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venile wood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참나무시들음병 훈증목의 강도 성능 평가 (Evaluation of Strength Performance of the Fumigation Treated Wood Affected by the Oak Wilt Disease)

  • SONG, Dabin;KIM, Keon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20-831
    • /
    • 2020
  • 참나무시들음병 고사목으로부터 피해확산을 막기위해 주로 훈증처리 방법을 이용한다. 훈증처리에 따른 신갈나무 피해목의 강도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훈증처리목재의 압축성능과 휨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훈증처리목재는 약 9개월 간 네마섹트(Metam-sodium)로 훈증처리하였다. 참나무시들음병 훈증처리목재의 기건 종압축강도는 58.87 MPa, 압축탄성계수는 5.66 GPa로 측정되었으며 건전목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혼증목의 성숙재부 강도성능은 미성숙재부보다 16% 더 높은 강도값을 보였다. 참나무 건전목의 압축파괴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나지만 훈증처리목재의 경우 대부분 전단형 파괴형상을 보였다. 훈증처리목재의 휨강도는 157.43 MPa로 건전재보다 8% 높게 측정되었고 휨 탄성계수는 16.38 GPa로 건전재보다 16%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훈증처리목재의 휨강도성능치에 대한 변동계수는 건전목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참나무시들음병 신갈나무 피해목과 건전목의 해부학적 특징 비교 (Comparison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for Wood Damaged by Oak Wilt and Sound Wood from Quercus mongolica)

  • JEON, Woo-Seok;LEE, Hyun-Mi;PARK,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07-8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에 감염된 신갈나무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 감염목, 고사목 및 건전재 신갈나무를 수에서부터 10~50번째 연륜까지 10연륜 단위로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목섬유 길이는 수에서부터 5연륜 단위로 측정하였고, 도관요소 직경 및 타일로시스를 포함한 도관의 비율은 10연륜별로 측정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감염목과 고사목에서는 도관 내강에서 티일로시스와 함께 균사체가 관찰되었다. 목섬유 길이 및 도관요소 직경은 조사목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섬유 길이는 미숙재 부위인 20~30연륜 이후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타일로시스를 포함한 도관의 평균 비율은 감염목이 가장 높았고 특히, 감염목과 고사목은 40~50연륜에서 타일로시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를 통하여,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과 건전재 간에 큰 차이는 타일로시스의 비율로 생각되며, 피해목 이용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열처리 및 증기처리 라디에타 파인 유령목의 잔류수지율 및 재색변화 (Effect of Heating and Steaming Treatments on Residual Resin Content and Color Change of Radiata Pine Juvenile Wood)

  • 김수원;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4호통권132호
    • /
    • pp.30-37
    • /
    • 2005
  • 라디에타 파인 유령목의 수지를 제거하고 재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열처리와 증기처리 방법의 적정 조건을 찾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판재는 두께 20 mm와 30 mm를 사용하였다. 열처리는 $150^{\circ}C$$220^{\circ}C$에서 2, 4, 6시간, 증기처리는 $100^{\circ}C$에서 6, 24, 48시간 실시하였다. 잔류수지는 알콜-벤젠 용액으로 추출하였으며 휴대용 분광 색차계를 사용하여 재색을 측정하였다. 두께 20 mm 판재는 $150^{\circ}C$ 이상에서 2시간 열처리 또는 6시간 증기처리로, 두께 30 mm는 48시간 증기처리로 좋은 수지제거효과를 얻었다. 두께 30 mm 판재의 수지제거에는 처리시간이 가장 영향이 컸다. 판재 두께에 상관없이 백색도는 증기처리가 가장 높았으며 처리온도가 증가할수록,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는데 후자보다 전자에 더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온도 $220^{\circ}C$에서 4시간 이상 열처리하더라도 백색도는 더 이상 변화하지 않았다. 온도 $220^{\circ}C$의 4시간과 6시간 열처리재는 재색이 분명하게 변하였으나 온도 $150^{\circ}C$의 열처리재는 12시간에서만 약하게 변하였다. 따라서 $150^{\circ}C$ 열처리로는 색상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열처리를 통해 표층뿐만 아니라 내층까지도 표층과 동일한 색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Air-dry Density of Young Trees of Teak Clones Planted in Indonesia

