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criteria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2초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 연구 (A Study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Criteria)

  • 주신하;임승빈
    • 농촌계획
    • /
    • 제14권4호
    • /
    • pp.69-7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criteria for Korean rural area. For this, the meaning of rural landscape is defined, and the legislative framework and several legal processes are surveyed, including the deliberation system for natural landscape impacts and the Landscape Law recently legislat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analysis,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criteria are proposed, which have step-by-step processes; goals and objectives, analysis and estimation for present conditions, basic planning concept, landscape planning for different visual landscape types, landscape designing for visual elements, and practical action plans. Each processes are designed considering the existing legislative framework, so it can be well-matched to current systems. But, because there are few rural landscape plans so far, comparing to the urban landscape plans, the validity of this criteria should be verified in the future studies.

조망점의 선정기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and Trends in Selecting Viewpoint)

  • 방재성;송병화;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0-7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fundamental data for setting a valid viewpoint as the base of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 To do this, we analyzed the preceding dissertations and landscape plan reports which presented the selection criteria of viewpoint. 37 research samples containing the criteria of viewpoint were investigat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trends of viewpoint were analyzed as follows : Firstly, by analyzing the preceding researches we were able to grasp the criteria that had been used to set viewpoint. Secondl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riteria of selecting the viewpoint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research time and view object. Finally, we analyzed the trends of viewpoint selection criteria and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criteria of viewpoint based on an overview of the research conte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riteria of viewpoint are intimately linked to the view object, the purpose and role of viewpoint which is related to the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 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find that the selection criteria and trends of viewpoint have been used in the research related to the view plane following the 1990's. Hereafter, additional research and the comparisons with researches abroad is necessary to set the objective selection criteria of viewpoint.

곤충류 공간 분포를 활용한 농경지 경관구조 분석 (Landscape Structure Analysis Based on Insect Spatial Distribution in Rural Area)

  • 이동근;윤은주;배정훈
    • 농촌계획
    • /
    • 제14권1호
    • /
    • pp.23-32
    • /
    • 2008
  • Landscape structure is important to understand a complex patterns and interaction with adjacent habitat in rural a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structure and insect spatial distribution in rural area to suggest applicable possibility of landscape structure as biological indicator. For this purpose, first, four landscape structure criteria such as distance from the forest; density of farmland-forest ecotone; landscape continuity; and field size are selected. Secondly, these criteria are applied to Gangsang-myeon, Yangpyeong-gun where mosaic feature are conserved at various spatial scale. Thirdly, application of landscape structure criteria is verified using correlation with species number,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of insect. As a result,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landscape structure criteria are useful for explaining insect spatial distribution.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유형 분류기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andscape Type for Urban Landscape Planning)

  • 방재성;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8-8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경관계획의 효율적 실행수단 확보 차원에서 도시경관 유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학술지 논문과 경관계획 보고서 중 경관유형과 분류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행 도시계획의 근간이 되는 용도지역지구제에서 활용 가능한 도시경관 유형화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과 평가 관점의 경관유형화 방식은 생태학적 접근과 형식미학적 접근에 기반하여 경관요소들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경관을 유형화하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경관계획에서 보여지는 경관유형은 분석을 위한 경관유형과 계획을 위한 경관유형의 혼용에 의해 논리적인 경관유형 분류체계가 확립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경관관리대상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경관관리를 위한 경관제어요소와 관리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부족으로 연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계획 과정상의 효용성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한 경관유형 분류기준을 크게 경관구성의 1차적 기준과 2차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1차적 기준은 지형과 용도지역지구, 경관자원의 성격, 경관요소가 있고 2차적 기준은 경관계획 대상지 외부에서 경관을 구성하는 조망점, 조망점과 경관대상과의 거리, 도시공간의 형태적 특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한 도시경관 유형화는 도시 전반에 대한 경관관리가 가능하게 할 것이며, 향후 도시경관유형을 토대로 한 용도지역지구의 운용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조경설계작품평가의 기준과 항목에 관한 연구 (Establishing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al Works)

  • 조정송;안건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33
    • /
    • 1993
  • The evaluation is one of aspects of criticism, and thus it plays many roles in terms of the functions of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aluating criteria of landscape architectural work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ssential criterion of the evaluation is 'the originality' with respect to history(or trad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sub-criteria of the evaluation can be invented through a frame;[].

  • PDF

농촌경관의 보전.형성.관리를 위한 정책제안 연구 (A Proposal of Rural Landscape Policy for Preservation, Formation and Management)

  • 주신하
    • 농촌계획
    • /
    • 제14권4호
    • /
    • pp.77-8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licies for preservation, form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rural landscape. For this, the current rural landscape policies are examined and recent legislative changes are also surveyed. The Landscape Law and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Rural Landscape Improvement are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The proposed issues are as follows: 1. the establishment of rural landscape planning system, 2. the arrangement of the criteria and guideline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3. the re-arrangement of the rural landscape index and landscape map, 4. the survey and management of the rural landscape amenity, 5. the revitalization of the landscape projects for rural area, 6. the pragmatic connection with other law and system(especially the Landscape Law), 7. the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the rural landscape expert groups.

