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after recovery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s of Larval Extracts from P. brevitarsis seulensison Cytokine and Diagnostic Marker in Carbon Tetrachloride-Administered SD Rats

  • Lee, Ji-Sook;Kwon, Ohseok;Hwang, Seock-Yeon;Yun, Chi-Young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13-119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arval extracts from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shade dried larva from Korea and China on liver tissues of hepatic injury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a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carbon tetrachloride single injection ($CCl_4$), Pb-CHI ($CCl_4$ + P. brevitarsis shade dried larva from China), Pb-KOR ($CCl_4$ + P. brevitarsis shade dried larva from Korea) and SIL ($CCl_4$ + 0.35% silymarin) groups. Sprague Dawley rats were oral injected with $CCl_4$ at a dose l mg/kg (20% in corn oil) for induction of liver damage for 4 weeks. Each experimental group was fed with a dose 50 mg/kg of larval extracts based on medicinal preparations from 3 weeks to 4 weeks after $CCl_4$ treatment. At the end of 4 weeks, we evaluated the serum levels of 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GPT),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blood urea nitrogen (BUN) in serum and the cytokine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in the cells isolated from spleen and liver. The histological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he $CCl_4$ injection reduced body weight, induced congestion of middle lobe and hepatocytic degeneration, resulting in disintegration of hepatic cords, and increased biochemical markers of blood related to hepatic injury. On the other hand, the Pb-CHI and Pb-KOR group decreased the levels of biochemical markers in blood and cytokine levels in spleen and liver. Especially, the Pb-KOR group facilitated the recovery of biochemical values of blood related to hepatic injury, hepatic lesions and fibrosis. Taken together, larval extract from P. brevitarsis might prevent acute hepatotoxicity and enhance the recovery of liver fibrosis and cirrhosis induced by $CCl_4$, and the ingredients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ic disorders.

  • PDF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이 손상된 말초신경섬유 재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전 연구 (A Prior Study on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 to Regeneration of Injured Peripheral Nerve Fiber)

  • 한규설;유병찬;안정조;조현경;유호룡;설인찬;김윤식
    • 혜화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1-186
    • /
    • 2006
  • Peripheral axons in vertebrate animals can regenerate after nerve injury and accomplish its functional recovery. Numer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diverse molecular factors are induced during axonal regeneration and their potential roles in axonal regeneration have been studied. Examples is N-CAM, L1, P0, nerve growth factors, GAP-43 and so forth. However, most of the studies on axonal regeneration have been primarily focused on axon fiber regrowth and elucidating molecular factors, and relatively less is known about functional recovery. Also, specific drugs or drug components used in the oriental medicine in relation to nerve fiber regeneration have not been known. And thus, in the present, a study on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 components and Yukmijihwang-tang extracts to regeneration of peripheral axon fiber is underway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Therefore, this prior application of Yukmijihwang-tang with documents consideration is reported with a plea for further investigation.

  • PDF

Increase of Synapsin I, Phosphosynapsin (ser-9), and GAP-43 in the Rat Hippocampus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 Jung, Yeon-Joo;Huh, Pil-Woo;Park, Su-Jin;Park, Jung-Sun;Lee, Kyung-E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2호
    • /
    • pp.77-81
    • /
    • 2004
  • The loss of neurons and synaptic contacts following cerebral ischemia may lead to a synaptic plastic modification, which may contribute to the functional recovery after a brain lesion. Using synapsin I and GAP-43 as markers, we investigated the neuronal cell death and the synaptic plastic modification in the rat hippocampus of a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model. Cresyl violet staining revealed that neuronal cell damage occurred after 2 h of MCAO, which progressed during reperfusion for 2 weeks. The immunoreactivity of synapsin I and GAP-43 was increased in the stratum lucidum in the CA3 subfield as well as in the inner and outer molecular layers of dentate gyrus in the hippocampus at reperfusion for 2 weeks. The immunoreactivity of phosphosynapsin was increased in the stratum lucidum in the CA3 subfield during reperfusion for 1 week. Our data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the synapsin I and GAP-43 immunoreactivity probably mediates either the functional adaptation of the neurons through reactive synaptogenesis from the pre-existing presynaptic nerve terminals or the structural remodeling of their axonal connections in the areas with ischemic loss of target cells. Furthermore, phosphosynapsin may play some role in the synaptic plastic adaptations before or during reactive synaptogenesis after the MCAO.

