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region

검색결과 2,073건 처리시간 0.03초

대기와 부유분진중 화학 성분의 분석에 대한 비교 연구 (A Study and Analysis for Chemical Components both Air and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at Industrial Region)

  • 박원우;박흥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17-225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rmed at Sa-Sang Industrial area in Pusan City. To measure the total suspended particulates(T.S.P) and $SO_3$ following places was selected industrial area, down town, residentail area. T.S.P was collected on glass filters by High-Volume Air Sampler, $SO_3$ was measured by PbO2 Candle method. The collected T.S.P was analyzed for various anlon(for example, $NO_3$, $SO_4$, $PO_4$, F, Cl) by ion Chromatography, and Pb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 PDF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Methodology of Industrial Integration by Spatial Unit: Based on Root Industry)

  • 김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56-266
    • /
    • 2020
  • 산업의 공간적 입지에 대한 분포 패턴 분석은 관련된 공간정책 및 계획의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어떠한 분석지표와 공간단위를 활용하는가에 있는데, 이는 지표와 공간단위에 따라 그 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공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한 다양한 산업집적 지표들을 고찰하고 관련 지표에 따른 산업집적의 지역유형을 구분하며, 다음으로 개별입지, 그리드, 행정구역 등의 다양한 공간단위별 산업집적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뿌리산업에 대해 실증분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공간단위에 있어서 그리드 단위가 행정구역 단위보다 세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공간단위의 설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석상의 차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유형 구분에 있어서는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창원시를 축으로 하는 동남권과 인천광역시, 화성시, 안산시를 축으로 하는 수도권 서부축이 뿌리산업의 산업집적 클러스터 지역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산업재해 요통근로자의 재원기간에 관한 연구 (The length of hospital stay of the industrial workers with back injury)

  • 이복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29
    • /
    • 2000
  • Back injury is frequent in industry workers and is a common cause of productivity los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sured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tend to stay in hospital long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insu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for the treatment of back injury in the workers under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insurers develop reasonabl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olicy for back injury claims and prevention strategies of work-related back injury. A total of 2,949 patients whos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claim has been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work-related back injury from January to December 199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 work place, back injury, and hospital were assessed using ANOVA, t-test, simple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res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 stay(LOS) was 91.82 days, respectively. 2. Characteristics of Patient LOS of male patients was longer than that of female patient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LOS and between average wage and LOS. Working perio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OS. Distance from resident to hospit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S and LO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gn on type of duty. 3. Characteristics of Work Place LO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industry and geographical region of work place. Size of work pla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S. 4. Characteristics of Back Injury Occupational back pain required shorter LOS compared with back injury due to electric shock. Number of concomitant illnesses and severity of disabil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S. 5. Characteristics of Hospital Patients treated in community hospitals required significantly longer LOS. Treatment in hospitals with rehabilitation program required decreased LOS. This was more prominent as number of physicians specialized in rehabilitation. 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stance form resident to hospital, geographical region of work place, size of work place, number of concomitant illnesses, severity of disability, and type of hospital were factors affecting LOS.

  • PDF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역별 출산율 차이 요인 분석 (Analysis of Regional Fertility Gap Factors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이동우;김미경;윤정윤;류동원;송재욱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1-50
    • /
    • 2024
  • Korea is facing a significant problem with historically low fertility rates, which is becoming a major social issue affecting the economy, labor force, and national security.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gional gap in fertility rates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are implementing a range of policies to address the issue of low fertility. To establish an effective strategy,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primary factors that contribute to regional disparities. This study identifies these factors and explores policy implications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udy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media and public opinion on childbirth in Korea by incorporating news and online community sentiment, as well as sentiment fear ind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fertility rates and factors, the study employs four machine learning models: multiple linear regression, XGBoost,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Support Vector Regression, XGBoost, and Random Forest significantly outperform linear regress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achine learning models in explaining non-linear relationships with numerous variables. A factor analysis using SHAP is then conducted. The unemployment rate,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per Capita,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Number of Crimes Committed, Average Age of First Marriag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significantly impact regional fertility rates. However, the degree of impact of the factors affecting fertility may vary by region, suggesting the need for polic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not just an overall ranking of factors.

음성군 공업의 입지적 특성과 지역연계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Linkages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Eumsung County, Korea)

  • 홍숙;김학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분산정책과 더불어 공업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음성군 지역의 공업활동을 기업체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업입지의 유형과 요인, 그리고 지역연계에 관해 연구하였다. 제조업체들이 음성군에 입지하게 된 주요 요인들은 저렴한 공장부지가격과 편리한 교통조건이며, 수도권 공장 분산정책도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업체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물자 연계, 서비스 및 정보 연계, 고용 연재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수도권 공장 분산정책과 중부고속도로의 개통에 의하여 급격하게 성장한 음성군의 공업화는 내실있게 성장하지는 못했다. 수도권에 인접한 음성군은 1980년대 말부터 수도권에서 이전해온 공장들에 의해서 비약적인 공업화를 이루었으나, 국지적 연계보다 수도권과의 연계가 강한 측면이 있어서 종속개발의 폐단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음성군이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하려면 지역내 기업간의 연계 조성, 사회간접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서비스 및 정보 제공 등 보다 나은 지역경제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적 노력과 함께 농촌공업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 PDF

CFD를 활용한 크래프트 회수보일러 내부 노즈 아치 구조에 따른 열교환 효율 분석 (Analysis o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Kraft Recovery Boiler by Nose Arch Structure Using CFD)

