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water management pla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어촌지하수 관리 방안 (Management Plan for Rural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Era of Post COVID-19)

  • 이병선;서상진;이규상;윤석환;송성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7권4호
    • /
    • pp.1-9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lement new-normal strategies on management plans of rural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era of Post COVID-19. Global outbreak of COVID-19 has damaged across all areas including public policy, economics, industrial services, and others without exception, which has resulted in establishing new-normal strategies in order to restore balance and functions as for these areas. The new-normal ones were represented as enhancing preventative management on infectious diseases, expanding non face-to-face services, enhancing protective trades and food securities, and preparing growth policies on public services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G-WASH_AD (Groundwater supply, sanitation, and hygiene with attraction and digitization) was suggested to be new-normal strategies on rural groundwater resources. The G-WASH_AD was consisted of three detailed action plans: a preventative plan on waterborne-diseases of groundwater (PP), a groundwater-tourism plan with rural heritage (GP), and an application pla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iques to groundwater facilities and its data (P4). The PP can contribute to protect human health from waterborne-diseases and minimize hazardous effects on crop cultivation. The GP accompanied with high-quality groundwater resources is able to strengthen rural tourism, to promote marketing activities o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increase household incomes of rural communities. The P4 can reinforce fast, comfortable, and scientific management on groundwater facilities and its data, creating a virtuous cycle between innovative management on groundwater and growth of technology related to it. Results of the G-WASH_AD strategies can encourage a green growth engine in field of rural groundwater management keeping up with Post COVID-19.

국내 수자원 이용 취약지역의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하수 기반 수자원 확보 방안 제시 (Proposal for the groundwater based countermeasures to secure water resourc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resources vulnerable areas)

  • 김건;이재범;아거쑤아모스;양정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3호
    • /
    • pp.191-203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에 따른 취약 지역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해낸 국내 지하수자원관리 취약 지역에 대하여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위 변화 및 해수침투 면적 변화의 현황을 지하수 유동 해석 프로그램인 MODFLOW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2009년부터 2018년 10년간의 기초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지하수위는 하강하고 해수침투 면적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인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은 지하수위 상승과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대안들을 조합하여 총 4가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최적 운영 방안을 적용하여 지하수위와 해수침투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방안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은 국내 지하수자원 취약 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이 필요한 지역에도 적용하여 효율적인 지하수자원 관리 대책 수립에 근거가 될 것을 기대한다.

해외사례조사를 통한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의 개선방향 (Improvement Plan for Groundwater Management in Korea by Examining Overseas Cases)

  • 김민수;정교철;이정우;정일문
    • 지질공학
    • /
    • 제30권3호
    • /
    • pp.215-2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유럽 등 해외의 지하수 관리 사례를 조사하여 향후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미국에서는 지하수자원 프로그램(GWRP)이 국지적-권역별로 운영된다. 일본에서는 적정지하수 이용을 관리하기 위해 소규모, 중규모 및 대규모 유역에 따라 서로 다른 지하수자원 관리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유럽에서는 지하수가 지표수와 동일하게 평가되며, 유역 단위로 지표수와 지하수를 통합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차원에서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하향식으로 지정하고 관리하지만 미국과 일본에서는 소규모 지역 단위에서 대규모 유역까지 범위를 확장하며 관리하는 차이가 있다. 또한 지하수 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려면 지속적인 지하수 관측과 조사, 데이터 분석, 지하수 개발 우선순위 결정 등을 포함하는 역동적 지하수 활용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국내 지하수 통합관리 선진화 전략 (The Strategy for the Advance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in Korea)

  • 강성구;김지욱;최용준;박민영;박현진;이진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7권2호
    • /
    • pp.36-40
    • /
    • 2022
  • To respond to rapidly changing water circumstances such as climate change, drought, etc., the korean government (MOE) established four advanced strategies for integrated groundwater management. The first strategy is watershed-based management of groundwater. The second strategy is total quantity management of groundwater including improvement of groundwater preservation area policy and procedure of investigation for groundwater influence area, additional construction of groundwater dam, installation of large-scale public wells, extention of spilled groundwater use. The third strategy is preven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ncluding expansion of monitoring wells, introducing declara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The last strategy is advancement of groundwater information management including integrated management of data, setting up a big-data based open platform. The above-mentioned four strategies will be reflected in the 4th National Groundwater Management Plan to secure implementation power, and it is expected to laid the foundation for advanced and rational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한계 침투량을 고려한 강우와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method for weekly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vulnerabilit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considering critical infiltration concept)