에스트로겐 투여가 난소절제 백서의 골수와 비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ABOUT ESTROGEN EFFECT OF BONE MARROW AND SPLEEN OF OVARIECTOMIZED RATS)

  • 박용선;이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515-527
    • /
    • 1996
  • The most serious problem resulting from estrogen deficiency induce osteo porosis. Recently, they make efforts to inquire a relation between hematopoietic organ and bone loss due to estrogen deficiency. Estrogen have an effect on growth and formation of skeletal system, and inhibit bone resorption under the influence of osteoblast and osteoclast, and basically inhibit the increase of hematopoietic progenitor and immune factor connected with bone resorption and prevent the osteoid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observe the change of spleen and effect on hematopoietic function following estrogen administration. In this study, female rats of 150g weight was ovariectomized, after 70 days, experimental group was injected estrogen at interval of a week and sacrificed on 1, 2, 3, 4, 6 weeks. Control group was sacrificed after ovariectomy on 11, 12, 13, 14, 16 weeks without estrogen injection, and normal rats were sacrificed for harvest of spleen and femur. Paraffin sections and H&E stain was performed, and observed under light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From 11 to 12 weeks at bone marrow of control group, hematopoietic cells were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normal group, and lipid infiltration was seen, and irregular bone remodelling was seen after 13 weeks. From 14 to 16 weeks, there were more decreased hematopoietic cells and lipid degeneration, and lipid degeneration of hematopoietic cells appeared. 2. All the bone marrow of experimental group, the structure of hematopoietic cells with decreased lipid infiltration was recovered from 2 weeks of estrogen adminstration and maintained to 6 weeks. 3. At spleen of control group, borders of white and red pulp was not well demarcated, and size of white pulp was decreased. 4. At spleen of experimental group, borders between white and red pulp have been well demarcated from 3 weeks of estrogen adminstration relatively, and white pulp was increased with distinct border. From above findings, we could regarded that estrogen deficiency due to ovariectomy influenced on hematopoietic cells of bone marrow and spleen, and histologic recovery of hematopoietic cells were observed after 3 weeks of estrogen adminstration even if it was not reach to normal group.

  • PDF

배양중 흰쥐 간세포의 새포소기관 표지효소의 변천 (Transition of Marker Enzymes of Rat Hepatocyte Organelles in Culture)

  • 송인환;김주영;성인기;이융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33-140
    • /
    • 1989
  • 초기배양과정에서 일어나는 간세포의 회복, 성장, 활동상황등을 추적하기 위하여 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꼭 필요하고 서로 깊은 연관관계를 가진 골지체, 사립체, 생체막의 표지효소를 일령별로 추적 하였다. 골지체의 표지효소인 thiamine pyrophosphatase는 배양 4일경부터 장기 배양시의 강도에 접근하였으며 사립체의 표지효소인 succinate dehydrogenase는 시일이 지나며 강도가 감소하여 4일부터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였다. 형질막의 표지효소인 alkaline phosphatase은 2일째부터 반응강도가 강해져 5일째 이후로는 아주 강한반응을 보였다. 이같은 결과를 종합해볼때 1차 배양에 있어 간세포는 세포 분리후 4일경이 지나면서 안정상태에 접어들고 제 기능을 수행하나 배양 상태에서는 분비세포로서의 고유기능은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드론 영상기반 잔디밭 내 클로버의 퇴치 범위에 대한 시계열 분석 (Drone Image based Time Series Analysis for the Range of Eradication of Clover in Lawn)

