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the Abilit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s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which is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 elements,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the ability of children' self-regulation with subjects of 435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ldren's total leadership according to the gender. Regarding differences of mother's rearing attitude, boys showed higher self-control and leadership than girls. In differences of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girls had a higher ability of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than boys. For birth order, parents who had more than 2 children show higher Control enemy rearing attitude. Regarding mother's employment, a working mother had freer rearing attitudes. Regarding a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ere differences of groups among rearing attitudes. In differences of family monthly income, there were differences regarding AE static rearing attitudes,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nd get-up-and-go of leadership. Secondly,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rearing attitudes ha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nd control enemy rearing attitudes. Thirdly, the children's leadership is high when the family income is high, mother's rearing attitude is free and children's ability of self-control is high.

본 연구는 인천과 경기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435명과 그들의 어머니 4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t검증과 F검증 및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기조절능력, 유아리더십에서 여아가 높게 나타났다. 출생순위에서는 둘째이상의 유아를 둔 부모가 통제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취업여부에서는 취업모가 더 자율적이고 통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과 월 소득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리더십에서는 취업모의 유아가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리더십과 부적상관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리더십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가정의 월 소득이 높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이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유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인숙(2010). 아동불안 선별도구 개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공인숙(1989). 부모의 온정 및 통제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선(2005).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수정(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권윤정(1999).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어머니 양육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순자(2001). 아동의 가정환경변인과 리더십간의 관계분석. 가족복지학회지, 6(2), 5-23.
  7. 김정아(1990).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제 변인에 관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진혜(2009).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놀이성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노현미, 최외선, 박인전(2009).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친구관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281-292.
  10. 문혁준(2000). 또래수용도와 부모 양육태도: 인기아와 고립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7), 39-52.
  11. 문혁준(2010). 취학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기질, 또래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35-46.
  12. 박미숙(2008).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성아(2010). 유아의 리더십, 친사회적행동 및 기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성연, 강지훈(2005). 남녀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15. 서기남(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서기남, 문혁준(2008). 발달적으로 적합한 실제(DAP)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아동기 양육경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9(3), 23-40.
  17. 안현숙(2000).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양혜련(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기도와 사회적 문제해결 행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은진(2005). 유아 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영주(1990). 부모의 온정, 통제 및 형제자매 환경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28(2), 107-118.
  22. 이일선(200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연실(2011).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173-203.
  24.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채호, 최인수(2008). 교사용 유아리더십 평가척도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학회지, 13(3), 23-37.
  26. 이학선(2007).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유아자율행동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임은경(2009).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과 친사회적 능력 및 리더십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장영숙, 황윤세(2009). 교사평정용 유아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9 (4), 5-22.
  29. 최미향(2002).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한유진(2004).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 및 정서조절능력과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42(3), 65-77.
  31. Barrett, L. F., & Gross, J. J. (2001). Emotional intelligence. In T. J. Mayne & G. A. Bonanno(Eds.), Emotion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2. Becker, W.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Hoffman. & L. Hoff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1 (pp. 169-208). NY: Russell Sage.
  33.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e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4. Bronson, M. B. (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 Nature and nurture. NY: The Guilford Press.
  35. Cohn, D. A. (1990). Child-mother attachment of six-year-olds and social competence at school. Child Development, 61, 152-162. https://doi.org/10.2307/1131055
  36. Gage, F. H., & Lieberman, A. F. (1978). A multivariate analysis of social dominance in children. Aggressive Behavior, 4, 219-229. https://doi.org/10.1002/1098-2337(1978)4:3<219::AID-AB2480040304>3.0.CO;2-B
  37. Gardner, H. (2007). F ive minds for the future. Massachusett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38. Mitchell, A. (1997). Reflections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development: Finding your own path in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In S. L. Kagan & B. T. Bowman(Eds.), pp. 85-96. NAEYC, Washington, DC.
  39. Pianta, R. C., Nimetz, S. L., & Bennett, E. (1997). Mother-child relationship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chool outcome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263-280. https://doi.org/10.1016/S0885-2006(97)90003-X
  40. Rubin, K. H., LeMare, L. J., & Lollis, S. (1990).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Developmental pathways to peer rejection.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pp. 217-24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Schaefer, E. S., Bell, R. Q., & Bayley, N. (1959). Development of Materi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he Journal of Genetic P sychology, 95, 83-104. https://doi.org/10.1080/00221325.1959.10534247
  42. Umberson, D., & Gove, W. R. (1989). Parenthoo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Family Issues, 10(4), 440-462. https://doi.org/10.1177/01925138901000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