  • Hidayati, Fanny;Ishiguri, Futoshi;Marsoem, Sri Nugro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463-470
    • /
    • 201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obtain the basic knowledge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wood properties of thinning trees of young teak (Tectona grandis L.F.) for fulfill the timber demand in Indonesia. Nine thinning trees of 5-year-old teak clone tree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cell morphology and air-dry density. Vessel diameters in pore and outer pore zones were 165 and $90{\mu}m$, respectively. Mean value of fiber diameter, cell wall thickness, and fiber length in outer pore zone were $14.6{\mu}m$, $2.07{\mu}m$, and 1.04 mm, respectively. In addition, mean value of air-dry density was $0.55g/cm^3$. The measurement and values of vessel diameter, fiber diameter, cell wall thickness, fiber length and air-dry density in the experimental had lower than those in the older teak.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wood from thinning young teaks was not appropriate as construction material, but it could be used for furniture which do not need high of strength properties. Furthermore, since the measurements values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were still increasing from pith to bark, it could be suggested that 5-year-old teak clones are still in a juvenile phas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ir-dry density and cell wall thickness, indicating that cell wall thickness is strongly correlated with wood density of teak.

배할 및 인사이징 전처리가 횡단면 크기 150 mm 이하 삼나무와 낙엽송 수심재의 고온건조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erfing and Incising Pretreatments on High-Temperature Drying Characteristics of Cedar and Larch Boxed-Heart Timbers with Less than 150 mm in Cross Section Size)

  • 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45-363
    • /
    • 2020
  • 본 연구는 배할 및 인사이징 전처리가 횡단면 크기 150 mm 이하 삼나무와 낙엽송 수심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전처리는 표면할렬과 수축률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할처리는 표면할렬 발생을 줄이기 위한 전처리로서 적합하였으나, 인사이징은 재면의 자상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표면할렬로 전환되는 현상을 야기하기 때문에 전처리로서 적합하지 않았다. 수축률은 전처리 조건에 따라 건조 후 최종함수율이 인사이징, 배할, 배할-인사이징 순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뒤틀림은 미성숙재의 수축이방성보다 목리각도가 더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전처리의 영향은 없었다.

24년생 루브라참나무의 생장과 재질에 관한 연구 - 물리·역학적 성질 - (Studies on Wood Quality and Growth of Quercus rubra (24 Years Old) in Korea -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

  • 한무석;이창준;박봉석;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327-338
    • /
    • 2014
  • 종자의 산지가 다른 루브라참나무(24년생)를 대상으로 물리 및 역학적 관계를 조사하여 생장속도와 목재의 재질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생재함수율은 변재보다 심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산지 간에 차이를 나타냈다. 비중의 경우 심재는 생장이 좋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변재는 생장이 좋을수록 커지는 관계를 나타냈다. 전수축률은 산지간 차이를 나타냈으며, 생장이 좋을수록 수축률과 T/R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영계수, 휨강도와 휨영계수 및 충격강도는 산지 간 차이를 보였으며, 생장이 좋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단강도는 산지 간 차이를 보였으며, 생장이 좋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세 단면에서 산지 간 차이를 보였으며, 생장이 좋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5종의 산지가 다른 루브라참나무 중 Bancroft산 종자의 경우가 가장 좋은 수고생장을 보이고, 세 번째의 흉고직경을 나타내며, 압축, 휨, 경도, 전단, 충격강도 모두 우수하여 생장과 재질면을 고려했을 때 현시점에서 가장 우수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소나무의 지역(고성, 홍천 및 봉화군)에 따른 역학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s according to Provinces (Goseong, Hongcheon and Bonghwa-gun))