  • 이용창;강준오;오성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1-221
    • /
    • 2021
  • 클로버는 잔디의 대표적 유해 식물로 양지식물인 잔디보다 일찍 생육활동을 시작하여 잔디의 상부에 수관을 형성하고 잔디의 광합성과 성장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두 식생종 간 경쟁에서 대부분, 클로버 영역은 확산되고 잔디의 경우는 훼손과 고사가 진행되게 된다. 훼손된 부분은 장마 및 생장 휴면 기간 중, 토양표출 확산으로 전개되어 잔디 복구에 심리적 스트레스 및 많은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잔디의 대표적 유해식물인 클로버를 구분하고 클로버의 확산에 따른 훼손지역 분포, 퇴치 전·후의 식생변화 추이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RGB, BG-NIR 센서를 탑재한 융·복합 드론기반 영상을 활용, 3가지 식생지수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선별적 퇴치를 위한 식생구분, 복구전략 수립을 위한 잔디 훼손 분포 등을 고찰하였다. 특히, 인력 및 기기에 의한 선별적 제초 및 예초 전·후, 클로버의 생태변화 추이를 시계열로 분석하였다. 또한, 잔디와 클로버의 성장 중반기 기간 중, 식생 종간 구분 방안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잔디와 클로버 생육 특성에 따른 RGB 및 BGNIR 드론영상의 MGRVI 및 NDVI, MSAVI 지수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잔디 훼손과 클로버 퇴치 후 변화 추이 분석의 활용성을 확인하여 잔디 유해 잡초에 대한 효율적 관리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Aluminium이 팥(Vigna angularis) 유식물의 생장, 엽록소함량, ALAD활성 및 뿌리와 경엽부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uminium on Growth, Chlorophyll Content, ALAD Activity and Anatomy of Root rind Shoot in Azuki Bean (Vigna angularis) Seedlings)

  • 구서영;홍정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813-826
    • /
    • 1996
  • 발아후 7일된 팥유식물에서 alumlnlum(Al)이 생장, 엽록소 함량, ALAD활성 및 뿌리와 경엽부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농도(50, 100 $\muM)의$ Al처리에 의해 뿌리와 경엽부의 신장이 매우 감소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장이 더욱 억제되었다. 따라서 생장억제는 농도의존적이었다. 뿌리신장은 Al 처리 24시간에서 감소되었으며 7일간의 저농도처리에 의해 억제효과가 회복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Al의 독성증상과 생장반응은 경엽부에 비해 뿌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Hematoxylin 염색법에 의해 Al 분포를 조사한 결과 Al은 근단을 통해 표피와 피층세포에 축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l처리는 엽록소함량을 감소시켰으며, ALAD활성 또한 억제시켰다. 엽록소 함량과 ALAD 활성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Al 처리에 의한 뿌리의 형태변화를 보면 표피세포 및 피층세포의 변형 또는 파괴가 관찰되었으며, 뿌리직경과 피층의 체적도 매우 감소되었다. 경엽부에서도 Al처리는 직경과 세포크기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잎에서의 형태적 변화는 엽록체수와 크기변화 이외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Al의 독성효과는 1차적으로 뿌리에서 나타나며, 뿌리형태의 변화는 뿌리의 생장패턴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l은 팥유식물에서 특히 뿌리의 형태와 기능적 손상을 일으키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기간 침수처리 하에서 유채의 생리적 반응, 지방산 조성과 수확량 (Physiological Response, Fatty Acid Composition and Yield Component of Brassica napus L. under Short-term Waterlogging)

