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view performance assessmen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6초

치매노인의 목표수립을 위한 인간작업모델 (Model of Human Occupation)의 적용: 사례연구 (Clinical Application of Model of Human Occupation on Goals Setting of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 Case Study)

  • 이유나;정민예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66-76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욕구 및 제한점을 파악하고 목표 설정을 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주간보호시설 이용 치매노인 1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 1일부터 5주에 걸쳐 주 2회 정기적으로 30여 분간 심층 면담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인간작업모델을 기반으로 한 작업질문지(Occupational Questionnaire; OQ)와 여가활동평가(Interest checklist; IC), 의욕조사표(Volitional Questionnaire; VQ),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기술평가(The Assessment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ACIS), 작업수행 일생 면담II(Occupational Performance History Interview-II OPHI-II), 자가작업평가(Occupational Self Assessment OSA), 작업환경 평가면담과 등급화(The Occupational Circumstances Assessment Interview and Rating; OCAIR)를 대상자에게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사례관리자와 보호자 각 1명씩을 대상으로 직 간접적인 면담을 시행하였다. 결과 :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여 면담 및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회와 가족관계형성과 재 정 문제, 전반적인 행복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여 전인적으로 판단 할 수 있었으며 대상자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과 해결방안을 제시가능 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의 질 향상과 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수행평가와 선다형 지필 평가에 의한 변인확인 능력 평가의 차이 (A Difference of Identifying Variable Skills Assessment between Performance and Multiple Choice Items)

  • 이항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6-15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 중에서 변인확인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 문항의 유형에 따른 차이와 최근에 한층 더 강조되고 있는 수행평가 방법중의 하나인 면접법을 통한 변인확인능력 평가 결과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선다형 지필 평가 문항 유형별 변인확인 능력은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선다형에 의한 변인확인능력 평가 결과와 수행평가 방법에 의한 평가 결과는 매우 낮은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독립변인 확인 능력과 종속변인 확인 능력은 거의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능력 중 어느 한쪽의 인지 여부가 다른 한쪽의 인지 여부를 결정해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과학교육 활동에서 이 두 능력을 동시에 강조하는 과학과 교수 학습 전략의 적용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또한 선다형에 의한 평가 결과와 수행평가에 의한 평가 결과가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선다형만을 이용한 과학 탐구능력 평가와 그에 관련된 연구보다는 수행평가 방법과 같은 과정 평가를 이용한 정성적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평가의 결과와 연구 결과의 해석에 대한 타당성을 한층 높여줄 것으로 해석된다.

  • PDF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가 과학 진로 지향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view with Scientist and Engineer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Image of Scientists)

  • 전화영;이진명;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0-358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역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 수행 평가가 과학 진로 지향도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 이공계 학생들은 인터뷰를 실시하고 파워포인트 프리젠테이션을 만들어서 수업 시간에 발표를 했고, 프리젠테이션 후에는 교사가 그 내용에 관련된 코멘트를 하였다. 프리젠테이션 발표는 매 수업 시간마다 한 명씩 1년 동안 계속되었다. 이 수행 평가를 시작하기 전에 과학진로지향도 검사와 과학자 이미지 검사(DAST; Draw-A-Scientist-Test)를 실시하였고, 프리젠테이션이 끝난 후 같은 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과학진로 지향도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세부 영역별로는 '과학 학습 선호'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의 진로 결정이 이미 상당히 견고하게 자리 잡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학자 이미지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p< 0.01)가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정형화된 과학자의 이미지가 인터뷰 수행 평가를 통해 줄어들었다는 것으로 과학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초등학교 교사의 탐구에 대한 신념과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제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practice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 고민석;김은애;허진미;양일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4-13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their practice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earcher was survey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was shown as constructivist tendency. This view of inquiry involves watching and doing experiments, and the skills of thinking processes, in which learners make their own interpretations rather than merely acquiring preexisting knowledge structures. Second, for content knowledge, participants' preception about the target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volved assessing application of science knowledge rather than basic level of substantive knowledge. For inquiry process, participants' preception about the target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volved assessing the lower level of inquiry rather than the higher level of inquiry. Most of participants was measured using a paper and pencil test for the actual evaluation methods due to the ease and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the lack of understanding how to perform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and method. Especially, participants who recognize that the higher level of inquiry was used performance and informal mode of assessing.

