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income

검색결과 709건 처리시간 0.025초

Determinants of Income Diversification among Rural Households in the Mekong River Delta: The Economic Transition Period

  • LE, Long Hau;LE, Tan Nghie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5호
    • /
    • pp.291-304
    • /
    • 2020
  •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drive temporal income diversification in rural areas of the Mekong River Delta in Vietnam, based on a framework that conceptualized diversification as a function of a household's capacity to diversify and incentives (both push and pull factors) to diversify. Drawing from five rounds of the Vietnam Living Standard Measurement Surveys covering a 13-year span (1993-2006), two panel datasets made from five cross-sectional samples are used for the analyses. The data are drawn from the Vietnam General Statistics Office. Both tobit model and Ordinary Least Squares model with random and fixed effects are applied. The main points emerging from the analysis is that income diversification is strongly influenced by household labor capacity.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labor capacity and increasing insertion in non-farming wage activities is not driven by unobserved time-invariant factors such as household ability and motivation, but is instead driven by the higher labor capacity of households. In terms of the other household capacity variables, the effect of farm size is much larger in terms of retaining households in traditional occupations as compared to pushing them towards non-farm wage employment. Other variables such as household access to financial capital do not play an important role.

코로나19 이후 음주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2018-2020) (Factors of Drinking Frequency and Amount after COVID-19 Pandemic: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2018-2020))

  • 김미년;이원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6호
    • /
    • pp.503-513
    • /
    • 202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analyze and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ed factors in order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drinking level after COVID-19 us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2018-2020).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male group, 10s and 20s, unemployed status, and groups whose personal income fell before COVID-19 have a high risk of increased drinking levels. n particular, in the group where the frequency of drinking before COVID-19 decreased, the risk of increasing the level of drinking after COVID-19 was found to be high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is group of subjects. Based on this, various studies on drinking factors are needed through long-term monitoring studies on drinking levels after COVID-19.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Analysis of Time Use of Double Income Paid Workers)

  • 이승미;이현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81-96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time use of dual income paid workers. The data was selected from the '2009 Korean Time Use Survey'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were 2799 respondents who were paid workers with dual income.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ime use between men and women. The result showed that men's time allocation focused on 'labor and leisure' and women's time allocation focused on ‘labor and housework'. This means the women among dual income paid workers faced difficulties in dual burden of work-family balance. Regression analysis on time use dividing men and women showed that age, education, income, working type and the presence of preschool childre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ime allocation. We found the income effects on time use which reduced paid working time and increased housework and leisure time. Significantly, younger men who have preschool children spend more time in housework. We could find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men's time allocation.

조세·재정정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동태적 일반균형분석 (Effects of Fiscal Policy on Labor Markets: A Dynamic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 김선빈;장용성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0권2호
    • /
    • pp.185-22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태적 일반균형모형(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을 이용하여 노동소득세의 증가가 한국경제의 노동시장 및 주요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증가된 세수를 일반보조금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근로장려금으로 사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상정하는 모형경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주체들의 생산성 차이를 명시적으로 고려한, 이질적 가계로 이루어진 거시경제모형(heterogeneous agent macroeconomy model)이다. 둘째, 노동공급의 비분할성(indivisible labor)을 가정하여 조세 재정정책의 변화에 따른 노동시장 참여 여부에 대한 선택의 변화에 중점을 두어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다. 셋째, 불완전 금융시장(incomplete markets)을 가정하여 개별 근로자들의 자신의 생산성이 변함으로 발생하는 소득과 취업상태의 변화에 대해 완벽하게 대처할 수 없다. 넷째, 일반균형모형을 상정하므로 정책의 변화로 인한 거시경제변수의 변화가 개별 근로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분석할 수 있다. 세율상승으로 증가된 세수를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분배하는 일반보조금정책의 경우 노동소득세율의 증가는 노동공급의 인센티브를 저하시켜 기본모형경제에 비해 취업률을 1% 정도 저하시킨다. 반면, 추가적인 세수를 저소득 취업근로자에게만 지급하는 근로장려금정책의 경우, 수혜대상자들의 노동의욕은 증가하는 반면, 고소득 취업자들의 경우 근로장려금의 혜택없이 추가적인 세금부담으로 인하여 노동의욕이 감소한다. 경제 전체적으로는 기본모형에 비해 최대 2.7% 정도의 취업률 증가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근로장려금의 수혜대상이 넓어질수록 일인당 지급되는 근로장려금의 액수가 작아져서 고용증대 효과는 미미해지고 세율상승으로 인한 노동의욕 감소효과가 압도하게 되어 전반적인 취업률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전반적으로 근로장려금과 같은 근로자 지원정책은 경제 전체의 취업률을 유효하게 증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최근 한국경제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경제 사회 문제 중의 하나인 저출산과 인구고령화 등으로 인한 노동공급 감소에 대처하는 유효한 정책대안으로 근로장려금정책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일반적 효용함수 하에서 대출제약의 정도와 최적 소비 및 투자 (Degree of Borrowing Constraints and Optimal Consumption and Investment under a General Utility Function)

  • 심규철
    • 경영과학
    • /
    • 제33권1호
    • /
    • pp.77-87
    • /
    • 2016
  • I study optimal consumption and investment choices of an infinitely-lived economic agent with a general time-separable von Neumann-Morgenstern utility under general borrowing constraints against future labor income. An explicit solution is provided by the dynamic programming method. It is shown that the optimal consumption and risky investment decrease as the borrowing constraints become stronger.

