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the Abilit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 노인순;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5-45
    • /
    • 2012
  • 본 연구는 인천과 경기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435명과 그들의 어머니 4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t검증과 F검증 및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기조절능력, 유아리더십에서 여아가 높게 나타났다. 출생순위에서는 둘째이상의 유아를 둔 부모가 통제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취업여부에서는 취업모가 더 자율적이고 통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과 월 소득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리더십에서는 취업모의 유아가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리더십과 부적상관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리더십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가정의 월 소득이 높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이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유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 안선신;윤현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1-84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있는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291부를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복감 하위요인인 외적행복과 자기조절행복은 보육교사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셀프리더십 하위요인인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은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아권리존중 하위요인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은 보육교사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발달권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감, 셀프리더십, 유아권리존중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시대가 요구하는 유아권리존중 인식이 높은 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을 증진시키는 제도 및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유아 수줍음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Shy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ren Relationship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노진희;김희화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shy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ren relationship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0 children from three years to five years old and their teachers in Busan. Frequency, t-test, Cronbach ${\alph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al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ren intima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eacher-children conflic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teacher-children intimac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young children's shyness. Teacher-children conflic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young children's shyness. Third, young children's shy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urth, young children's shyn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ren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Young children's shyn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ren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popularity and leadership. Young children's shyn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hildren conflict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Young children's shyn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ren conflict and young children's popularity and leadership.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창의적 리더십의 차이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Creative Leadership according to Preschool Children's Peer Popularity)

  • 문병환;홍지명;김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51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라 창의적 리더십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178명(남 98명, 여 8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월령은 74.65개월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인기도와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 그리고 하위 요소인 문제해결 리더십의 창의적 사고력, 개인적 리더십의 자기관리, 사회적 리더십 및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 인기도가 높은 상집단이 중 하집단보다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와 문제해결 리더십의 창의적 사고력, 개인적 리더십의 자기관리, 그리고 사회적 리더십과 하위요소인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또래 인기도가 유아의 창의적 사고, 자발적인 자기관리, 그리고 대인관계 능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기관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와의 관계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Culture and Emotional Leadership of Director -Young Children's Education Institute-)

  • 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77-385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장인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어떤 상관이 있으며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며, 감성리더십 수준에 따라 조직문화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시와 수도권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 164명을 대상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에 대한 설문지를 각각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와 회귀분석과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장의 감성리더십의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사회적인식 능력, 관계관리 능력 등 모든 하위요인과 조직문화의 모든 하위요인인 인적자원 문화, 개방체계 문화, 위계질서 문화, 생산중심 문화 요인은 밀접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직문화를 설명하는 기관장 리더십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인적자원 문화와 위계질서 문화는 관계관리 능력 리더십이 의미있는 설명력을 보였으며, 개방체제 문화는 자기인식 능력 리더십, 생산중심 문화는 사회인식 능력 리더십이 의미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관장의 리더십 수준이 높은 집단의 조직문화의 성향점수는 기관장의 감성리더십이 낮은 집단보다 조직문화의 성향점수가 더 의미있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기관장의 리더십은 조직문화와 밀접한 상관이 있으며 의미있는 영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따라 기관장들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하며 리더십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숲 체험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Happiness Fullness)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09-317
    • /
    • 2019
  • 본 연구는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어린이집의 A반 유아 실험집단 20명과 B반 유아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동일연령의 환경이 비슷한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 충만감에 대해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계획한 2개월간 16차시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연계활동을 주제로 실외활동을 한 후 사전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재창조능력, 인간관계, 목표달성, 통솔력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행복충만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제와 동시에 촉진요소임이 판정되었다. 이는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에게 놀이를 제공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의 즐거움과 행복충만감을 촉진하게 됨을 의미한다.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Eunkyung Jo;Kyoil Seo;Boram Nam;Deokyong Shin;Seohyun Kim;Youngil Jeong;Aeju Kim;Yeni K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1호
    • /
    • pp.21-29
    • /
    • 2023
  • This paper reviews the global effect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on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the U.S., Japan, and China. We reviewed research on deteriorated mental health, including increased suicide, suicidal thoughts, and self-harm. Var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mental health issue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have worsen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committed suicid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U.S. and Japan. Factors such as prior mental health status, change in daily routine, reduced physical activity, excessive screen time, overuse of electronic devices, and reduced social support have been repor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chain of deteriorating mental health among the youth began at the onset of COVID-19, social distancing, and school closure. As youths began to stay at home instead of going to school, they lost opportunities to connect with their friends or teachers, who could provide support outside of their homes. Young people spent less time on physical activity and more time online, which damaged their sleeping schedule and daily routine. In preparing for the post-pandemic phase, we should thoroughly analyze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andemic on youth mental health, while simultaneously tackling current imminent issues.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 김여옥
    • 아동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05-118
    • /
    • 2003
  • Construction of the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PBSYC) was based on document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development specialists. After 200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ed the 42 items of the PBSYC,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tem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factors: leadership, helping, communication, concern, proximity, sharing and empathy. As factors showed high correlation. The prosocial behavior of 306 4 to 5 year old children was measured with the PBSYC and compared with the Babock, Hartle & Lamme(l995) scale. The resulting correlation between the 2 scales was .764. Further tests indicate that the PBSYC is a valid and reliable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rosocial behavior in young children.

  • PDF

유아기 아동의 사회적 능력: 수줍음 및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과의 관계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s Relations with Their Shyness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

  • 서유진;최미경;도현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5호
    • /
    • pp.239-249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children's shyness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ren's shyness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195 mothers of 3-year-olds and their 13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obtain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shyness, parental involvement, and social competence. Findings revealed that shy children showed less popularity leader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both boys and girls. The more orchestrations mothers exerted, the more popularity leadership boys showed. And the more advice and support mothers provided, the more interpersonal adjustment girls showed. For boys, shyness was more influential on popularity leadership than maternal orchestrations wer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ole of shyness in children's early social competence for both boys and girls.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y)

  • 이상은;이주리
    • 아동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1-85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132 4 or 5-year-old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recruited from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maternal parenting influenced children's peer competency. Seco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fluence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y. Third, the association between overprotective and permissive maternal parenting styles and young children's leadership abilities were negative only in the low cognitive playfulness group. Fourth,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rejective and negligent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libility were found to be negative only in the low physical playfulness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