  • 구양규;박원;방진기;장영석;김용범;배현종;서미정;안성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7
    • /
    • 2009
  • 단기간 침수처리에 의한 유채의 영양생장과 생식생장기의 생리적 반응, 지방산 조성과 수확량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영양생장 단계에서 10일과 생식생장 단계에서 4일 침수한 결과를 영양생장과 생식생 장기 모두 광합성, 기공전도도와 증산량은 침수처리 기간과 회복시기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침수처리가 끝난 처리구에서 광합성과 기공전도도는 $2{\sim}3$일 내에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침수처리된 작품의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확량과 관련된 요인들에서 현저하게 감소함으로 생식생장 단계에서의 단기간 침수처리가 수확량 요인에 큰 영향을 줌으로서 종자 수확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In vitro에서 미색류 껍질로부터 추출한 콘드로이틴황산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 (In vitro Examination of Chondroitin Sulfates Extracted Midduck (Styela clava) and Munggae Tunics (Halocynthia roretzi) as a Cosmetic Material)

  • 김영림;안삼환;최병대;강석중;신기욱;오명주;정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46-652
    • /
    • 2004
  • CCD 1108Sk를 이용한 세포 활성을 조사한 결과 Sigma사 제품(Bovine Trachea에서 얻어진 콘드로이틴황산)은 80 $\mu\textrm{g}$/mL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미더덕 및 멍게로부터 추출한 콘드로이틴황산은 400∼600 $\mu\textrm{g}$/mL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활성의 차이는 순도의 차이에 기인하거나 서로 다른 구조에 기인한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MDD F2은 1,000 $\mu\textrm{g}$/mL에서 활성이 증가하는 모습이 보였지만 MDD F2는 미약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fraction들간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A 431 주화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Sigma사 제품과 미더덕과 멍게에서 추출한 crude 콘드로이틴황산의 경우는 CCD 1108Sk에서 보여준 결과와 비슷하였으나, MDD F1과 F2는 모두 600∼1,000 $\mu\textrm{g}$/mL 사이에서 최고의 활성을 보였다. Collagen 한성에 있어서는 bovine trachea, MDD F1과 F2는 조사 범위에서는 특이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멍게에서 추출한 콘드로이틴황산의 경우는 100 $\mu\textrm{g}$/mL에서, 미더덕에서 추출한 콘드로이틴황산의 경우는 50 $\mu\textrm{g}$/mL 에서 CCD 1108Sk세포에서 각각 최고의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A 431세포에서는 검사한 모든 물질에 대하여 특이 반응을 확인할 수 없었다. 자외선 손상에 대한 회복능 조사는 세포 상층액과 세포 자체가 생성한 LDH를 조사한 결과, 멍게와 미더덕에서 추출한 콘드로이틴황산의 경우는 400 $\mu\textrm{g}$/mL에서 CCD 1108Sk 세포의 상층액에서 높은 LDH를 보였으나, 다른 물질의 경우 조사범위에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세포 자체에서도 LDH는 조사 물질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멍게와 미더덕에서 추출한 crude 콘드로이틴황산의 경우는 400 $\mu\textrm{g}$/mL에서 최고의 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멍게에서 추출한 콘드로이틴황산이 미더덕에서 추출한 콘드로이틴황산의 경우보다 세포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두 해양생물로부터 추출한 콘드로이틴황산은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이 가능함이 판명되었다.

부하유무에 따른 수영운동이 중추신경계 손상 흰쥐의 혈청 BDNF 농도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wimming Exercise by Load on Concentration of BDNF in Serum and Behavioral Change of CNS Injury in the Rats)

  • 하미숙;형인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91-39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 손상의 쥐에 운동강도에 따른 신경계 회복을 알아보기 위해 부하수영과 무부하수영이 혈청 BDNF 농도와 행동학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Ketamine을 복강 내에 주사하여 마취한 뒤 제 1-2요추의 척수에 6-OHDA를 $100{\mu}{\ell}$ 주입하여 척수손상을 유발시켰다. 척수 손상으로 유발된 행동학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BBB와 경사판 검사를 기록하였다. 혈청 BDNF는 수술 후 14일에 혈액을 채취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척수 손상 후 무부하군에서는 행동변화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혈청 BDNF 농도는 다른 군에 비해 무부하군에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저강도 수영운동을 중추신경 손상 후 초기에 적용하면 신경조직의 회복에 영향을 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