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technology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8초

공간정보의 교육분야 활용을 위한 전략연구 (Strategic Plan for Applic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 강영옥;조나혜;강애띠;박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9-29
    • /
    • 2014
  • 지오웹의 발전은 공간정보가 과거 일부 전문가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일반인들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놓았다. 교육현장에서도 이러한 공간정보 기술과 관련 자료들을 보다 쉽게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구글을 비롯하여 국가적 차원의 공공기관에서 기 구축한 공간자료들을 교육목적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사이트를 구축하고 활용사례를 제시하며,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 수준에서 공간정보를 교육에 활용하여 융합적이고 창의적이며, 탐구중심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그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환경변화와 교육 분야에서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해외의 공간정보기반 교육 사이트 분석 및 국내 공간정보분야 현황분석을 토대로 공간정보기반 교육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전략은 구체적으로 첫째, 수업모듈 구축, 둘째,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셋째, 공간정보기반 수업모듈 저작환경 구축, 넷째, 공간정보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서비스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공간정보사업의 중복사업 검색을 위한 의미기반검색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Semantic Search System for the Search of Duplicated Geospatial Projects)

  • 박상언;임재익;강주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89-404
    • /
    • 2013
  • Geospatial information, which is one of social overhead capital, is predicted as a core growing industry for the future. The produc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requires a huge budget, so it is very important objective of the policy for geospatial information to prevent the duplication of geospatial project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emantic search system which extracts possible duplication of geospatial projects by using ontology for geospatial project administration. In order to achieve our goal, we suggested how to construct and utilize geospatial project ontology, and designed the architecture and process of the semantic search. Moreover, we showed how the suggested semantic search works with a duplicated projects search scenario. The suggested system enables a nonprofessional can easily search for duplicated projects, therefore we expect that our research contributes to effective and efficient duplication review process for geospatial projects.

광역시 GIS의 구축현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and Direction of the Metropolitan Cites' GIS)

  • 오종우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5-22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s 7 metropolitan cites on the urban facility data rather than application systems including water, sewer, and roads and to present the best way to reconfigure of the geospatial data in Korea. Data were mainly compiled from the 2nd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95-00) because the GIS data of this study is relatively important to generate favorable results due to their data precisely examinate by the 1st NGIS evaluated results. In results, GIS data and invested budge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re not only covered 25 distracted areas of the fields, but also were overwhelming other six metropolitan government invested budget. Relatively the Daejeon metropolitan government had least invested budget resulted in Jess geospatial data than others. In particularly there were serious geospatial data error occurred even though geospatial data of the urban infrastructures like water, sewer, and roads including the national infrastructure like elec., comm., heat, oil pipes, and gas were facilitated with human habitants, gas and elec. had very high error data nearly two times high than the permitted error in 30cm. Therefore, this paper exhibited a LiDAR technology to regenerate high accuracy geospatial data of the metropolitan governments because of the new technology's extremely accuracy in 20cm in horizontal scale in fields.

  • PDF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 동향과 개발 전락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Intelligent Geographic Information)

  • 김은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7-132
    • /
    • 2009
  • 최근 우리나라 GIS는 지리공간정보에 u-IT 기술을 접목하여 응합 및 확장되는 새로운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이미 글로벌 IT 업계에서는 'Geospatial Web'을 통해 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연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지리공간정보에 접근 활용할 수 있는 엔진이나 플랫폼 등의 다양한 신기술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능형 지리정보의 핵심인 'Geospatial Web'에 대한 간략한 개념과 함께, 국내외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 동향 및 UGIS 표준화 동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국내외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 동향 및 표준화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이 세계시장에서 선두기술 분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술 개발 전략을 도출해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제공 플랫폼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연구 (Reserch On The Fundamental Technology To Utilization Of Platform To Providing Mobile Underground Geospatial Infomation Map)

  • 이태형;김현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3-183
    • /
    • 2020
  • 도심지 지하시설물 노후화가 진행되고, 도로 굴착 안전사고에 불안이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국토교통부에서는 「지반침하 예방대책」과 지하공간의 효율적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하기 시작하여 그 범위를 매년 확산하고 있다. 현행 지하공간통합지도 정보는 웹기반으로 데스크탑 환경에서 운용되고 있는 바, 굴착 공사장과 같은 현장 환경에서의 활용에는 제한되는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웹기반 환경에서 구축 운영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대용량 3차원 데이터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현장으로 지체 없이 전송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를 가볍게 할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지하공간통합지도는 3DS, COLLADA등 데이터포맷이 일원화 되어있지 않으며, 좌표체계 방식도 상대좌표, 절대좌표 등으로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와 기술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포맷 및 경량화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포맷의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3차원 데이터 압축기술을 적용하여 경량화율을 테스트해 보았으며, 현장에서 압축된 3D 데이터를 해제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하였다. 아울러 향후 본 연구에서 실험적으로 개발한 기술을 보완하고 추가 연구실시하여 굴착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제작하여 활용에 쓰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HTML5/WebGL 기반 3D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Geospatial Open Platform Based on HTML5/WebGL Technology)

