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rvice teachers

검색결과 1,707건 처리시간 0.032초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응급처치 교육실태 및 교육 요구도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Demand Assessment of First Aid Education on High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조근자;최은숙;이현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5-189
    • /
    • 2007
  • Background and Purpose : High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re most adequate subjects for first ai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first aid education and needs of high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3 higher grade students from 8 elementary schools. Data were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 to April 13, 2007.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Cronbach's ${\alpha}$,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One Way ANOVA by SPSS win 12.0. Result : 1. It showed that 78.1%(143 persons) of sujects answered that they learned first aid. 65% of sujects learned in the school(65%). 61.2% of sujects were taught by health teachers. 36.7%(67 person) of subjects was educated using practice with demonstration including lecture. Learned contents were action at emergency(50.8%), CPR(36.6%), splint (33.9%). 2. It showed that 90.2%(165 persons) of subjects answered that first aid and CPR education are necessary. Also 74.9%(137 persons) of subjects answered that will be educated first aid and CPR if opportunities is given. The 53.3%(73 persons) of subjects wanted teaching method using practice with demonstration including lecture. 3. The total mean showed $2.29{\pm}.48$ in needs of first aid education by 3 points Likert scale. Needs of first aid education was ranked Heimlich maneuver($2.41{\pm}.65$), splint and bandaging($2.38{\pm}.59$). Priority of intensive training showed patient assessment(38.0%) and CPR(19.7%) in first, splint and bandging(22.6%), CPR(21.9%) and Heimlich maneuver(21.9%) in second. 4. The needs assessment of first aid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ing method(F = 2.563, p = .025), education necessity yes or no(F = 2.474, p = .015), attending future education yes or no(F = 2.253, p = .026).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st aid education for high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must be consisted of most adequate content and method based on current education condition and needs assessment.

  • PDF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Trends in Research Studies on Scientific Argument and Writing in Korea)

  • 신지원;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7-12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문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및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 적용 방식과 어떠한 측면에서 그 결과를 분석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 118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최근 10년간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2008년 이후에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수 학습 전략을 개발,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에 대한 내용 분석, 그 효과 분석의 순으로 연구 문제가 선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예비 교사 및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었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가 비교적 고르게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에게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사전 교육을 진행하거나 관련 자료를 제시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논의 및 과학 글쓰기 적용 후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연구가 많았는데, 과학 개념, 과학 탐구 능력, 비판적 사고력 향상 등의 분석에 좀 더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많은 연구에서 논의 구조와 논의 과정 또는 과학 글쓰기에 포함된 내용과 글쓰기의 형태 분석을 해왔다. 향후에는 논의의 수준 또는 과학 글쓰기에 포함된 과학 개념을 함께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과학 영재의 국제경진대회 활동에서 창의성의 사회적 측면 분석 -국제 청소년 물리 토너먼트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Activities for Scientifically-Gifted in an International Science Compet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Aspects of Creativity - The Case of the 'International Young Physicists' Tournament')

  • 최재혁;서정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82-59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국제 청소년 물리 토너먼트 대회에 참가한 과학 영재들의 활동을 창의성의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의 체계 모형과 그 활동 과정이 얼마나 유사한지 분석하였다. 과학 학습에서 협동과 토론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사회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영재들이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다른 동료 학생들과 교사는 물론 그 과정에서 형성되는 문화와 지속적 상호 작용을 하였다. 또한 대회에서 심사자가 발표, 반론, 평가의 과정에 근거해 평가하는 것 역시 모형에서 새로운 지식을 평가하는 과정과 유사했다. 학생들이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그 결과를 토론으로 겨루는 형식은 창의성의 사회적 특성을 잘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회가 계속 확산됨에 따라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서 사회적인 측면에서 이를 길러줄 수 있는 기회와 교육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공공임무용 드론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실종자 수색용 드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Public Service Drones - Focused on Search and Rescue Drones -)