  • 이재범;양정석;김일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2호
    • /
    • pp.1237-124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강수의 지하수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한계 침투량을 고려한 강우이동평균 방법을 통해 지하수위와의 상관계수를 산정하였다. 취약 시기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평가 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강수와의 상관계수와 산정된 가중치를 이용한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방법을 통하여 소규모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취약시기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지역적일뿐만 아니라 계절적인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대책 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지하수자원의 최적관리기법와 보호전략에 관한 연구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and Protectbn Stmtegies of Groundwater Resources of USA)

  • 한정상
    • 지질공학
    • /
    • 제4권1호
    • /
    • pp.57-77
    • /
    • 1994
  • 지하수자원의 최적관리기법은 사전에 잠재오염원으로 부터 지하수를 보호하면서 이를 최적상태로 개발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지하수 보호전략중 미국의 지하수 보호전략과 지하수자원의 오염취약성 평가법애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이러한 제반 전략들은 국내 지하수자원의 관리기법에현재 이용되고 있기도 하며 추후 활용되어야 한다.

  • PDF

농어촌 지하수의 효율적 관리 방안 (Efficient Management Method of Groundwater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 정찬덕;김양빈;박기연;박순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4호
    • /
    • pp.81-90
    • /
    • 2012
  • Groundwater is our invaluable asset because it takes action in the case of climates changes like drought or floods. But the Korean government has formulated water-resource policies mostly focused on surface water. As a result, the groundwater that will be more important resource in the future has been treated carelessly, caused neglect of maintenance and resulted many abandoned wells. This poor management of groundwater is because of lack of organization on our asset, manpower, unclearness of managing body, shoddy construction and lack of supervis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need a special agency of groundwater that contribute people's awareness by promotion importance of groundwater, dissemination of technical education and professionals. To do that, we have to establish a specific groundwater management plan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sheds and specialized institution need to promote responsible development and usage in groundwater.

지하댐 건설에 따른 유역 내 지하수위 변화 특성 해석 (An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Caused by Construction of Groundwater Dam)

  • 김종태;김만일;정일문;김남원;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9권2호
    • /
    • pp.227-233
    • /
    • 2009
  • 우리나라는 수자원 특성상 강우의 시간적, 공간적 불균형이 심하여 수자원 개발과 관리여건이 대단히 열악하다. 이에 따라 현시점에서 향후 물 부족에 대처할 신규 수자원의 안정적 확보방안의 하나인 지하댐의 건설 예정지를 파악하고 지표수와 지하수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개발 이용 가능한 지하댐 개발의 국내 적용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는 지하댐 건설 예정지인 경남 하동군 횡천강 일대의 지질조사, 수리 수문학 분석 등을 통해 프로그램 입력 자료를 산정하였다. 또한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SWAT-MODFLOW를 통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연계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하댐 건설전과 후의 지하수위 변화를 예측하였다.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Hydrology in the Lake Rotorua Catchment, New Zealand, and Community Involvement with Lake Water Quality Restoration

  • White, Paul A.;Hong, Timothy;Zemansky, Gil;McIntosh, John;Gordon, Dougall;Dell, Paul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14
    • /
    • 2007
  • Water quality in Lake Rotorua, New Zealand, deteriorated since the 1960s because of excessive phytoplankton growths due principally to increasing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lake waters. Nutrient concentrations in eight of the nine major streams feeding Lake Rotorua have increased since 1965. The groundwater system has a key role in the hydrology of the Lake Rotorua catchment and the groundwater system is probably the control on the time delay between intensifica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and response of surface water quality. All major, and many minor streams, in the catchment are fed by springs. Two lithological units are most important to groundwater flow in the Lake Rotorua catchment: Mamaku Ignimbrite, erupted in about 200,000 years ago and Huka Formation sediments which filled the caldera left by the Mamaku Ignimbrite eruption. Rainfall recharge to groundwater in the groundwater catchment of Lake Rotorua is estimated as approximately 17300 L/s. A calibrated steady-state groundwater flow model estimates that approximately 11100 L/s of this flow discharges into streams and then into the lake and the balance travels directly to Lake Rotorua as groundwater discharge through the lake bed. Land use has impacted on groundwater quality. Median Total Nitrogen (TN) values for shallow groundwater sites are highest for the dairy land use (5.965 mg/L). Median TN values are also relatively high for shallow sites with urban-road and cropping land uses (4.710 and 3.620 mg/L, respectively). Median TN values for all other uses are in the 1.4 to 1.5 mg/L range. Policy development for Lake Rotorua includes defining regional policies on water and land management and setting an action plan for Lake Rotorua restoration. Aims in the action plan include: definition of the current nutrient budget for Lake Rotorua, identification of nutrient reduction targets and identification of actions to achieve targets. Current actions to restore Lake Rotorua water quality include: treatment of Tikitere geothermal nitrogen inputs to Lake Rotorua, upgrade of Rotorua City sewage plant, new sewage reticulation and alum dosing in selected streams to remove phosphor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