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ching index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6초

Ion-stuffing방법에 의한 GRIN glass의 제조와 특성 (Characteristics and Fabrication of GRIN glass by ion-stuffing method)

  • 진영훈;한덕희;이병철;류봉기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0-246
    • /
    • 2001
  • The possibility of using a glass block with the composition of sodium borosilicate as starting materials for GRIN glass was examined from the view points of the phase separation of the matrix glass, the effects of leaching and the heating conditions for a porous structure, and the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Glass specimens with similar compositions were prepared in the form of porous glass using a phase-separation technique. An examination of the heating and leaching conditions and the microstructure dependence of these conditions was made.; Specimens with porous structure were obtained when the heat treatment and leaching conditions were fixed at $540^{\circ}C$ for 30hrs and in a 0.3N$ H_2$$SO_4$ solution at $100^{\circ}C$, respectively. The resultant specimens had some important features on the GRIN glass.; the depth of the gradient and the change in refractive index (Δn) were 4mm and 0.015~0.02, respectively.

  • PDF

CHROMIUM LEACHABILITY FROM STABILIZED/SOLIDIFIED SOILS UNDER MODIFIED SEMI-DYNEMIC LEACHING CONDITIONS

  • Moon, Deok-H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294-305
    • /
    • 2005
  • The effectiveness of fly ash-, quicklime-, and quicklime-fly ash-based stabilization/solidification(S/S) in chromium(Cr) contaminated soils was investigated using modified semi-dynamic leaching tests. Artificial soil samples composed of kaolinite or montmorillonite contaminated with chromium nitrate(4000 mg $Cr^{3+}\;kg^{-1}$ of solid) were prepared and then subjected to S/S treatment using quicklime, fly ash, or quick lime-fly ash.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was evaluated by assessing the cumulative fraction of leached $Cr^{3+}$ as well as, by computing the effective diffusivity ($D_e$) and the leachability index (LX) of the treated samples. The reduction in $Cr^{3+}$ release for the untreated samples was more pronounced in the presence of montmorillonite, which was attributed to sorption. Treatment with quicklime, fly ash, or quick lime-fly ash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Cr^{3+}$ release most probably due to the formation of pozzolanic reaction products and $Cr(OH)_3$ precipitation.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was observed in montmorillonite-sand soil samples treated with quicklime-fly ash (99.8% removal). The mean $D_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mean LX was greater than 9 for all treated samples, indicating that the treated soils were acceptable for "controlled utilization". The mechanism controlling $Cr^{3+}$ leaching from all treated samples during the first 5 days appeared to be diffusion.

Estimation of radionuclides leaching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sized geopolymer waste forms with simulated spent ion-exchange resin

  • Younglim Shin;Byoungkwan Kim;Jaehyuk Kang;Hyun-min Ma;Wooyong U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0호
    • /
    • pp.3617-3627
    • /
    • 2023
  •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to solidify spent ion-exchange resin (IER) in a metakaolin-based geopolymer and shows results of mechanical strength, immersion, leaching, irradiation, and thermal cycling tests for waste acceptance criteria (WAC) to repository. The geopolymer waste form with 20 wt% of simulated spent IER met the WAC in South Korea (ROK), and the leaching tests of various sized-waste forms up to 15.0 × 30.0 cm and waste loadings up to 20 wt% for 1-5 d and 1-90 d achieved a leachability index, Li > 6. In a leaching test for 5 d, the cumulative fraction leached (CFL) for Cs, which leached the most, was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square root of leaching time for all waste forms, and Li increased as the size of the waste form increased. The CFL was also correlated with elapsed time in the 90 d leaching test. The correlations among CFL, time, and volume-to-surface area ratio of waste forms used to estimate the Li of Cs of a 200-L sized geopolymer with 15 wt% IER showed the Li values as 14.73 (5 d) and 17.71 (90 d),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large-sized geopolymer waste form met the WAC.

