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competencies leve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8초

대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 안광식;김미영;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6-10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the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use it as the basic material so as to improve the key competencies. So the subject was 161 college students.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key competencies is that developed by Cheol-Young Jeong, which was partly revised with the help of a group of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key competencies were above the average(3.0). But it appeared that the english document understanding skills(M=2.59) and international sense skills(M=2.91) of college students were below 3.0. Therefore, the university authorities will have to try to improve the key competencies with the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concerning the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취업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ey Competencies of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at work)

  • 박신영;이병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73-990
    • /
    • 2013
  • O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at work living in the district of Pusan, Changwon and Gimhae in order to analyze the level of the key competencies based on the differences of their ages, their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iod of their staying in Korea,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e, jobs and the employment status in their native countri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depending on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e and job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aspects of the nine key competencies including communication, numeracy, problem solving,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resource use, human relationship, informa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 skills,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Secondly, depending on their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other aspects of eight key competencies except problem solving,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irdly,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in their native countrie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aspects of the five competencies including communication, numeracy, problem solving, resource use and organizational skills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05. Fourthly, depending on the period of staying in Korea, there is difference only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Fifthly, depending on their ages,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중요도에 대한 집단 간 인식차이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erception of the Level and Importance of the Key Competencie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안광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중요도를 측정하고 향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산학협동교육을 담당하는 담당자 12명과 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7명 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 직업기초능력의 여러 부분에서 산학협동교육 담당 교사와 기업체 업무 담당자 사이에 인식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문서이해능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수준과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여 직업기초능력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직업기초능력에 추가되어야 할 능력으로는 한자 독해능력, 경청 능력 등으로 밝혀졌다.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습득해야할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정확히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직업기초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자동차 생산 관리 분야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Level Estimation of Key Competencies in Automobile Production Management Fields)

  • 박성종;박명호;한명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7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리능력, 조직이해력, 기술능력, 문제해결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원활용능력, 정보활용능력을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자동차 분야 학생과 자동차 생산 관리 분야 산업체 인사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을 평가하였다. 각 영역의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분야 산업체와 대학의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설정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 자동차 분야 산업체 인사가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동차 분야의 2년제 대학 학생이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정한 직업기초능력 수준 설정의 근거가 타당함을 검증하였고, 설정된 직업기초능력 수준을 적용시킬 때 자동차 분야 산업체와 대학 각각의 수준 평가가 가능하고 유효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의 수준과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Key Competencies of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and Some Way of their Improvement)

  • 안광식;배동윤;박락영;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the key competencies of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use it as the basic material so as to improve the key competencies. The subject was 359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boys: 244, girls: 115) in Seoul, Daejeon, Gwangju, and Busan.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key competencies is that developed by Cheol-Young Jeong, which was partly revised with the help of a group of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ome of skills were below an average of 3.0, which were writting skill(M=2.85) and speaking skill(M=2.96) in communication skills, logical thinking(M=2.98) in problem solving skills, leadership skill(M=2.88) in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improvement skill(M=2.96) and the spirit of public service(M=2.93) in self-management and self-improvement skills. But technology skills were above an average of 3.0. And it appeared that technology skills(P=.023) depended on having a certificate or not, and so did communication skills(P=.020) and problem solving skills(P=.034) on the types of a course(employment or entrance into a college). So, to strengthen the key competencies which appeared below an average of 3.0 in this study, not only does the curriculum of industrial high schools need to be reorganized, but systematic strengthening program of key competencies should also be developed.

핵심역량에 기초한 중학교 수학 수업 방안 탐색 -수학 영재 수업을 중심으로- (Schemes to incorporate key competencies for the gifted in the middle school math teaching)

  • 최승현;박지현;남금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99-119
    • /
    • 2013
  • 본 연구는 기존에 교육과정 총론 수준에서 논의되고 있던 핵심역량을 수학 교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창의성이나 문제해결력과 관련된 수학적 능력은 뛰어나지만 대인관계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할 수 있는 수학 영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역량이 신장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그래프를 내용 목표로 선정하고,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역량 목표로 설정하여 이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역량 기반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참여 관찰을 통해 수학 영재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신장되는 것을 확인 수 있었으며, 그 이외의 역량들이 복합적으로 함께 신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량 목표가 수학 수업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앞으로 이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전문대학 조리관련 학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of National Competence Standard(NCS) for Department related Culinary Arts in a 2-Year College)

  • 나태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6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of NCS for departments related to culinary arts in a 2-year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urvey has been distributed to cooks working in hotel restaurants or restaurant companies by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total of 360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18 responses.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sed by using paired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resent level about key competencies recognized by cooks working in restaurant compan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9 fields of key competencies excluding mathematical competence. The difference recognized by cooks working in hot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10 fields of key competencies. Second, the results of Borich's needs assessment showed that the education need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e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interpersonal, resource managem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competence. Finally, considering both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cooks working in hotel restaurants recognized that educational needs of communicatio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information competence were the top priority, and cooks working in restaurant companies recognized that educational needs of communication, interpersonal, skill, resource management competence were the top prio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for culinary arts specialists based on key competence of top priority.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 이규녀;김소연;박기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1-199
    • /
    • 2011
  • 이 연구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변인과 관련지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 이해도와 교사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한 예비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공업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모두 보통(M=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M=3.41)이 개인효능감(M=3.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전공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은 모두가 평균 3점대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의 글로벌 역량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공업교사의 성별과 전공은 교사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 모두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변인은 교사효능감(r=.274) 및 직업기초능력(r=.16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r=.475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뉴질랜드의 화학 교육과정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stry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New Zealand)

  • 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35-242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화학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양국은 교육과정을 통해 핵심 역량을 기르고자 함을 명시하고 있으며,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이 서로 유사하였다. 우리나라는 과학 교과의 핵심 역량을 제시하였는데, 뉴질랜드가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 제시한 4가지 성취 목표와 유사하였다. 특징적으로, 뉴질랜드는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NCEA 성취 기준에서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성취기준들이 별도로 제시하고 이를 내적 평가를 통해 학생들을 평가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은 유사하였는데, 화학I 과목의 경우 뉴질랜드의 교육과정 7단계에, 화학II 과목의 경우 뉴질랜드의 7~8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이 다루는 화학 내용에서 차이가 있는 개념은 탄화수소, 이상 기체 방정식, 총괄성, 분광학 데이터의 이해 등이었다.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o the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through A College Practice)

  • 이은화;윤소정;허승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51-67
    • /
    • 2011
  •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기대와 비중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해 왔으나, 여전히 대학교육과 사회적 요구 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육의 주요한 결정 주체인 교수와 학생이 갖는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규명하여, 대학 교육이 학생 및 교수, 그리고 사회적 요구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대학 학생 475명과 교수 59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개발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설문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중응답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그리고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업기초능력 교육의 인식과 요구에는 교수와 학생 간의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로 취업과 미래 준비를 하는 데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와 취업과 미래 준비를 위해 가장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곳과 방법, 직업기초능력 개발 혹은 취업을 위한 노력의 정도, 직업기초능력 개발 혹은 취업을 위한 구체적 노력 요인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과 요구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에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