  • 김민수;장인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57-66
    • /
    • 2015
  • 최근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형, 건물, 쇼핑몰 등과 같이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단순화된 3차원 공간정보가 아니라 실세계와 유사한 고정밀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들이 개발되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들은 빠른 렌더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과정의 어려움, 크로스 웹 브라우저/운영체제 지원 불가, 보안 약화 등의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플러그인 모듈을 부득이하게 이용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 크롬, 파이어폭스 등의 웹 브라우저에서 플러그인 모듈의 동작을 지원하였던 NPAPI 서비스에 대한 중단을 선언함으로써, 기존 플러그인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동작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3차원 공간정보를 빠른 성능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으로 HTML5/WebGL의 차세대 웹 표준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HTML5/WebGL 기반의 차세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은 Windows, Linux, Mac 등의 크로스 운영체제와 IE, Chrome, Firefox, Safari 등의 크로스 브라우저, 그리고 모바일 플랫폼에서 동작이 가능하다.

Geospatial Web 플랫폼 기술 분석 및 기술개발전략 (The Strategie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Geospatial Web Platform)

  • 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71-181
    • /
    • 2009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등의 대형업체들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 세계 위성사진과 지도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데 반해, 국내의 경우 뛰어난 지도 서비스들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플랫폼으로 발전시키지는 못하여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 웹을 통해 국토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천자료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해 줄 플랫폼이 필요한 현실에서, 차세대 유비쿼터스 웹 환경에서 공공 및 민간의 공간정보를 통합하여 맞춤형 국토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로서 맞춤형 국토정보 플랫폼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스트리밍, 매쉬업, 검색의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 2D/3D Hybrid 스트리밍엔진, u-GIS 서비스 매쉬업엔진, 차세대 국토정보 검색엔진 등이 그것이다. 이에 맞춤형 국토정보 플랫폼기술의 효과적인 개발을 위해 관련 Geospatial Web 플랫폼기술이 구현되고 있는 기존의 제품 및 시장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목표시장중심 및 플랫폼의 기술 특성에 따라 맞춤형 국토정보 플랫폼기술개발전략을 모색하였다.

  • PDF

클라우드 기반 지리공간정보를 활용한 작전상황 혼합현실 가시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Mixed Reality Visualization System for Operational Situation Using Cloud-based Geospatial Information)

  • 장영찬;박재일;조은지;곽송연;신상헌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69
    • /
    • 2024
  •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is increasingly highlighted in the defense domain. Accurate and up-to-date geospatial data is essential for situational awareness, target analysis, and mission planning in millitary operations. The use of high-resolution geospatial data in military operations requires large storage and fast image processing capabilities. Efficient image processing is required for tasks such as extracting useful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and creating 3D terrain for mission planning, In this paper, we designed a cloud-based operational situation mixed reality visualization system that utilizes large-scale geospatial information distributed processed on a cloud server based on the container orchestration platform Kubernetes. We implemented a prototype and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design.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다중집합장소의 시민서비스 고도화 방안 : 지리공간 웹 기반 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Strategic Plan for Improvement of Citizen Service using Ubiquitous Technology on Public Area: Geospatial Web based Service)

  • 강영옥;김희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79-99
    • /
    • 2008
  • 유비쿼터스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기업은 물론 중앙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다중집합장소를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시민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해 지면서,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은 보편적 지도위에 참여와 협업을 전제로 하는 모델이 구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한 디지털 지도의 구축, 디지털 지도기반의 컨텐츠 제작, 이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시설 설치, 그리고 컨텐츠 확보를 위한 기존 홈페이지의 웹 표준화 및 자료정비, 기존자료를 인터넷지도와 연계하여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터넷고도화 사업을 제안하였다. 향후의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기술적 관점 뿐 아니라 그 장소를 활용하는 시민, 기업, 공공부분의 특성과 이들이 요구하는 수요에 기반 하는 서비스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 기반에는 지리공간 웹이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asic Elements and Implication of Software Metadata in the Intelligent Geospatial Web

  • 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59-569
    • /
    • 2009
  • During over decades, metadata on spatial data have been developed, and they have been widely applied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metadata standards such as file structure, format, and data model. However, in the web 2.0 paradigm toward user participation and openness, sources and contents of geospatial products are also diversified, not being limited to well-organized and structured data sets or databases. Especially, software products in both open source software and commercially packaged software are considered into important resources in the geospatial domain. But there are no reports or studies regarding software metadata from the side of software engineering or information technology, till now.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is based on practical needs to build search engine in the intelligent geospatial web. Brief review on current metadata standards is presented, and necessity for software metadata is discussed as well as related works. Basic elements, initially considered, of software metadata are presented. This work is the first attempt for software metadata, although it just covers geospatial software products. Further practical works to meet industrial demands need to actual applications of software meta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