조적조 노후 군시설의 성능평가기준 (Performance Evaluation for Deteriorated Masonry of Military Facilities)

  • 양은범;신종현;이찬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67-174
    • /
    • 2003
  • 우리나라 군 시설에서 조적조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군 시설 현대화사업의 추진 등으로 성능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없이 노후 시설물을 철거하는 경우가 있어서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적조 노후 군시설을 효율적으로 유지보수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시설물의 기울기 및 침하, 내하력, 내구성 등을 조사하여 시설물 전반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내하력은 조적상태, 줄눈모르터 상태, 긴결철물의 상태, 테두리보 상태, 하중상태 등으로 평가하고, 내구성은 균열, 표면노후화, 진동등의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의 중요도는 AHP 기법을 적용하여 산정한 가중치로 결정하였다. 조사대상 조적조 노후 군시설의 성능을 판정할 수 있는 절차도 제시하였으며, 사례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가 수학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Using Student Self-Assessment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 문소정;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9-297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과정 중심 평가가 대두됨에 따라 교실에서 과정 중심 평가의 정착 및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자기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제안하였고 이를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동질성이 검증된 5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에는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비교집단에는 교사 주도의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실험집단의 정의적 영역은 유의미하게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학생들의 소감문과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본 수업을 통해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더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프슬래브를 이용한 PC 복합공법의 선정기준 개발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for Composite Method Using Half-PC Slab)

  • 박병훈;김재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3-104
    • /
    • 2016
  • Most of studies on PC method aim at the structural analysis and development of PC members, and studies o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spect are insufficient.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i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spect regarding 'composite method using hollow-PC column' (HPC method), and is intended to develop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benefit·cost analysis of HPC metho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benefit·cost analysis were composed of main-factors and sub-factors through interview with 4 expert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main-factors into 4 major categories, i.e,. structural performance, construction performance, construction duration and construction cost. Sub-factors were composed of factors which were of high importance in assessing the two methods. And factors judged to be repeated or of little importance were excluded.

  • PDF

예비교사의 TPACK 역량 측정 설문과 수행평가 결과의 차이 (The difference of measurement results between the questionnaire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Pre-service teacher's TPACK competency)

  • 최경식;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37-449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들이 갖고 있는 TPACK의 실천적 역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한 TPACK 측정 설문지와 수행평가를 통해 드러난 TPACK 역량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의 TPACK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또한 '달과 천체의 변화'에 관련된 수행평가 과제 및 면담을 통해 예비 교사의 TPACK 역량의 실제를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에서는 예비교사들의 PCK와 TPK이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TCK와 TPACK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문에서는 TPK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행평가를 분석한 결과 TPK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설문에서는 TPK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행평가를 분석한 결과 TPK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에서 TCK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행평가를 분석한 결과, 반대로 TCK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설문에서 TCK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행평가를 분석한 결과, 실제 TCK 역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PACK가 설문에서는 높게 나타난 경우에도 수행평가의 실제 결과를 통해서는 TPACK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TPACK 측정 도구들이 실행 역량 보다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n the Library Us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우윤희;김종성;이용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89-313
    • /
    • 2013
  • 이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을 실행함으로써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수 학습지원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1년간 20회(40시간)에 걸쳐 실제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연구보고서법 수행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활용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과학1 생물단원의 수행평가 도구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s for a Biology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1)

  • 조정일;유형빈;노영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4-395
    • /
    • 2000
  •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암기식 수업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개개인의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을 위해 전통적인 교수 학습 평가의 새로운 대안으로 수행평가가 제시되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의 생물 단원 '주변의 식물'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와 문제점 그리고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에 소재한 중학교의 1학년 5개 학급 학생 186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1학년 과학 생물 단원 '주변의 식물'에 대한 수행평가를 위해 관찰보고서, 조별 토의 학습지, 실험과정과 태도평가, 조별 탐구 보고서 및 조별 활동 평가, 조별 발표 활동, 구술 시험 도구를 개발하였다. 2. 수행평가를 실시함으로서 학생들 개개인의 종합적인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소집단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도와 협동적 문제 해결 능력이 신장되었으며 수업 방법이 학생 주도의 수업 형태로 개선되었다. 3. 평가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적 부담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수행평가에 관한 학생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