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the Assessment System of Rural Amenity Landscape

농촌 어메니티 경관의 평가 체계 개발과 적용 - "2007 농촌 어메니티 100선"을 중심으로 -

  • Ahn, Myung-Jun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oo, Shin-Ha (Division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 Shin, Ji-Hoon (Group Han Inc.) ;
  • Lee, Dong-K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안명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 주신하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신지훈 ((주)그룹.한 경관생태디자인연구소) ;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Amenity landscapes in rural area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 resource to enhance the (public) interest in rural landscapes and to vitalize the rural areas. Befitting the times, the objective of this project is to discover the amenity landscapes distributed throughout the rural areas and to produce material in the form of a public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aforementioned landscapes. For such purposes, local autonomous bodies, rural amenity resource investigation team, and experts on landscape found rural amenity landscapes and entered them for a selection process, out of which the top 100 rural amenity landscapes were ultimately selected based both on the assessment system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on the assessment process executed by the assessment committee.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of assessment criteria for the amenity landscapes were presented: village-related assessment criteria including value as resource and use value; landscape-resources-related assessment criteria, including aesthetic value, identity, adherence to traditionality, and sustainability. Assessment for each criteria item was made by applying a 5-point Likert scale throughout. The sum of the points for each landscape was then converted at a 100 point scale for ultimate use in selection of the top 100 landscapes. This paper is the outcome of such series of processes and systems.

Keywords

References

  1. 장은숙, 전영미, 박윤호, 2002, 농촌마을 정비 특성별 어메니티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0(3) : 35-45
  2. 이동근, 옥주희, 홍찬선, 윤소원, 박창석, 유헌석, 2005,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1(2) : 21-34
  3. 조순재, 김진선, 2003, 농촌 어메니티 자원 관리를 위한 자원속성별 유형분류체계,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 63-66
  4. 허준, 2007, 농천어메니티자원 발굴 및 조사기법의 특성분석 - 서천군을 사례로, 농촌계획, 13(2) : 75-84
  5. 오윤경, 조순재, 최진용, 임승빈, 안동만, 이정재, 이동근, 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 연구, 농촌계획, 13(1) : 1-9
  6. 박창석, 전영옥, 조영국, 2002, 농촌 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국토계획, 37(1) : 21-35
  7. 이동근, 윤은주, 김은영, 조순재, 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3(1) : 11-17
  8. 김세영, 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최현성, 2007, 어메니티 자원과 인적자원을 고려한 농촌마을의 관광잠재력평가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황기원, 1989, 경관의 다양성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17(1) : 55-68
  11. 조정송, 배정한, 1994, 환경미학과 '참여' 개념의 구조와 문제 - A. Berleant의 시론을 중심으로, 미학, 19(1) : 225-259
  12. 배정한, 1998, 조경에 대한 환경미학적 접근 - 전통적 조경관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대안의 모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농림부, 2005,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방안 연구
  14. 안동만, 2006, 어메니티를 위한 농촌경관관리, (사)한국경관협의회 공개세미나 - 농촌경관의 보전 및 관리, pp.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