자연재해로 인한 조경수목 피해 판례 및 제도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zing Precedents and Legal System of Landscape Tree Damage by Natural Disasters)

  • 유주은;이상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77-84
    • /
    • 2013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경분야에도 피해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법률적 분쟁으로 이어져 사회적 경제적 피해도 증가하고 있고 있다. 특히, 외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조경수목의 경우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많이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피해판정기준이나 재해기준의 구체적인 범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피해 복구 및 보상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재해로 인한 조경수목의 피해 관련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경수목의 피해사례 및 판례를 분석하고, 한국과 일본의 자연재해 관련 법제도 및 기준의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판례분석 결과, 자연재해로 조경분야 피해는 명확한 법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감정인의 소견이 판정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감정절차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자연재해 관련 법제도 및 기준 비교분석에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 조경수목에 대한 자연재해 관련 법규 및 기준이 미흡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조경수목에 대한 구체적인 재해판정 기준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에 조경분야 자연재해 관련 제도 및 기준의 개선을 위해 '관련 법령 개정', '감정 및 손해사정 기준개정', '조경공사 표준시방서개정', '재해보험가입의무화', '계약에 따른 합리적 이행', '재해복구 비용계상 의무화' 등을 개선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농촌 어메니티 경관의 평가 체계 개발과 적용 - "2007 농촌 어메니티 100선"을 중심으로 - (Developing the Assessment System of Rural Amenity Landscape)

  • 안명준;배정한;주신하;신지훈;이동근
    • 농촌계획
    • /
    • 제14권2호
    • /
    • pp.77-84
    • /
    • 2008
  • Amenity landscapes in rural area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 resource to enhance the (public) interest in rural landscapes and to vitalize the rural areas. Befitting the times, the objective of this project is to discover the amenity landscapes distributed throughout the rural areas and to produce material in the form of a public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aforementioned landscapes. For such purposes, local autonomous bodies, rural amenity resource investigation team, and experts on landscape found rural amenity landscapes and entered them for a selection process, out of which the top 100 rural amenity landscapes were ultimately selected based both on the assessment system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on the assessment process executed by the assessment committee.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of assessment criteria for the amenity landscapes were presented: village-related assessment criteria including value as resource and use value; landscape-resources-related assessment criteria, including aesthetic value, identity, adherence to traditionality, and sustainability. Assessment for each criteria item was made by applying a 5-point Likert scale throughout. The sum of the points for each landscape was then converted at a 100 point scale for ultimate use in selection of the top 100 landscapes. This paper is the outcome of such series of processes and systems.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Landscape Resources Survey in Korea)

  • 주신하;신윤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42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의 경관자원에 대한 유형별 평가 현황과 해외 경관자원 평가사례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경관자원 평가 체계에 있어 평가방법, 평가기준, 활용방안 등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경관자원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등을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관자원의 정의와 유형을 검토하고, 경관자원에 관한 평가방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12개 국내 경관자원 조사 및 평가 사례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련 조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5개의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리체계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하였다. 첫째, 경관자원 조사 기준이나 선정 절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기준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의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고, 지역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며, 명확한 평가기준 제시가 매우 중요하다. 두 번째로는, 경관자원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에 대한 재평가제도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경관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사된 경관자원을 영향평가나 경관계획과 같은 다른 제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경관자원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관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경관자원 조사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에 그치고 있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국내외 경관자원 조사현황을 분석하여 경관자원에 대한 평가방법, 기준, 활용방안 등을 파악을 통하여 향후 경관자원관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보전가치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지표의 활용 및 적용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y Indicators for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 이동근;윤소원;김은영;전성우;최재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conservation value of forests and cultivated areas from the landscape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main focus of landscape ecology estimates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patterns and ecological processes. This paper sets the criteria for conservation value and classify the conservation value based on the criteria. Forests and cultivated areas in Seo-Gu, Incheon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as the case study area. In this research, factors such as patch size and connectivity have been selected in order to consider the landscape ecological aspect, gradient for the environmental physics aspect and to consider the environment-ecological aspect, grade of environmental-oriented land suitability analysis Map developed by the ROK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utilized. GIS methodologies have been adopted to calcul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bove variabl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adopted: (1) based on island biogeography and metapopulation dynamics theory, patch size criteria are set 2ha and 10ha; (2) connectivity was set the degree of connection with surrounding grids; and (3) gradient of 20 degrees. Conclusively, this paper suggests that local conditions, landscape ecology and physical environment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n estimation framework of the conservation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