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son

검색결과 1,402건 처리시간 0.026초

수업 설계안 구조 변화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수업 설계 특징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design prepared by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s of lesson design template)

  • 이선영;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77-110
    • /
    • 2021
  • 본 연구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를 주제로 한 참여형 수업을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이라 명하고, 이러한 수업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수업 설계에 주목했다. 교사가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사고와 그에 대한 교육적 피드백을 여러 측면에서 예상할 뿐 아니라, 예상한 학생 답변을 의도적으로 배열하고 그것들을 목표와 연결하는 방법을 미리 계획할 필요가 있다.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단계 수업 설계안은 교사가 수업의 도입, 전개, 그리고 정리에 따라 일련의 수업 계획을 기록해볼 수 있는 틀을 제공하지만, 외현적 수업 활동에만 초점을 두게 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단계 수업 설계안을 보완한 학생 사고기반 수업 설계안을 제시했다. 그리고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을 위한 과제, 학생 참여, 그리고 교사 역할에 관련된 문헌 검토 결과를 종합한 개념적 틀을 렌즈로 하여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3단계 수업 설계안과 학생 사고기반 수업 설계안의 차이를 분석했다.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시선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Gaze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on Mathematics Lesson Plan)

  • 손태권;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경력교사가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시선 추적(Eye-track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두 그룹의 시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을 경력교사에 비해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선조적인 방식으로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였다. 반면, 경력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핵심 주제어들을 찾아 연결성을 만들어가는 하이퍼텍스트 읽기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수학 수업모형의 핵심 영역을 방문하는 시간이 유의미하게 길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역량을 지도할 때 숙고해야할 여러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업사이클링 주제의 가정과 의생활 영역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Clothing Section of Home Economic Focused on Up-cycling)

  • 양현숙;이연희;어미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9-6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up-cycling' first-hand during class and understand its significance by helping them improving their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Teachers of home economics, Korean, and social studies to third grade middle schooler were asked to analyze the curriculums of their subjects. The analysis results were then used to identify common elements among the units, reconstruct the curriculums, and develop an integrated lesson program to offer integrated activities. Based on these, a lesson program was developed to make an eco-bag and running shoes under the theme of 'up-cycling' in the unit of 'environmentally-friendly clothing and mending of clothes' in the home economics subj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pical fusion lesson program was developed to integrate three subjects together. The development process involved the integration of the topic of up-cycling, a program model for integrated lessons, and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r topical integrated education. Secondly, a lesson program for home economics was developed that was applicable to actual home economics lessons based on the topical integrated lesson program. The lesson domains were divid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to create a ten-less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needed for the lessons, teaching materials that could be put to actual uses in lessons, and activity and evaluation logs for learners.

  • PDF

'정의'의 재발명을 상상하다 : Lesson Play의 분석 (Imagining the Reinvention of Definitions : an Analysis of Lesson Plays)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667-68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도형 정의의 재발명에 대해 세 교사가 쓴 lesson play를 통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정의 개념과 연역적 조직화로서의 정의하기를 가르치고자 할 때 봉착했던 교수학적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교사들은 lesson play에서 도형의 정의를 주입식으로 전달하지 않았으며 여러 다른 정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연역적 조직화로서의 정의하기를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는 없었다. 교사들은 정의를 어떤 용어에 대한 언어적 약속으로 생각하여, 정의를 가르치는 데 있어 연역적 조직화와 같은 과정이 왜 필요한 지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또 수학적 정의의 임의성 및 정의와 정리의 지위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수용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들이 도형의 수학적 정의를 자신이 배웠던 방식과 다르게 가르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에서 단순히 Freudenthal의 이론과 같은 이상적인 교수 방향 및 철학을 소개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상식적인 정의 개념과 수학적 정의 개념의 차이를 인식하고 반성해보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한 장애인 스키 교수법 개발 (Development of Disabled Ski Teaching Method for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이용국;조건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99-40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스키 강습의 문제점과 장애인 스키 강습 중요 요인 탐색을 통한 장애인 스키 지도 매뉴얼을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조사대상은 2015년 대한장애인체육회 스키 학교 지도자 14명, 특수체육 전공교수 3명, 장애인 스키 전문가 3명, 장애인 스키 국가대표 지도자 3명 등 총2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15 대한장애인체육회 스키학교 지도자를 대상으로 장애인 스키 활성화 장애요인에 대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지도자, 지도 프로그램, 정책, 시설, 장비, 홍보부족, 접근성, 무관심, 대상 부족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 요인들 중 정책, 시설, 프로그램, 지도자, 장비 요인을 대상으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 장비, 시설, 정책 순으로 우선순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스키 지도 매뉴얼 개발 결과는 장애유형에 따라 투-트랙, 쓰리-트랙, 포-트랙, 모노스키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창의적 사고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 applying STEAM Education on Creative Thought Activ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배진호;소금현;윤봉희;김진수;한국인;김성길;이경래;이종화;오동주;김해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762-77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 applying STEAM education on th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two classes of the $3^{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One class including 26 students w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including 27 students was comparison group. For the purpose of study, the lesson unit 'The world of animals' was practised, the reorganized unit applying STEAM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whereas comparison group was taught traditional science les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lesson applying STEAM educ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e thought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science lesson applying STEAM educ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 대한 비평적 접근 (A Critical Approach to an Elementary Science Lesson Using a Digital Science Textbook)

