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igh school male student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1초

인터넷 사용 영향에 따른 청소년의 건강행태 분석 (Analysis of The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Effect of Internet Use)

  • 김영신;김광환;이무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03-610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 관련요인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는데 특히, 인터넷 사용 영향을 중심으로 하였다. 2018년도에 조사된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시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대상자는 60,040명으로 남학생 50.7%, 여학생 49.3%였으며, 고등학생 49.7%, 중학생 50.3% 등이었다. 종속변수는 스트레스, 슬픔 및 절망감, 자살생각, 자살계획, 그리고 자살시도이며, 독립변수는 성, 연령, 건강생활 행동과 인터넷 사용시간 등으로 관련요인 도출을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모든 종속변수에 대하여 성, 학년, 경제수준, 학업성적 등이 주요 기여변수로 도출되었고 특히 인터넷 사용시간은 스트레스와 선형적인 관계가 있고, 슬픔, 절망감, 자살생각, 자살계획에서는 사용시간이 '상'인 학생이 더욱 유의한 영향을 보여 결론적으로 인터넷 사용시간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울산시 초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 김연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7-230
    • /
    • 2006
  •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울산시 초등학교 4.5.6학년 545명을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합된 자료는 SPSS 11.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고, t-검정과 ANOVA 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실에 대해 알고 있다'와 '불소에 대해 알고 있다'에서는 오답으로 답한 경우가 훨씬 높은 비율로 나타나 충치예방의 으뜸인 불소에 대한 지식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2. 학년에 따른 구강보건 지식 및 행동과 잇솔질 횟수는 4학년과 5학년이 6학년보다 더 낮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0, p < 0.005). 3. 구강보건지식은 구강보건행동점수가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p = 0.001), 구강보건행동은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00).

  • PDF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mart Media Literacy and Learning in a Context of Online Inquiry-based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 LEE, Sunghye;CHAE, Yooj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7권2호
    • /
    • pp.229-251
    • /
    • 201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smart media competency and online learning outcomes. The context of this study was on online inquiry-based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d four-hundred and fifty-five (455) 7th to 9th grad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o assess students' smart device competency,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 (SMLQ) which consisted of 18 items regarding the operation ability of smart media and its application (14 items) and positive beliefs of smart media (4 items) was administered to each stud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howed that students' smart media literacy vari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class (subject), and socio-economic status. Female students' scores were higher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than male students. 7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ed lower smart media literacy scores, compared to 8th and 9th graders. Also, minorit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than the non-minority students. Second,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and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varied among high, medium, and low score achievers in inquiry tasks. Low scored students in inquiry task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and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than medium scored students. Lastly, smart media literacy also varied by students' dropout/completion. Students who dropped out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대구지역 국민학교 어린이의 주의력 결핍 과잉 운동 장애 경향에 대한 선별 검사 (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creen Test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aegu City)

  • 박형배;김진성;장상렬;박성찬;서혜수;이광헌;김영욱;김창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56-74
    • /
    • 1995
  • 저자들은 1994년 3월부터 5월 사이에 대구지역에 소재한 3개 국민학교 2학년 아동 538명을 대상으로 부모 평가용 ADDES-HV 척도를 이용하여 주의력 결핍 과잉 운동 장애에 대한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교별 학생간에는 주의력 결핍 과잉 운동장애 점수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세 학교 학생들의 남녀간 비교에서 남자가 ADDES-HV 소척도 및 전체 점수 모두에서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ADHD 환아군 및 정상 대조군에서 남녀간의 ADDES-HV 척도의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에서 신뢰도 계수는 주의 산만이 0.80, 충동성이 0.69, 과잉 운동이 0.63, 전체 점수 0.82로 모두 만족할 만큼 높았다. 5. 내적일관성에 의한 신뢰도 검증에서 환아군은 Cronbach a값이 0.85(p<0.05), 정상대조군은 0.84(p<0.05)였다. 6. ADDES-HV 척도와 DSM-III-R 척도와의 공존타당도는 ADHD 환아군에서 0.57(p<0.05), 정상대조군에서 0.84(p<0.05)였다. 7. ADHD 환아군과 정상대조군간의 감별 타당도 검증에서 모두 유의하게 환아군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8. ADDES-HV 척도의 환자군에 대한 판별력을 평가하기 위한 판별 분석에서 전체 판별력은 94.44%였다. 9. 정상적인 접수의 상한선인 절단점을 표준편차 1.5로 볼때 국민학교 2학년 남학생은 80점, 여학생은 69점이었다. 따라서 ADDES-HV 척도를 한국인에 적용한 결과 신뢰롭고 타당함이 입증되었고 환자를 판별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향후 ADHD에 대한 선별검사 및 조사 연구에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 PDF