LEAD LEACHABILITY FROM QUICKLIME TREATED SOILS IN A DIFFUSION CONTROLLED ENVIRONMENT

  • Moon, Deok-H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112-121
    • /
    • 2005
  • The effectiveness of quicklime-based stabilization/solidification (S/S) in immobilizing lead (Pb) was assessed by performing semi-dynamic leaching tests (ANS16.1). In order to simulate landfill leaching conditions, the ANS 16.1 test was modified by using 0.014 N acetic acid (pH = 3.25) instead of distilled water. Artificial soil samples as well as field soil samples contaminated with Pb were tested. The effectiveness of quicklime treatment was evaluated by determining diffusion coefficients ($D_e$) and leachability indices (LX). A model developed by de Groot and van der Sloat was used to elucidate the controlling Pb leaching mechanisms. Overall, upon quicklime treatment Pb leach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l of the samples tested. The mean LX values were higher than 9 for an artificial soil sample containing 30% kaolinite treated with 10% quicklime and for a field soil sample treated with 10% quicklime, which suggests that S/S treated soils can be considered acceptable for "controlled utilization". Moreover, quicklime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in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with high kaolinite content (30%), indicating the amount of cla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the treatment. The controlling Pb leaching mechanism was found to be diffusion, in all quicklime treated samples.

원전 폐콘크리트의 방사성 폐기물 처분용 고화제로의 활용을 위한 고화체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Solidifying Agent for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s Using Waste Concrete Powder)

  • 서은아;이호재;권기현;김도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51-459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서 분리된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방사성 폐기물용 고화제로 재활용하기 위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서 분리된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모사한 시료를 제작하였으며, 주요 변수는 결합재 종류와 제올라이트 혼입율이었다. 고화제 특성평가는 유동성과 압축강도 및 비방사성 세슘에 대한 침출 저항성을 수행하였다. 폐콘크리트 모사시료의 압축강도는 제올라이트 혼입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제올라이트가 5% 이상 혼입된 고화제는 인수기준 대비 1.4~1.7배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모든 시험체의 세슘 침출지수는 6 이상으로 인수기준을 만족하였으며, SA의 침출지수는 OPC 대비 1.47~1.63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제올라이트 5% 치환 고화제의 28일 이후 평균 침출지수는 9.15으로 OPC 대비 약 6.4% 향상되었으며, 전 기간 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나타내어 제올라이트가 세슘이온에 대한 침출저항성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방사성고화체로 부터의 Co, Cs침출에 대한 표준시험법의 상호비교 (Comparative Evaluation of Various Standard Methods in Leaching Test of Radioactive Waste Form)

  • 김기홍;유영걸;정경기;홍권표;이락희;정의영;고덕준;김헌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21-31
    • /
    • 2003
  • IAEA, FT-04-020, ANS 16.1의 침출시험법을 각각 수행하여 얻은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상호비교 평가하였다. 붕산을 함유한 파라핀 및 시멘트 고화체에서의 Co-60과 Cs-137의 침출지수는 6이상이었으나 고화매질과 탈염수의 종류에 따라 상반되는 침출거동을 보였다. 침출수로 합성해수와 탈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Co는 시멘트 고화체에서는 합성해수, 파라핀 고화체에서는 탈염수에서 침출이 높았다. 반면에 Cs의 침출정도는 시멘트에서는 탈염수, 파라핀에서는 합성해수에서 높았다. Co의 침출분율은 시멘트 고화체에서 IAEA > ANS > FT의 순으로 높았으며, 반대로 파라핀 고화체에서는 이의 역순이었다.

  • PDF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토양흡착성과 간이선발모형을 이용한 용탈 잠재성 평가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Four Soils and the Evaluation for Their Leaching Potential Using Two Screening Models)

  • 김찬섭;박병준;임양빈;류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9
    • /
    • 2005
  • 유기인계 농약 5종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4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이온성 농약인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diazinon, fenitrothion, isazofos, parathion과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fenobucarb(BPMC)와 metolcarb 및 카바메이트게 제초제 dimepiperate와 molinate를 대상농약으로 하였고, 논, 밭, 산림토양 및 제주도 화산회토를 시험토양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metolcarb, molinate, 및 fenobucarb는 mobile, isazofos를 포함하는 6종 농약은 토양에 따라 moderately mobile 또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그리고 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한 용탈잠재성은 metolcarb, fenobucarb 및 molinate는 용탈 가능성이 있고 isazofos, dimepiperate 및 diazinon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enitrothion, parathion 및 chlorpyrifos-methyl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변형하여 Koc값 대신에 Kd값으로 평가하면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제주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낫은 다른 토양에 비하여 농악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하나 농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흡착성에 따른 용탈 잠재성 평가 (Leaching potential o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procymidone in soils as affected by adsorption characteristics)