패널자료에 의한 외국인 근로자의 소득증대 효과분석: OECD 국가를 중심으로 (On the Effects of Foreign-born Labor on Increasing in National Income Implemented by Panel Data Analysis: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 이현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66-375
    • /
    • 2016
  • 본 연구는 34개 OECD 국가 중에서 자료의 가용성에 따라 24개국을 대상으로 모의변수를 설정한 고정효과모형에 의한 패널분석을 수행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소득증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즉, 패널자료를 활용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총고용률, 자국인 고용률 및 외국인 고용률이 소득지표인 국내총생산과 일인당 국민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외국인 고용률이 내국인 고용률에 비해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정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외국인 고용률이 자국인 고용률을 대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노동이 국가의 소득수준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영향력이 크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으로 인해 노동생산성이 하향 조정되거나 노동시장이 분절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즉, 노동정책 당국은 외국인 근로자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인 확대를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노동시장을 개방해야 할 것이다.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자기효능,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Nurse's Health Promoting Behavior: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 홍은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4-16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t also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es working for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 Methods: Between June and July 2013, a convenience sample of 233 subjects was collected from 2 tertiary hospitals and 4 general hospitals. The data analysis was done with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Emotional labor of the subject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other nurses and the averag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lower than the median.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differentiated by education, hospital type, and monthly income.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PLP-II, but emotional labor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HPLP-II.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self regulation(16.3%). The combination of self regulation,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 BSN, preference to task difficulty, and monthly income(${\geq}300$) accounted for 25.4%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 was a negative factor of HPLP-II. Conclusion: When develop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nurses,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mediating variable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소득주도 성장의 평가와 향후 방향 (Income led growth in Korea: issues, implications and roles)

  • 김태일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175-208
    • /
    • 2018
  • 본 글의 목적은 여전히 논쟁 중인 한국의 소득주도 성장정책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소득주도 성장론의 내용은 무엇이며, 왜 이 이론이 등장했는지, 그리고 한국경제에 갖는 의의가 무엇인가를 논의했다. 다음으로 한국경제에서 성장 전략으로서 소득주도 성장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서구에서 소득주도성장 이론은 경제에서 수요의 역할을 중시하는 케인스 학파의 전통에서 나온 것으로서 기본 개념은 거의 80년 전에, 그리고 현재의 이론 모델은 30년 전에 등장했다. 한국 경제학계 일부에서 이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2010년 ILO 연구자들이 이를 논의하면서부터다. 최근 들어 소득주도성장론이 주목받게 된 것은, 20세기 후반 이후 전 세계적으로 노동소득 분배율 하락과 양극화 경향이 심해졌고, 그래서 불평등 심화는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공감대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국민소득 중 노동의 몫을 높임으로써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다는 소득주도성장 전략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나 논란이 존재한다. 그러나 소득주도성장 전략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취지에는 공감할 수 있다. 소득주도성장론은 단기적인 성장 전략이 아니며, 또한 성장 전략의 중심이 되기도 어렵다. 그러나 오늘날의 사회경제구조에서 소득주도성장론의 처방은 경제 시스템을 건강하게 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아울러 서구와 달리 한국에서는 정부의 복지정책이 소득주도성장론 처방의 일부로서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부부생활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impact of the married life of married women from the baby boom generation on the Happiness Index)

  • 박미려;김영순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115-129
    • /
    • 2016
  • This study is about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from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married life of such women on the happiness index and to improve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by improving married lif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 Panel Survey (4th year data) carried out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subjects for the final analysis totaled 885 married women from the baby boom generation, born between 1955 and 1963. Of these, 550 were married women in a dual income family, and 335 were married women in a husband-income family. IBM SPSS Statistic 21.0 was us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s happiness index was higher in cases where the women had a more positive view of their husbands, the more often they were involved in leisure activities, the better their conflict resolution whenever there was a clash of opinions,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econd, in the case of dual income families, the women's happiness index was higher where they had a positive view of their husbands, their conflicts were better resolved,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Third, in the case of married women in a husband-income family, their happiness index rose the more positively they perceived their husbands, the more often they were involved in leisure activities together,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첫 자녀 출산 여부와 가족친화제도에 따른 유배우 기혼 여성의 취업 중단에 관한 연구 (Young Married Women's Labor Market Exit: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Child Birth and Available Family-Friendly Policies)

  • 이진경;옥선화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0권3호
    • /
    • pp.59-83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기혼 여성의 결혼 후 첫 취업 중단 발생 경향을 자녀 출산 및 가족친화제도에 따른 영향에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출산과 가족친화제도가 일 가족 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에서 최근 5년 이내(2002~2006) 결혼한 20~30대 취업 여성 194명을 추출하였으며, 가족친화제도 문항이 포함되기 시작한 제4차(2001)부터 제 9차(2006)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존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 취업 여성이 첫 경력 단절을 경험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29.60개월로, 결혼 후 2년 반 이내에 절반 가까이 직장 생활을 그만두었다. 취업 여성의 결혼 후 취업 중단 요인에는 자녀 출산이 가장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근로소득이 증가할수록, 근로시간이 감소할수록,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를 더 많이 이용할수록 취업상태를 지속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혼 취업 여성의 취업 중단은 특히 첫 자녀 출산을 2~3개월 앞둔 시기에 주로 나타났는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과 같은 가족친화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취업 중단이 발생할 가능성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