  • 장용호;박현도;임경필;박한신;김정환;조형태
    • 공업화학
    • /
    • 제32권2호
    • /
    • pp.149-156
    • /
    • 2021
  • 크래프트 회수보일러(kraft recovery boiler)는 펄프 공정에서 생성된 흑액을 연소하여 발전용 스팀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특히 연소로 상단부에 존재하는 과열기(superheater)는 포화 증기가 연소가스와 열교환을 통해 과열 증기로 전환되는 구간으로, 연소가스와 포화 증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 향상은 발전용 과열 증기 생산량 증가 및 발전 효율이 증가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과열기 하단부에 위치한 노즈 아치는 과열기의 부식의 원인이 되는 연소로에서 발생한 복사열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연소가스 유동을 방해하여 포화증기와 열교환이 끝난 저온의 연소가스가 과열기를 나가지 못하고 재순환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FD를 활용하여 노즈아치 구조에 따른 재순환 영역의 크기와 연소가스 출구 온도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노즈 아치 하단부 각도를 106.5°에서 150°로 변경할 경우 연소가스의 재순환 영역이 감소하여 연소가스와 과열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10.3%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업구조조정과 지역불균등발전 : 1980년대 (Industrial restructuring and uneven regional development in the 1980s)

  • 최병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7-165
    • /
    • 1994
  • 1980년대 한국의 산업구조조정과 지역불균등발전은 70년대말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 고 총량적 경제성장을 지속시키기 위해 외연적 팽창과 내포적 발전을 동시에 추구했으뎌, 그 결과 한국 경제는 포드주의적 축적체제에서 주변성을 탈각하고 성숙되었다. 산업구조의 외연적 팽창과정에서 자본의 공간적 이동과 분업체계의 확충은 기존의 수도권-동남권의 양 극체제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한편으로 수도권지역에 산업의 재집중과 또 다른 한편으로 새롭게 조성된 호남, 충청권으로의 분산을 촉진시켰다. 산업구조의 내포적 발전과정에서 포 드주의적 분업체계의 심화는 경영관리 및 연구개발의 구상기능을 강화시키고 생산자서비스 를 일정하게 포섭한 독점자본의 본사, 생산공정의 자동화와 제품의 표준화, 규격화로 대량생 산체제를 달성한 대기업의 분공장, 이들 주변에서 값싼 노동력으로 부품생산을 담당하는 영 세하청공장들 간의 사회공간적 위계화를 촉진시키면서, 독점자본에 의한 공간지배를 보다 확대시키고 또한 치밀하게 함으로써 지역불균등발전을 심화시켰다.

  • PDF

IPA 분석을 통한 농기계박람회 평가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Evalu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Expo Using IPA Analysis)

  • 권세인;양종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81-691
    • /
    • 2017
  • 본 연구는 2016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국제농기계자재박람회(영문약칭, KIEMSTA)를 토대로 참가업체의 관점에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이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참가 업체의 참가 목적에 대한 중요도와 참가 목적이 실제로 달성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성취도에 관한 15가지의 동일 항목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2016년도 KIEMSTA에 참가한 국내 및 국외 453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중 유효성이 확보된 258개 업체를 대상으로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중요도-성취도 분석(IPA)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되는 2차원의 사분면으로 유의미한 영역의 차이를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과잉영역(현상유지영역)에는 경쟁사의 제품의 정보수집, 자사의 능력전시, 자사의 전시경험 향상, 마케팅 영업팀 훈련, 유지영역(유지 강화영역)에는 기존 고객과의 관계유지, 시장정보 수집, 자사의 경쟁력 파악, 신제품 소개, 마케팅 영업팀의 고객소통능력 강화, 저순위영역(점진적 개선영역)에는 새로운 미래전망의 발견, 해외시장의 수출기회 파악, 박람회 미참가 기업대비 경쟁력 강화, 마지막으로 집중영역(중점적 개선영역)에는 매출증대, 핵심 의사결정자와의 만남, 신시장 개척과 같은 항목이 나타났다.

비디오 편집 모델에 기반한 적응적 디졸브 검출 방법 (Adaptive dissolve detection based on video editing model)

  • 원종운;이광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8-2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편집 모델에 기반한 디졸브 모델의 특성에 따른 디졸브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각각의 디졸브 구간이 가지는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디졸브 검출에 적응적이다. 제안된 방법은 2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디졸브 구간의 후보 영역을 찾는다. 동영상의 각 프레임의 분산으로 얻어지는 분산 곡선에서 디졸브 구간은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분산 곡선의 1차와 2차 미분을 이용하여 디졸브 구간에 대응하는 포물선의 후보 영역을 찾는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각각의 후보 영역에 대해 디졸브 영역을 검증한다. 후보 영역에서 디졸브 모델에 대응하는 포물선의 골의 분산을 추정하여 디졸브를 판별한다. 골의 분산은 이웃한 두 장면의 분산의 함수로 나타남으로 다양한 분산에서 나타나는 디졸브를 적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디졸브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대상으로 기존의 방법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분산의 변화에 상관없이 디졸브를 정확히 검출하였으며 기존의 방법 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거래비용이론 관점에서 살펴본 EU권 국제기술협력 정책적 함의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International Technological Cooperation in EU region investigating in view of the transaction Cost Theory)

  • 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00-5508
    • /
    • 2011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EU권과의 국제기술협력 중 주를 이루는 EU FP과 EUREKA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찾는 것에 있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되어있다. 제 2장에서는 EU 국제기술협력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제 3장에서는 EU권 국제기술협력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여기에 토대를 이루는 이론으로는 네트워크와 거래비용이론이다. 제 4장에서는 연구방법을 그리고 제 5장에서는 우리정부의 EU권 국제기술협력 정책 사례를 통하여 제 3장에서 개발된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이어서 제 6장에서는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