  • 김찬섭;이병무;임양빈;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9-319
    • /
    • 2002
  • 주요 농약 5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이온성 농약인 토양살충제 ethoprophos, 원예용 살균제 procymidone, 도열병약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및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였고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논, 밭 및 산림토양으로 구분, 3종의 토양을 대상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토양에 대한 Freundlich 흡착계수(K)는 ethoprophos $0.35{\sim}0.95$, iprobenfos $0.98{\sim}2.2$, procymidone $1.2{\sim}4.3$, isoprothiolane $1.5{\sim}3.5$, butachlor $7.9{\sim}19$ 범위이었고, 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ethoprophos는 mobile,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은 moderately mobile, 그리고 butachlor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또한 유기물에 대한 흡착계수(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 (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하여 용탈잠재성을 평가하였다. 두 평가방법에 의하여 isoprothiolane과 iprobenfos은 중간 정도의 용탈 가능성이 있고 ethoprophos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utachlor와 procymidone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대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높은 양토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낮은 식양초에 비하여 농약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방사성고화체로부터의 $^{60}$ Co, $^{137}$ Cs 침출에 대한 표준시험법의 상호비교 (Comparative Evaluation of Various Standard Methods in Leaching Test of Radioactive Waste Form)

  • 김기홍;유영걸;정경기;홍권표;이락희;정의영;고덕준;김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3-103
    • /
    • 2003
  • IAEA, FT-04-020 및 ANS 16.1의 침출시험법을 각각 수행하여 얻은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상호 비교 평가하였다. 붕산을 함유한 파라핀 및 시멘트 고화체에서의 $^{60}$Co 과 $^{137}$Cs의 ANS 16.1의 침출지수는 6이상이었으나 고화매질과 탈염수의 종류에 따라 상반되는 침출거동을 보였다. 침출수로 합성해수와 탈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60}$Co는 시멘트 고화체에서는 합성해수, 파라핀 고화체에서는 탈염수에서 침출이 높았다. 반면에 $^{137}$Cs의 침출정도는 시멘트에서는 탈염수, 파라핀에서는 합성해수에서 높았다. $^{60}$Co의 침출분율은 시멘트 고화체에서 IAEA > ANS > FT의 순으로 높았으며, 반대로 파라핀고화체에서는 이의 역순이었다.

  • PDF

토양 및 광미의 용출실험을 이용한 폐광산오염수준의 모니터링 (Pollutant Monitoring of Abandoned Mines using the Leaching Test with Soils and Tailings)

  • 강미아;김광태
    • 지질공학
    • /
    • 제17권3호
    • /
    • pp.419-424
    • /
    • 2007
  • 국내에서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폐광산으로부터의 중금속오염도 모니터링사업을 위해 토양 중의 중금속 함양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중금속의 오염도 수준은 토양 중의 농도 뿐 만 아니라 이들의 용출 및 이동에 의한 오염도 확산에 의한 평가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이 심한 폐광산 인근의 토양과 광미를 대상으로 용출시험을 실시하여 8개 중금속의 용출 수준을 파악하였다. 2개 지점에서의 시료를 대상으로 한 결과, Pb, Cd 및 Mn의 용출거동이 유사하였고, Cu와 As의 용출거동이 유사하였다. Zn의 경우에는 다른 중금속과 달리 45일간의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용출이 발생하였으며, 높은 농도(40 mg/kg)로 검출되었다. 이것은 아연의 총함유량이 많은 것과 토양중에서 이온상태로 쉽게 용출되는 ORP의 조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중금속의 용출에는 pH 뿐 만 아니라 산화환원전위도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폐광산 관리에 있어서는 중금속의 함유 농도 뿐 만 아니라 이들의 산화환원전위도 함께 조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물리적 특성을 기초로 화학형태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용출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폐광산 유래의 중금속으로부터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