  • 강욱
    • 시큐리티연구
    • /
    • 제62호
    • /
    • pp.65-86
    • /
    • 2020
  • 군사용으로 개발되었던 드론은 취미, 레저뿐만 아니라 방송촬영, 공공분야까지 사용분야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네팔로 봉사활동을 갔다가 눈사태로 실종된 한국인 교사 4명을 찾기 위해 수색용 드론이 투입되기도 하였다. 정부는 드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공공분야에서의 드론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에서 드론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공공기관의 드론 활용에 대한 개선방안과 구체적 이용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관련 전문가에 대한 인터뷰, 공공기관의 드론 운용규정 분석 및 경찰의 실종자 수색용 드론 운용사례를 검토하였다. 우선 드론의 도입 이전에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고 충분한 검토를 통해 드론의 사양 등을 결정하고, 드론의 도입에 있어서도 면밀한 검사가 이루어진 후에 임무에 투입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드론 운용에 대한 근거규정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매뉴얼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드론 비행은 추락의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공공부문에서의 드론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취미용 드론에 비하여 대형화 전문화되어 있기 때문에 드론 운영의 전담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경찰청의 실종자 수색용 드론에 대해서만 구체적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대상자도 적다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여러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인터뷰 외에도 설문조사가 각종 자료나 통계 등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리듬 및 유창성 지수와 한국 화자의 영어 읽기 발화 청취 평가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rhythm and fluency indices and listeners' ratings of Korean speakers' English paragraph reading)

  • 정현성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25-33
    • /
    • 2022
  • 이 논문은 리듬 및 유창성 지수와 한국 대학생이 읽은 영어 발화의 리듬 및 유창성 청취 평가가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17명이 'The North Wind and the Sun' 문단을 읽고 영어 발음 수업 사전, 사후 두 차례에 걸쳐 녹음한 것을, 대학원에 재학 중인 현직 영어 교사 및 예비 영어 교사 7명이 리듬 및 유창성에 대한 청취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 선행 연구에서 언급된 리듬 및 유창성 지수 중 14개 지수를 사용해 각 발화 자료의 지수를 추출하여 지수와 청취 평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지수를 분석한 결과 %V, VarcoV, nPVIV에서는 선행 연구의 영어 원어민 지수와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ΔV, ΔC, VarcoC에서는 원어민보다 높았으며, 발화 속도는 원어민보다 느렸다. 한국 대학생들이 일부 리듬 지수에서는 영어 원어민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리듬 및 유창성 지수를 사용하여 리듬 평가 점수와 유창성 평가 점수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모델을 탐색한 결과, 리듬 및 유창성 평가 모두에서 유창성 지수인 휴지 비율, 조음 속도, 발화 속도 등이 리듬 지수들보다 평가 점수를 예측하는데 더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건강증진 지표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dex Development and Measurement for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 김영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9-201
    • /
    • 199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develop the index of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two, to measure those, third, to analys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that effect on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School health promotion indexes were composed of 60 components of six areas which modify the element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re develop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June to September in 1998. The number of subjects was 294 school nurses. The SAS-PC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ix areas of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are: school health politics (20 components), the school physical environment (17 component), the school social environment (7 component), community relationships (6 component), personal health skills (7 component) and health services (3 component). 2. The mean of total school health promotion indexes was highest at elementary school as 3.46. The order of area was health services, the school physical environment, school health politics, the school social environment, personal health skills, community relationships. 3. The regression model used in this analysis present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area of school physical environment was education level of school nurses. The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area of the school social environment and personal health services were the location of school, credential education program. Age or career also we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 the community relationships and health services. In summary,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was higher than other school. It is mean that have to perform active promoting behavior at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ealth service level was highest among areas of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It is mean also that school nurse teachers is interested in activity for other areas to improve of school health.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pecific program for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

  • PDF

안전한 e-Navigation을 위한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의 정보교환 보안구조 설계 (A Security Architecture of the inter-VTS System for shore side collaboration of e-Navigation)

