서는 사용되어야 하며, 특히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COLREG)의 항해 규정을 잘 이해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선박용 항해등(Masthead)제품의 구성은 LED 모듈, 콘트롤 보드, 컨버터, 프레넬 렌즈, 외함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하여 납품되는 선박 중 러시아 선급(RMRS)에서 항해등의 사용 환경이 $-52^{\circ}C$ 이하에서 신뢰성이 보증된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LED 항해등은 $-25{\sim}40^{\circ}C$에서 품질을 보증하고 있으며, 저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우발고장이나 장시간 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신뢰성 저하문제에 대한 검증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신뢰성 현황과 앞으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안지역 대기부유미립자상 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mbient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at Coastal Area, Kangwha)

  • 강공언;우상윤;강병욱;김희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
    • /
    • 199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gional level of air pollutants at Kangwha island situated on the western coast in Korea, th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amples were collected by using the low volume air sampler on ten interval from March 1992 to February 1993 and the mass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water-soluble major ionic components in SPM samples were measur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PM under diameter 10 $\mu$m was found to be 48 $\mu$g/m$^3$ (+ 12). The seasonal concentration of SPM was showed in order of spring>fall>winter>summer. It was considered that higher concentration on spring than other season was affected by the long-range transport of Yellow sand particulate from China continent and lower concentration on summer by the washout and rainout effect of large rainfall. The content of water-soluble component in SPM samples was founded to be about 31% (14.69 $\mu$g/m$^3$) and 65% was unknown or unanalyzed. The content of cationic component showed in order of NH$_4^+$ (44.6%)>Na$^+$ (21.2%)>K$^+$ (14.7%)>Ca$^{2+}$ (13.6%)>Mg$^{2+}$ (5.9 %) and the content of anionic component SO$_4^{2-}$ (62.5%)>NO$_3^-$ (22.3%)>Cl$^-$ (15.2%), respectively. This fact indicates that ammonium and sulfate ion of water-soluble component in SPM sample were dominant in this region. From the chemical composition of water-soluble component, the most of Na$^+$, Mg$^{2+}$ and Cl$^-$ were originated from seawater source but K$^+$, Ca$^{2+}$ and SO$_4^{2-}$ were originated from other non-marine source. The contribution of seasalt to the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was 23%.

  • PDF

부산지역 미세먼지 농도 분포에 따른 기상요소 분석 (Analysis on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M10 Concentration in Busan)

  • 김민경;정우식;이화운;도우곤;조정구;이귀옥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13-1226
    • /
    • 2013
  • $PM_{10}$ concentration is related to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including to local and synoptic meteorology. In this study the $PM_{10}$ concentrations of Busan in 2007~2011 were analyzed and the days of yellow sand or rainfall which is more than 5 mm were excluded. The sections of $PM_{10}$ concentration were divided according to 10-quantiles, quartiles and 90-quantiles. The 90-quantiles of daily $PM_{10}$ concentration were selected as high concentration dates. In the high concentration dates the daily mean averaged cloudness, mean daily surface wind speed, daily mean surface pressure and PBL height were low and diurnal variation of surface pressure and daily maximum surface temperature were high. When the high $PM_{10}$ dates occurred, the west and south wind blew on the ground and the west wind blew strongly on the 850 hPa. So it seemed that long 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made effects on the high concentration dates. The cluster analysis using Hysplit model which is the backward trajectory was made on the high concentration dates. As a result, 3 clusters were extracted and on the short range transboundary cluster the daily mean relative humidity and cloudness were high and PBL height was low.

GIS 및 다시기 RS 자료를 이용한 토양손질량 변화 및 이동경로 추정 (Estimation of Soil Loss Changes and Sediment Transport Path Using GIS and Multi-Temporal RS data)

  • 권형중;박근애;김성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39-152
    • /
    • 2002
  • 본 연구는 토양손실 추정 모형인 RUSLE를 이용하여 안성천의 평택수위관측소 (건교부)를 중심으로한 유역의 토양손실량 및 유실된 토사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지형정보 자료를 RS와 G1S 기법을 이용하여 구축함으로써 RUSLE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과거에 비하여 다양한 토지피복 형태가 변화된 안성천 유역(583.9 km)에 대하여 Landsat MSS 및 TM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변화에 대한 GIS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강우자료는 2개의 강우 관측소의 1993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평균 강우자료를 surface 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지점강우를 공간강우로서 변환하여 구축하며 토양손실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1990년에 비하여 2000년의 토양손실변화는 25.3 ㎢ 줄어든 산림지역의 토양손실량은 3751.2 ton/yr 감소한 반면, 22.5 km 늘어난 밭지역의 토양손실량은 5395.4 tou/yr 증가하였다. 따라서, 산림지역은 1.1배의 면적감소에 대하여 1.2배의 토양손실량이 감소된 반면, 밭지역은 1.3배의 면적증가에 대하여 4.4배의 토양손실량의 증가를 보여 밭지역이 토양손실량 변화 에 민감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역 전체의 토양손실량은 5.4 kg/㎡/yr로 증가하였다.

