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s related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variables,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This will be provided as basic resources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M=3.0), and teaching efficacy (M=3.41) was found to be a bit higher than personal teacher efficacy (M=3.28). Upon analyz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resulting from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gender and major had no difference while the effect of school year on teaching efficacy of teacher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lower regions of key competencies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ll were above the average 3.0. Gender and school year were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only the global competence of key competenc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and major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had no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school year variab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r=.274) and key competencies (r=.168). Lastly, it was found that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 of r=.475.

이 연구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변인과 관련지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 이해도와 교사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한 예비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공업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모두 보통(M=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M=3.41)이 개인효능감(M=3.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전공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은 모두가 평균 3점대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의 글로벌 역량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공업교사의 성별과 전공은 교사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 모두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변인은 교사효능감(r=.274) 및 직업기초능력(r=.16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r=.475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희 (2000).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인 학교생활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지영 (2007).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과학 교수효능감, 과학교육 목표, 과학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6(4), 691-697.
  3. 김효남, 명전옥(2009).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 교육과학연구, 40(2), 29-50.
  4. 나승일, 강경종, 정철영, 서우석 , 송병국(2000) 초.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 강화 방안. 직업교육연구, 19(2), 1-22
  5.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2003). 기초직업능력 영역설정 및 표준개발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6. 나승일, 정철영, 서우석, 이종성, 송병국(1998).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분류 및 하위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 17(2), 15-37.
  7. 노현주(2011). 국어교사 효능감에 대한 분석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동열 (2006).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25-245.
  9. 박동열, 최동선, 이용순(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송연숙 (2003). 과학관련 변인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5, 241-258.
  11. 안광식 (2007).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의 순준 및 중요도. 실과교육연구, 13(2), 73-94.
  12. 우상호, 임호권, 오승균, 김진수(2005).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직업교육연구, 24(3), 69-98.
  13. 이건남, 정철영 (2003) .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관련 프로그램 실태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4), 47-68
  14. 이명훈, 나승일 (2006) 기술과 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38(1), 111-136
  15. 이무근, 이용환, 정철영, 배진한, 최애경, 이종성 외 (1997).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정책연구. 교육부정책연구과제 보고서.
  16. 이미경 (2009). 수학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과 수학 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육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승아(2008).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장희, 권영란(2007).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기업과 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5-87.
  19. 이정표, 박윤희, 홍선이, 나승일, 이병욱(2004).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이종성 (2002).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직업교육연구, 21(2), 343-364.
  21. 이한규 (2009). 기술 교사들의 기술 교수 효능감과 기술 교수 내용 지식 관계. 한국기술 교육학회지, 9(2), 1-22.
  22. 이한규, 이용환(2006). 중학교 기술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기술 교수 효능감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25(3), 39-61.
  23. 이현경, 남명자(2009).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및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4), 119-135.
  24. 임성택 (2008). 교사의 학생체벌관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설명 효과 비교. 교육과학연구, 39(3), 51-77.
  25. 임언, 최지희 , 오은진, 최동선(2004).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연구 : OECD ALL Project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6. 전국경제인연합회(2003). 기업이 바라는 대학 교육과정 조사결과 및 이의 활용방안. 전국경제인연합회.
  27. 정정희(2001). 유아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유아학사회, 22(4), 225-241.
  28. 정철영(2000). 직업기초능력 강화 방안. 교육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9.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1998). 직업기초능력애 관한 국민공통기본교육 과정 분석(기본연구 98-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0. 주동범(2009). 교사효능감의 개념 , 측정, 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동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1(4), 489-498.
  31. 주인중, 박동열, 진미석(2010).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2. Armor, D., Conroy-Osequera, P., Cox, M., King, N., McDonnell, L, Pascal, A, Pauly, E, & Zellman, G. (1976). Analysis of the school preferred reading programs in selected LosAngeles minority schools(Report No.R-2007-LAUSD), Santa Monica, CA:Land Corporation.
  33. Ashton, P. T.,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Y: Longman.
  3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37. Barfield, V., & Burlingame, M. (1974). The pupil control ideology of teacher sin selected schoo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42(4), 6-11. https://doi.org/10.1080/00220973.1974.11011486
  38. Berman, P., McLaughlin, M., Bass, G., Pauly, E., & Zellman, G. (1977).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VII.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Report No.R-1589/7-HEW), Santa Monica, CA:RAND.
  39. Huang, Yu-Ting. (1999). Teacher efficac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eacher efficacy of secondary occupational food service teachers.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40. Luo, Feng Jen. (2000).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aiwan.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41. Ross, J. A. (1992). Teacher efficacy and the effects of co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17(1), 51-65. https://doi.org/10.2307/1495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