  • 이병길;한종욱;조현숙;박남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
    • /
    • 2012
  • 해양 분야에서 "e-Navigation"의 개념이 2005년 처음 소개된 이후, 최근 2~3년 전부터 국제해사기구(IMO)와 항로표지협회(IALA)에서 이행전략과 기술 표준화가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특히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 Vessel Traffic Service)은 항행지원정보교류가 가능한 육상국으로서 선박 통항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환경을 보호하는 e-Navigation의 핵심적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IALA VTS Committee에서는 출항에서 도착항까지 항행지원을 위하여 VTS 시스템간 정보 교류(IVEF:Inter-VTS Data Exchange Format)에 대한 요청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상의 실시간 선박 교통흐름 정보는 국가적으로도 보안에 민감한 정보로서, 테러 등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있어, 안전한 정보교환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연동을 위한 보안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보안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STS교육운동의 국내 연구 경향 분석과 적용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The Trend Analysis of Korea STS Education Movement and a survey Study on Applying STS Education in Korea)

  • 정완호;권용주;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9
    • /
    • 199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rend of STS movement in Korea and to collect basic data on application of STS to school science education. It investigated, from 1990 to March 1993, journals of 6 associations, a monthly magazine of science education, and printed materials of seminars or workshops about science education. It also surveied a question to 47 science teachers and 26 researchers who had experienced STS worksho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udies of STS increased since 1990, but they are made at a introduction or background of STS. (2) The 98.7% of the respondents want to apply STS in school science education. (3) They responded that a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STS which is added last part of each chapter or last chapter, will use the STS program that made by subject, still maintain current science curriculum. (4) They responded that the knowledge & compreshion domain and inquiry process domain contain more high than others. 5) The STS subjects for application to the school science education are as follows; Environment pollution, science for living, ethics of science, human health and diseas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 ecosystem destruction, development and storage of natural resources. This study suggested that establishment of a research institute for systematic research of STS, in-service training, a new evaluation process, a balancing of other subjects and increasing learning hour and changing objectives.

  • PDF

집단글쓰기수업의 단계별 하위요소 탐색 (The Process of Group Writing and Processes Factor)

  • 김세미;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85-598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집단 글쓰기 활동을 통해 집단 글쓰기 과정의 3단계인 정보수집, 정보의 논리적 조직, 검토 단계에서 나타나는 하위요소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과 논리 및 논술을 수강하는 19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집단 글쓰기 수업을 구성하여 그 과정을 탐색하였다. 집단 글쓰기는 예비 과학교사들로 하여금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4~5명으로 형성된 집단을 구성하여 실행되었다. 집단 글쓰기 3단계의 하위요소 분석은 집단별 토의내용과 작성한 글을 대상으로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의 집단 글쓰기 과정의 3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하위 요소가 추출되었다. 정보수집 단계에서는 정보 공유, 정보이해, 정보판별의 하위요소가 추출되었으며, 정보의 논리적 조직 단계에서는 정보의 범주화, 분산, 정보의 균형화, 성찰이라는 하위요소가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검토 단계에서는 글 형식 통일, 전체적 글의 흐름검토, 가독성 고려라는 하위요소가 추출되었다.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f Staff in Group Hom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ir Job Satisfaction)

  • 석여희;최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55-665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그룹홈 종사자 148명을 대상으로 종사자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종사자들은 직장의 업무환경의 6개 하위영역 중 도전과 역할모호성에 대해서는 3.08점과 3.61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에서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편안함, 금전적 보상, 역할갈등, 업무량에 대해서는 평균 1.80점에서 2.73점 사이로 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상대적 취약성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도전과 역할모호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업무환경에서는 사회재활교사의 업무기준을 명시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그룹홈 지원체계를 강화하여 종사자들의 자기개발과 도전의 기회를 높이고,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원이나 지지를 높여나가야 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