  • PDF

하천(河川)을 고려한 호소(湖沼)의 물 순환 정책방안 -충남·대전지역 농업용 호소의 체류시간을 중심으로- (Policy for Water Cycle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Downstream - Focused on HRT of Agricultural Reservoir in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이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46-253
    • /
    • 2011
  •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성한 호소에 장기간 물을 담수함에 따라 수질오염으로 이용가치 저하와 하류 하천이 건천화 되어 하천의 기능을 상실하는 등 유역내 잘못된 물 관리체계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충남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농업용 호소의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호소수의 체류시간은 8개월 이상을 유지하여 그 기간 동안 하류하천의 건천화가 나타났고, 호소수의 수질은 생활계 및 축산계 오염물질의 유입과 강수량에 따른 물 순환특성과 상당히 밀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호소 유역내수질오염물질 저감과 함께 하류하천이 건천화가 되지 않도록 담수량과 담수시기를 조절하고, 호소수 체류 시간은 가급적 짧게 유지하는 등 유역내 물 순환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EDI를 활용한 경상도 지역의 가뭄위험도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Risk in Gyeongsang-do Using EDI)

  • 박종용;유지영;최민하;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B호
    • /
    • pp.243-252
    • /
    • 2011
  •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는 우리나라에서 가뭄의 발생확률을 증가시키고 있다. 가뭄의 발생은 다른 자연재해와는 달리 지속기간이 길고, 피해지역이 광범위하여, 사회경제적으로 겪는 피해가 다른 자연재해보다 크다. 현재 가뭄의 심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기후학적 인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뭄지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학적 인자를 고려한 가뭄지수와 재해에 취약한 사회경제적 요소를 고려하여 가뭄위험지도를 작성함으로써 좀 더 현실적인 가뭄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도 지역에 대한 가뭄의 공간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가뭄위험도를 노출성 지수와 취약성 지수의 결합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가뭄의 노출성 지수는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GIS를 기반으로 공간적 범위에 분포시켰으며, 가뭄의 취약성 지수는 사회경제적인 5가지 인자를 이용하여 산정하고, 표준화를 통하여 공간적 범위에 분포시켰다. 그 결과 대상지역인 경상도 내 시군구 지역별 가뭄에 대한 위험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으며, 같은 강도의 가뭄이 발생하여도 경상도 내 행정구역별 지역적 특성에 따라 가뭄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다중 기상모델 앙상블을 활용한 다지점 강우시나리오 상세화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Multisite Spatio-Temporal Downscaling Model for Rainfall Using GCM Multi Model Ensemble)

  • 김태정;김기영;권현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327-340
    • /
    • 2015
  • 기후모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GCM의 불확실성 및 시공간적 편의로 인하여 GCM으로부터 생산된 기상정보를 응용수문분야에서 직접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세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비정상성 은닉 마코프 모형(Non-stationary Hidden Markov Chain Model, NHMM)을 기반으로 다지점 공간상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 Chow-Liu Tree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유역단위 강우시나리오 상세화 기법(CLT-NHMM)으로 확장하였으며, 낙동강 유역에 적용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상관행렬(correlation matrix)을 통한 강우네트워크의 공간상관성 평가결과 유역상관성이 우수하게 모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강수의 빈도 및 양적 관점에서 효과적인 모의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CLT-NHMM 모형은 수자원뿐만 아니라 수문자료를 입력 자료로 하는 농업, 보건, 환경 및 에너지 등 다양한 응용기상분야에 핵심 기술로 활용이 전망된다.

전남지역의 기상요인이 과맥의 생육 및 수량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Some Weather Factors in Chon-nam District on Plant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Naked Barley)

  • 이돈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100-131
    • /
    • 1975
  •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naked barley production.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yield or yield components and some meteorogical factors for yield prediction we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basic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carried out for 16 years from 1958 to 1974 at the Chon-nam Provincial Office of Rural development. The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s among the yield or yield components and meteorogical factors were calculated for the study. Days to emergence ranged from 8 to 26 days were reduced under conditions of mean minimum air temperature were high. The early emergence contributed to increasing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s as well as to earlier maximum tillering and heading date. The plant height before winter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hours of sunshine. On the other hand, plant height measured on march 1st and March 20t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hours of sunshine during the wintering or regrowth stage. Kernel weights were affected by the hours of sunshine and rainfall after heading, and kernel weights were less variable when the hours of sunshine were relatively long and rainfalls in May were around 80 to 10mm. It seemed that grain yields were mostly affected by the climatic condition in March. showing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yield and mean air temperature, minimum air temperature during the period. In the other hand, the yield was shown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hours of sunshine. Some yield prediction equations were obtained from the data of mean air temperature, mean minimum temperature and accumulated air temperature in March. Yield prediction was also possible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hich were derived from yield data and the number of spikes and plant height as observed at May 20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