  • 임희준;오필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270-28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것이 과학 교육 측면에서 어떤 함의를 제공하는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과학 교과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지구와 달 단원의 수업을 질적으로 기술하고 수업 현상의 구조를 분석한 후 그 의미를 비평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이미 확립되어 있는 초등 과학 수업의 구조나 교실 상호작용 양상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의 활용이 초등 과학 수업 방식에 변화를 주어 새로운 교실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때는 디지털 과학 교과서의 본질과 개발 방향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하고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고유한 교수법적 역할의 변화가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PDF

소수 나눗셈 수업의 계획, 실행, 비평 과정에서 초등교사의 성찰과 실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flection and Practic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Process of Planning, Executing and Criticizing a Lesson on Division with Decimals)

  • 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3호
    • /
    • pp.309-327
    • /
    • 2018
  • 이 연구는 소수 나눗셈 수업을 중심으로 초등교사의 수업 성찰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초등교사가 수학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동료교사들과 자신의 수업을 비평하는 과정에서 어떤 고민을 하고 있으며 그 초점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수업을 계획하는 교사,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 동료교사와 자신의 수업을 비평하는 교사로 구분하고, 수학 목표, 과제의 실행, 수학적 표현, 수학적 담론, 질문의 설정, 개념적 이해와 절차적 능숙함, 생산적인 어려움, 학생 사고의 증거 활용 등의 8가지 측면을 따라 각 시기의 초등교사의 성찰과 실천을 분석하였다.

수업설계와 예비교사의 학습: 수학교수관행을 분석틀로 사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 검토 활동이 어떤 도움이 되는지에 관한 고찰 (Lesson Planning: How Do Pre-service Teachers Benefit from Examining Lesson Plans with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as an Analytical Lens?)

  • 이지은;임웅;김희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211-222
    • /
    • 2016
  • 본고는 미국수학교사협의회(NCTM)의 대표적 최신 출판물인 원리에서 실천으로(Principles to Actions)에 제시된 8개 항목의 수학교수관행(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MTPs)을 분석의 틀로 이용하여, 초중등 예비교사들이 수업지도안 수정활동에 참여한 과정을 보고하고 있다. 이 과제는 주어진 수업지도안을 분석하고 수정하는 활동을 포함한 4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57명의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 간에 걸쳐 이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초기개념은 수업관행(가령 MTPs)을 미약하게 반영하고 있었으며, 지도안 구성요소들의 기능보다는 형식을 더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MTPs를 수업지도안 분석의 틀로 이용하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예비교사들이 MTPs 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보여주었고, MTPs를 수업지도안에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MTPs 간의 상호연계성에 더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고는 이 수업지도안 수정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겪은 도전 및 갈등도 제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MTPs의 효과적 사용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는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대학에서 컴퓨터와 인터넷 마케팅 교과간 융합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lesson about Computer with Internet Marketing subject in University)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7-12
    • /
    • 2018
  • 지식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빠르게 발전하는 사회속에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의 연계가 강조되는 융합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과학, 기술, 예술, 인문, 수학, 공학 등을 아우르는 창의적 사고력과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지니도록 교육에서도 분과학문적인 지식의 틀을 깨고 새로운 발상을 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산업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컴퓨터 교과와 인터넷 마케팅 교과간 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 수업의 과정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융합 수업의 과정은 관련 교과 선정, 주제 선정, 수업설계, 수업 지도안 작성 및 문제 개발, 융합 수업 전 과정에 대한 논의, 수업 실행, 수업 평가의 7 단계로 설계되며 수업이 진행된 후 평가의 내용을 피드백하여 다음 주제 선정이 이루어지는 순환적 과정이다. 셋째, 컴퓨터 공학입문과 인터넷 마케팅 교과목 융합 수업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교수 설계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실제 많은 강의 현장에 적용해 보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