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 이유미 (용인송담대학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09.10.28
  • Accepted : 2009.12.05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relation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s efficac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0 third grade students of S collage & Y collage. They were major in infant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ve an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nurture and education. Tool for measurement is Creative Personality Scale of Ha Juhyun and TEBI(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teacher's efficacy test which is modified by Kim Sunn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post hoc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academic grade, age, experience of leadership in collage. Second, there is a static relation between age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and teacher's efficacy especially personal teacher's efficacy. Third, points of creative personality is relative to teacher's efficacy, especially relative to personal teacher's 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factors estimates teacher's personal efficacy are 'self belief, imagination and open mind'. On these ground, I comment on curriculum which will educate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실습과 교육실습의 경험이 있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S대학, Y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165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하주현의 창의적 인성검사와 김순남에 의해 수정된 TEBI(Teaching Eefficacy Belief Instrument)교사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schaffer 사후검증,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성적, 연령, 임원활동)에 따른 창의적 인성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에서 '연령'은 교사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개인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적 인성 점수가 높은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효능감도 대체로 높았으며 특히 개인 교사효능감에서 더욱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예언해주는 창의적 인성 요인은 자기 확신, 상상, 개방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일반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인식하고 이를 촉진하는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희(2003). 교사의 창의적 인성특성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계영(1998). 교사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유아의창의성 발달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남연, 류혜숙(2007).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1(4), 363-387
  4. 김순남(2000).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5. 김원경, 우남희(2002).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심리적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3(2), 1-16
  6. 김재은(1999). 창의성교육의 필요성. 5-17. 창의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성균관대학교 교육연구서 창의력 개발 연구팀(편)
  7. 김호(2008). 창의성 교육이 예비유아교사들의 확장적 사고 및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2(2), 127-145
  8. 김희태, 백영숙(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9. 박상희, 김경의, 이효숙(2005).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65-185
  10. 박영태, 이경님, 하수연(2008).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275-298
  11. 박영태(2002). 창의적 인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지방교육경영. 17, 235-264
  12. 배진수, 이영만(2000).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적 성격과 창의성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3(2), 43-61
  13. 성은현(2003). 창의성 상, 하 집단의 지적능력과 인성 특성 비교-아동학과, 유아교육과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16(3), 67-86
  14. 성은현(2005).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217-228
  15. 송경애, 고민경(2006). 유아기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방안 연구. 방과후아동지도연구. 3(2), 37-52
  16. 은평어문연구소 편(1999). 뉴에이스 국어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17. 이분려 (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경옥 (2002). 현직유아교사의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신념에 관한 연구: 목표지향성, 교사 효능감 및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교사신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8, 195-212
  19. 이현경, 남명자 (2009).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및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3(4), 119-135
  20. 이혜주 (2002). 유치원 현장실무교육이 예비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자기개념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1(1), 17-31
  21. 임은정 (2006). 유아교사 효과 관련 변인 분석: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장영숙 (2005).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3), 53-74
  23. 전경원 (2000). 창의성 저해요인 조사연구: 유아교육과 여학생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학회지. 5(1), 163-180
  24. 전경화, 허윤정, 한남주 (2006).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0(4), 295-329
  25. 정종진 (2003). 창의성의 본질과 교육. 초등교육연구논총. 19(1), 369-393
  26. 정진홍 (2008).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서울: 21세기 북스
  27. 차미정 (1990). 창의성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방법, 교사훈련 여부가 유아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최미정 (2007).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7(1), 431-447
  29. "창조적 인간을 키우자"... 한국의 지성들이 나섰다. (2009. 7. 16). 중앙일보,p. 10
  30. 하주현, 성은현, 한순미 (2008). 창의적 인성체크리스트 개발 및 한국 대학생과 미국 대학생이 생각하는 창의적 인성 비교. 교육심리연구 22(1), 169-191
  31.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32. 한석실, 임명희 (2003).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07-240
  33. 한석실, 이세나 (2007). 수업사례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325-352
  34. 황선이 (1995). 교사효능감과 학습자의 자아효능감 및 학습몰두시간(ALT)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황희숙, 강승희 (2005).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 및 성격유형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학회. 10(2), 131-150
  36. Amabile,T.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Y: Springer-Verlag
  37. Ashton, P.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38. Ashton, P. & Webb, R. B.(1982). Teachers' sense of efficacy: Toward and ecological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Y
  39. Bandura, A. (1977). Self- efficacy: Towards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2-215
  40. Berman, P., McLaughlin, M.W., Bass, G., Pauly, E., & Zellman, G. (1977).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VII: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Report No. R-1589/7-HEW).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140 432
  41. Burton, L. (1971). Art play. Claff: Addison-Wesley Publishing Co.
  42. Cropley,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UK: Kogan page
  43. Dancey,J.S (1989). Fundamentals of creative thinking. Massachusetts: D.C. Heath
  44. Halliwell, S. (1993). Teacher creativity and teacher education. In D. Bridges & T. Kerry (Eds.).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Reflections for Initial and In-Service Trainers (pp.67-78). London: Routledge.
  45. Rodgers, D. B. (2002). Supporting autonomy in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53(3), 75-80
  46. Sternberg, R. J.& Lubart, T. A.(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 677-688 https://doi.org/10.1037/0003-066X.51.7.677
  47. Torrance,E.P. (1963).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8. Torrance,E.P. (2005). Why Fly-: A Philosophy of Creativity, 토랜스의 창의성과 교육 (이종연). 서울: 학지사
  49. Treffinger,D.J., Isaksen, S. G. & Firestein, R.L. (1983). Theoretical perspective on creative learning and its facilitatio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7, 9-17 https://doi.org/10.1002/j.2162-6057.1983.tb0097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