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the Effects of Foreign-born Labor on Increasing in National Income Implemented by Panel Data Analysis: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패널자료에 의한 외국인 근로자의 소득증대 효과분석: OECD 국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9.16
  • Accepted : 2015.10.19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otal, native-born, and foreign-born employment rates on the increases of GDP and per capita GDP for 24 OECD countries out of 34 countries depending on data availability. The panel data analysis is formed by a fixed-effects model which allows dummy variable in it to permit the intercept term to vary over time-series and cross-sectional units. Empirical evidences obtained by simple and multiple panel regressions reveal that the contribution to increasing of GDP by foreign-born employment is obviously lower than the one by native-born employment. And, native-born labor is substituted by foreign-born labor. It also has to be mentioned that the labor is playing a key role in increasing in national income. And, therefore, labor-related policy should be concerned on decreasing in labor productivity and segmentation of labor market resulted from inflow of foreign labor. It means that labor-related policy has to take care of not only the magnitude, but also the quality of foreign-born labor.

본 연구는 34개 OECD 국가 중에서 자료의 가용성에 따라 24개국을 대상으로 모의변수를 설정한 고정효과모형에 의한 패널분석을 수행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소득증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즉, 패널자료를 활용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총고용률, 자국인 고용률 및 외국인 고용률이 소득지표인 국내총생산과 일인당 국민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외국인 고용률이 내국인 고용률에 비해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정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외국인 고용률이 자국인 고용률을 대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노동이 국가의 소득수준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영향력이 크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으로 인해 노동생산성이 하향 조정되거나 노동시장이 분절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즉, 노동정책 당국은 외국인 근로자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인 확대를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노동시장을 개방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회, 하규수,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187-20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187
  2. 전병주,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37-247, 2012.
  3. 김승대, "외국인 근로자들의 일상적인 건강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268-277,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268
  4. 박래영,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제16권, pp.1-28, 1993.
  5. 우평균, "동북아 각국의 외국인 근로자 정책: 에스닉 집단화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평화연구, 제11권, 제1호, pp.175-206, 2002.
  6. H. S. Han, "Social Issues and Changes of Employment Policy in the Response to the Increase of Foreign Workers in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overnment Innov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p.191-207, 2007.
  7. 설동훈, "한국의 노동시장과 외국인 근로자," 경제와 사회, 제15권, pp.113-144, 1992.
  8. 이혜경, "외국인 근로자 고용에 관한 연구: 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제28집, pp.89-113, 1994.
  9. 한형서, "정부의 외국인 고용정책에 대한 변화와 개선 방안,"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3권 제2호, pp.249-270, 2006.
  10. 김종일, 이상철, 이종구, 설동훈, "국제노동력 이동과 외국인의 국내 취업: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실태," 경제와 사회, 제26권, pp.172-207, 1995.
  11. 이혜경,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제31집, pp.497-527, 1997.
  12. A. H. Akbari and D. J. Devoretz, "The Substitutability of Foreign-born Labour in Canadian-production: Circa 1980," Canadian J. of Econ., Vol.25, No.3, pp.604-614, 1992. https://doi.org/10.2307/135734
  13. G. C. Schmid, "Foreign Workers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J. of Common Market Studies, Vol.9, No.3, pp.246-253, 1970. https://doi.org/10.1111/j.1468-5965.1970.tb00045.x
  14. 강수돌, 외국인 근로자 고용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지식마당, 2003.
  15. 백석현,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과 노동력 부족 대책," 노동문제논집, 제13집, pp.29-68, 1997.
  16. 김홍배, 윤갑식, 오동훈, "외국인 근로자 고용정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역학회, 제23권, 제3호, pp.3-25, 2007.
  17. 한진희, 최용석, "국제 노동이동의 경제적 영향 분석: 외국인 근로자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개발 연구, 제28권, 제1호, pp.1-22, 2006.
  18. R. Ismail and F. Yuliyusman, "Foreign Labour on Malaysian Growth," J. of Econ. Integration, Vol.29, No.4, pp.657-675, 2014. https://doi.org/10.11130/jei.2014.29.4.657
  19. S. M. Thangavelu, "Economic Growth and Foreign Workers in ASEAN and Singapore," Asian Econ. Papers, Vol.11, No.3, pp.114-136, 2012. https://doi.org/10.1162/ASEP_a_00173
  20. W. T. Hui and A. R. Hashmi, "Foreign Labor and Economic Growth Policy Options for Singapore," The Singapore Econ. Rev., Vol.52, No.1, pp.53-72, 2007. https://doi.org/10.1142/S0217590807002567
  21. T. D. Schmidt and P. S. Jensen, "Foreign Labor and Regional Markets: Aggregate and Disaggregate Impact on Growth and Wages in Danish Regions," Ann. Reg. Sci., Vol.50, pp.809-840, 2013. https://doi.org/10.1007/s00168-012-0517-1
  22. E. Sehgal, "Foreign Born in the U.S Labor Market: The Results of a Special Survey," Monthly Labor Rev., Vol.108, pp.18-24, 1985.
  23. R. S. Pindyck and D. L. Rubinfeld, Econometric Models and Economic Forecast, 4thed., McGraw-Hill, Boston, 1998.
  24. http://www.oeced.org
  25. 김명직, 장국현, 금융시계열분석, 경문사, 2002.
  26. 이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지출의 경제성과 분석: 규모의 경제와 대체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357-36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357
  27. 이종원, 이상돈, RATS를 이용한 계량경제분석, 박영사, 2000.
  28. 이현재, "Harris-Todaro 모형에 의한 국가간 잠재적 노동인구 이동에 관한 실증분석: 한-중-일 3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421-43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