  • Kim, Min-Ji;Kim, Ji-Yeol;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66-675
    • /
    • 2020
  • 본 연구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고성군), 영서(홍천군), 영남(봉화군) 세 지역 간 소나무의 재질 차이 유무를 알기 위해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측정한 역학적 성질은 압축강도, 경도 및 전단강도였다. 압축강도는 미성숙재에서 지역 간 차이가 없으며, 심재부와 변재부에서는 봉화, 홍천, 고성군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경도는 횡단면에서는 봉화군이, 방사 및 접선 단면에서는 고성군이 크게 나타났다. 전단강도는 심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변재부에서는 봉화군이 고성, 홍천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 간 가도관장, 마이크로피브릴경각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 간 재질특성의 차이 규명으로 국내산 소나무재를 효율적이고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또한 우수한 수형목을 선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초등학교 아동의 문제행동 수정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the Behavior modifi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신화정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227-24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challenging behavior of schoolchildren. For this purpose, I selected one class of 4th year student of S primary school, located at Jeongeup city, Jeonlabukdo, and selected 4 study subjects through examination of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scale, characters, school life and K - HTP test. With regard to procedure of this study, I carried out art therapy program at the art class for 60 minutes one time a week for 4 months, a total of 17 sessions from Apr. 3, 2007 to July 24, 2007. I made this program with some modification in reference to Arts Therapy Technique (Counpia Remote Training Center, 2005), Group Art Therapy (Choi Seon Nam. Kim Gap Sook. Jeon Jong Kuk, 2007) and the Effects of Peer Group Art Activity on Sociality Skill of Offensive Children (Park Ju Yeon. Lee Byeon In, 2005). For each child,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nges in score of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scale, behavior by K-HTP (dynamic house-wood-human figure test) analysis and by school life(KSD) image analysi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 also carried out qualitative analysis on behavioral feature of each child for each session.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hild A showed positive change i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art treatment program of score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K-HTP image test and school life. Since he was so active and wanted to obtain good evaluation from anyone that he frequently had quarrel with friends, spoke against others well and beaten others much but was changed and did not speak against others or beat. Second, child B showed clear difference i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art treatment program of score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HTP image test and school life. However, I observed substantial changes. While he could not speak frankly to others, felt empty in mind and was offensive in personal relations, he was changed, did not have quarrel with others or speak against others that much and improved his relationship with friends or teachers. Third, child C showed positive change in score of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after art therapy program. In comparison of K-HTP image test and school life treatment before and after treatment, he still longed for mothers in mind but found rather stable after treatment. Fourth, child D showed positive chance in score of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scale after art therapy program, but almost no changes in K-HTP image test. But he depicted good relationship and socializing with other friends in school life. While he could not carry his point due to social immaturity and felt depressed, he got more confident. This result of study showed that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correction of schoolchildren.

  • PDF

국내산 주요 침엽수 3종의 수간 내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의 변이 (Variation of Microfibril Angle Within Stems of Three Commercial Softwoods Grown in Korea)

  • 은동진;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77-83
    • /
    • 2008
  • 국내에서 생장한 주요 침엽수 3종(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수간 내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microfibril angle, MFA)의 축방향 및 방사방향 변이를 요오드 침적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MFA의 평균값은 소나무 $16.4^{\circ}$, 잣나무 $14.4^{\circ}$, 리기다소나무 $26.2^{\circ}$로 리기다소나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공시 수종의 MFA는 약 15~20 연륜까지 감소하다가 그 후 거의 안정된 경향을 보여 주었고 만재부의 MFA는 조재부의 MFA보다 다소 작은 경향이 있었다. 공시재료의 수고에 따른 MFA의 차이는 기부 부분에서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수고가 증가함에 따라 MFA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리기다소나무 조재부는 예외였다. 따라서 MFA는 국내산 주요 침엽수재의 미성숙재와 성숙재를 구분하는 지표의 하나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국내산 주요 침엽수 3종간의 수간 내 목재셀룰로오스의 미세구조 변이 (Variation of Fine Structure of Wood Cellulose within Stems of 3 Commercial Softwood Species Grown in Korea)

  • 은동진;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2-20
    • /
    • 2008
  • 국내에서 성장한 주요 침엽수 3종(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수간 내 셀룰로오스 상대결정화도와 결정폭에 대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변이를 X선 회절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상대결정화도 평균값은 소나무 60.6%, 잣나무 61.7%, 리기다소나무 49.4%로 리기다소나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공시 수종의 상대결정화도는 약 10~15연륜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 주었고 만재부의 상대결정화도가 조재부의 상대결정화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소나무 상대결정화도는 수관부보다 기부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잣나무, 리기다소나무는 수고에 따른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각 수종의 셀룰로오스 결정폭은 3수종 모두 2.8~3 nm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조만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상대결정화도와 결정폭 중 상대결정화도는 국내산 주요 침엽수재의 미성숙재와 성숙재를 구분하는 재질 지표의 하나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