인터넷을 이용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Internet)

  • 김윤정;윤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546-553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nd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ith internet for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ith 430 college or high school student in October, 1997. Eighty four point eight percent of female and 36.0% of male students had a plan to reduce their weight in a near future. Forty four point four percent of subjects obtained information about weight control from mass media, 28.6% of subjects obtained from their neighbor's recommendation. The information wanted to know were high-calorie foods, answered by 42.1% of females, and calorie expenditure of exercise, answered by 31.9% of males. The obese group showed higher preferrence to sweet foods, salty foods, hot foods, convenience foods, processed foods, animal foods, fried and oily foods, and eating-out than normal group(p<0.05). The obese group also showed a tendency of bad food habits, low intake of seaweeds, high intakes of animal fat, cholesterol-rich foods and salty foods. Amount of food intakes was inappropriate in obese group. An internet program for nutrition educ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juvenile nutrition programs. The program consisted of 6 steps ; step 1 was to check one's physical status, step 2 was explanation about good food habits, step 3 was about food management, step 4 was methods of exercise for health, step 5 included how to maintain ideal weight, and step 6 was related-internet site. Pre-education test and post-education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 education through internet.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increased from $74.2{\pm}7.4$ to $77.2{\pm}9.6.$ The score of food attitude did not change. The subjects wanted more information about nutrition from internet. Therefore, internet program of nutrition education with specific and interesting topics should be developed more.

  • PDF

광주지역 남자 중.고등학생의 흡연실태와 흡연관련 요인 (Smoking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in Male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Kwangju)

  • 이윤지;이정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3호
    • /
    • pp.359-370
    • /
    • 1993
  • 광주지역 남자 중 고등학생들의 흡연실태와 흡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사회환경적 요인,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자 1992년 6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광주지역 남자 중학생은 남녀공학유무, 고등학생은 남녀공학유무 및 인문계와 실업계 계열별로 이단계 층화확률표본추출하였으며 흡연실태에 대한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작성하였다. 응답자는 중학생 1,574명, 인문계 고등학생 1,664명, 실업계 고등학생 721명으로 총 3,959명이며 자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재 흡연자는 중학생은 1.5%, 인문계 고등학생 14.8%, 실업계 고등학생 35.1%로 전체 고등학생의 흡연율은 20.1%를 나타냈으며 중 고등학생 모두 학년이 올라갈수록 흡연자의 비율은 증가하였다(p< 0.01). 2. 과거 및 현재 흡연자의 흡연시작 상황을 보면 중 고등학생 모두 호기심으로부터, 그 다음은 다른 사람이 권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처음 권유한 사람은 대부분이 친구로서 친구가 흡연동기의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 3. 현재 흡연자중 매일 규칙적으로 흡연하는 학생은 중학생의 경우 34.8% 였고, 고등학생은 70.2%였다. 흡연 기간은 중학생은 1개월 미만이 29.2%로 가장 많았으며 고등학생은 2년이상의 장기 흡연군이 가장 많았다. 흡연시작시기는 중학생은 국민학교때, 고등학생은 중학교 3학년때 시작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금연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학생을 합하면 76.8%가 금연의사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친한 친구의 흡연, 가족중 어머니와 남자형제의 흡연, 원만하지 못한 친구관계, 가정 학교생활의 불만족, 하위에 속하는 학교성적, 타인의 흡연에 대해 보다 너그러운 태도, 간접흡연에 대한 지식이 없고 TV를 통해 흡연의 유해성을 듣지 못한 경우에 있어서 흡연자가 유의하게 많았다(p<0.01).

  • PDF

화학사적 교수법을 적용한 공명(共鳴) 개념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 Concept of Resonance Using the History of Chemistry)

  • 김경임;이우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342-358
    • /
    • 2010
  • 본 연구는 화학 I 교과의 탄소 화합물 단원에서 벤젠의 '공명(共鳴)' 개념을 화학사에 기초한 교수 학습자료를 개발해 이를 이용한 수업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의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포항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 70명(2개 학반)이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실험반과 통제반의 공명 개념 수업의 학업 성취도와 체감 난이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통적 강의식 수업 집단(35명)에게는 공명 개념의 변천 과정을 주입식으로 전달하였고, 화학사를 이용한 수업 집단(35명)에게는 화학사에 기초한 벤젠 구조와 공명 개념의 도출 과정을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게 하였다. 두 집단 모두 학생 스스로가 개념 정리를 할 수 있는 시간을 동일하게 준 후, 학업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50.143점)이 통제 집단(25.429점)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명 개념 수업은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화학사에 기초하여 과학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과학하는 과정을 깨닫게 한 후, 개념 수업을 하는 것이 학습의 효율성과 지속성에 효과가 더 크다.

