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teacher's efficac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ducare Center's Teachers on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이세나;이영석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5-5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eacher's variables that mad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to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in teacher's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 this study, 212 inservice teachers in edu-care centers completed and analyzed. Efficacy for Child Care and Teaching(ECCT)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Age, status in working place, years of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teacher's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statu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s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 PDF

교사의 보육효능감과 다문화 보육효능감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 between a teacher's nursery efficacy and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 현정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56-6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a teacher's nursery efficacy.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a study includes investigation about levels of 748 teachers' interest and knowledge in a child nursery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eachers' efforts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vailability of experience with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eacher's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and general nursery efficacy.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 study found out that 4 factors (interest, knowledge, efforts, and experience) are related to nursery efficacy and the fact that a teacher's general nursery efficacy is high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For this resul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ing general nursery efficacy play a critical role in supporting teachers' competency about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Teaching Efficacy)

  • 강이슬;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5-352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치원 학부모 자원봉사자의 양육효능감과 교사로서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s a Teacher of the Volunteer in the Kindergarten)

  • 이세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7-387
    • /
    • 2008
  • The study is to research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of a parent teacher as a volunteer(PTV) in the kindergarten. The subjects were mothers (N=127) in Choongbuk Province who had had volunteer education as a teacher assistant.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ir completing a questionnaire about Parenting efficacy and a Parent As A Teacher inventory (PAAT). The results include as follows: firstly, in PTV's parenting efficacy,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children are attending' is an important variable. Secondl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children attending' are important variables in volunteer parents' parenting practices. Beside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volunteer activity' are important variables in parenting practices of 'control/permission' and of 'teaching/learning', and in general parenting practices. Finally, 'parenting efficac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sex of children' are important variables in volunteer teachers' parenting practices.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n Their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 김영실;김연화;한세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57-57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n their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The subjects were 269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the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Measurements consisted of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Park & You, 2000), self-efficacy(Lim, 1999), and teachers'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Guliford, 1956).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Duncan's post-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1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 teacher's self-efficacy on self-regulation, and the teacher's role for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general background. Second, it appeared that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meaningfully influenced the teacher's role for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Teacher's curiosity, and self-efficacy on self-regulation affects teacher's role in improving children's immersion/ durability, flexibility and delicacy.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Teacher Efficacy for Childcare Teacher)

  • 변은경;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982-3990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서 보육교사로 근무하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21.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분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3.59{\pm}0.38$점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연령(F=3.493, p=.016), 경력(F=5.654, p=.001), 직위(F=6.681, p<.001), 학급연령(F=2.759, p=.043), 자녀양육경험(t=5.269, p=.02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교사효능감은 자아존중감과 순상관관계(r=.236, p<.001),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역상관관계(-.25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11.7%로 설명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반복연구를 통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중재들이 요구된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 - 유아관계가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 - 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

  • 김영희;강기숙;한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73-8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aptation to childcare centers, an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0, three- to four-year-old who attende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and their 72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main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 main effects of familiarity and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were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achers' general efficacy and conflicts or familiarity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were also significant.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이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실습과 교육실습의 경험이 있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S대학, Y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165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하주현의 창의적 인성검사와 김순남에 의해 수정된 TEBI(Teaching Eefficacy Belief Instrument)교사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schaffer 사후검증,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성적, 연령, 임원활동)에 따른 창의적 인성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에서 '연령'은 교사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개인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적 인성 점수가 높은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효능감도 대체로 높았으며 특히 개인 교사효능감에서 더욱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예언해주는 창의적 인성 요인은 자기 확신, 상상, 개방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일반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인식하고 이를 촉진하는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32-3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구도구는 사회적지지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STEBI)를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은 모두 3점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와 충청북도 H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반응지수도구(IRI),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STEBI를 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효능감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고통 이외 모두 3점 이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