  • PDF

일부 지역 중·고등학생들이 치과치료공포감 및 치과의사불신감이 치아우식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tal Treatment Fear and Distrust of Dentists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Korea)

  • 최성숙;송근배;김한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67-373
    • /
    • 2011
  •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의 치과치료공포감 및 치과의사불신감에 따른 치아우식경험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 7월 1일 부터 9월 30일까지 임의 선정된 대구광역시 소재 6개 중학교 1, 2, 3학년과 2개 고등학교 1학년 총 750부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 한 후 성실하게 답변 하지 못한 3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720부와 치아우식경험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치료공포감의 요인 중 자극반응이 3.42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치과의사불신감은 치과의사에 대한 환자 불신 요인이 3.07점의 평균점수를 보였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치과치료공포감과 치과의사불신감이 높게 나타났고, 중학생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이 높게 나타났다. 3. 치과치료공포수준이 높을수록(p<0.01), 치과의사불신감(p<0.05)이 높을수록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 치과의사불신감($\beta$=0.393)이 높을수록 치과치료공포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치과진료회피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 및 치과의사불신감을 줄이고 치아우식증 발생률이 감소함으로써 청소년들의 구강건강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초등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유형 분석 (Creativity Styl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 박신규;정원우;박영관;홍순천;박경미;김중욱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885-90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TTCT 도형 검사를 통해 초등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유형(style)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TTCT도형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Kim (2006)의 이론에 의해 창의성의 2가지 유형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학년별, 성별에 따른 창의성 유형 비율과 창의성 유형별 성에 따른 창의성 수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TCT 도형 검사는 창의성 수준(level)뿐만 아니라 창의성 유형 즉 적응적 유형과 혁신적 유형의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창의성 유형 비율을 보면 지역별, 학년별, 성별에 관계없이 적응적 유형이 혁신적 유형보다 많았다. 지역별의 경우 대도시일수록 적응적 유형이 많고 읍면지역일수록 혁신적 유형이 많았으며 학년일경우 6학년은 적응적 유형이 많았고 5학년은 혁신적 유형이 많았다. 성별일 경우 여학생은 적응적 유형이 남학생은 혁신적 유형이 많았다. 적응적 유형일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혁신적 유형일 경우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창의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성 유형 분석을 통해 개인의 강점과 제한점을 알고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설계기준 분석 방법에 의한 지역사회 청소년 흡연율 추정 (Estimation of Smoking Prevalence among Adolescents in a Community by Design-based Analysis)

  • 박순우;이상원;박정한;윤연옥;이원기;김종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17-324
    • /
    • 200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unbiased smoking prevalence and its standard errors among adolescents in a large city in Korea, by design-based analysis. Methods: All the students in Daegu city were stratified by grade, gender and region, and then schools as primary sampling units (PSU) were selected by probability proportional to size (PPS) sampling. One or two classes were sampled randomly from each grade, from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to the 3rd grade in high schools. The students anonymously completed a standard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to December 2004.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8,480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third graders in the general high schools because of incomplete sampling. The sampling weight was calculated for each student after post-stratification adjustment, with adjustment being made for the missing cas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ata 8.0 with consideration of PSU, weighting and the strata variables. Results: The smoking prevalence (%) and standard errors for male students from the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to the second grade in high schools were $0.93{\pm}0.47,\;1.83{\pm}0.74,\;3.16{\pm}1.00,\;5.12{\pm}1.02,\;10.86{\pm}1.13,\;15.63{\pm}2.44\;and\;17.96{\pm}2.67$, and those for the female students were $0.28{\pm}0.28,\;1.17{\pm}0.73,\;3.13{\pm}0.60,\;1.45{\pm}0.58,\;3.94{\pm}0.92,\;8.75{\pm}1.86\;and\;10.04{\pm}1.70$, sequentially. Conclusions: The smoking prevalence from this study was much higher than those from the other conventional studies conducted in Korea. The point estimates and standard errors from the design-based analysi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odel-based 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design-based analysis to estimate unbiased prevalence and standard errors in complex survey data and this method is recommended to apply to future surveys for determining the smoking prevalence for specific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