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effect

검색결과 2,060건 처리시간 0.029초

남녀별 및 실험자의 성별에 따른 동통역치와 동통내성의 차이 (Sex Differences in Pain Threshold and Pain Tolerance and the Effects of Experimenter Gender on Pain Report)

  • Yun-Kyung Hur;Jae-Kap Choi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1호
    • /
    • pp.97-10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experimenter gender on pain report as well as the sex differences in pain threshold and pain tolerance. Cold pressor test and pressure pain threshold (PPT) test were performed on forty dental students by both of a male and a female experimenter separately with 1 day interva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in threshold and pain tolera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hen they were examined by the same gender experimenter in the cold pressor test, but when they were examined by the opposite gender experimenter the pain threshold of ma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When the pain threshold was measured by the same gender experimenter, using a algometer, there was no differences in PPT between males and females. However, when the same measurements were done by the opposite gender experimenter, the PPT of ma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at anterior temporalis and inferior masseter. For cold pressor test, females tended to report lower levels of pain threshold and pain tolerance to a male experimenter than a female,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Although both pain threshold and pain tolerance were increased when males were examined by a female experimenter in the cold pressor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in pain tolerance. When subjects were examined by the opposite gender experimenter in the PPT text, female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ain at inferior masseter and male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pain at anterior temporalis and inferior masseter.

  • PDF

Gender Differences in Continuanc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Services

  • Lee, Yon-Nim;Kwon, Oh-By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0권3호
    • /
    • pp.51-72
    • /
    • 2010
  • Given the extensive role of IS in everyday life and the increasing presence of women in IS users, understanding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technology continuance usage decisions is an important issue. Nevertheless, much of the large body of research on gender differences has just examined mean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in terms of abilities, usage habit, and traits. Even though lots of psychology studies have shown that women, more than men, were influenced by affective factors, gender-affection-continuance use linkage has not been examined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services.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influence of affective factor in the context of IS continuance use. Meanwhile, IS continuance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of study in the IT research area. To date, to explain why and how users are motivated to continue to use on-line shopping services, lots of theory-based research such as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ECM) has been proposed. In particular, various affective factor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continuance use of on-line shopping services recently. Affective factors have been regarded as essential factors for increasing relational strength and satisfaction. Several affective factors have been studied by prior IS adoption and continuance studies. Among them are enjoyment and anxiety. In IS continuance research, positive affect has been commonly and narrowly conceptualized and measured as the enjoyment which a person derives from using computers. Henc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intimacy factor, which was conceptually related to the quality of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in previous research. It also has been regarded as essential factors for strengthening human relationships. As a result, we have observed gender effect while examining intimacy-continuance bond. As expect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s, women seem to be more sensitive in affective factors. The contribution point here is that we find evidence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services.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of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 Focusing on Comparison of Gender)

  • 이경준;송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57-769
    • /
    • 2016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년도 부가조사,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한 연구로서 3차년도 기준 50세 이상 64세 미만으로 남녀 중고령자 2,97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노후준비의 차이에서는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에서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중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에 대한 성별 비교를 통하여 성별에 따른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여중생의 남녀공학 여부와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공격성 (Aggression of Middle School Girls according to Types of School and Gender Role Identity)

  • 김미정;김정순;강인순;하주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
    • /
    • 200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ggression of middle school girls with type of school and gender role identity.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6 second-year middle school girls (265 girls in the coeducational middle schools, 261 girls in the girls' middle schools) in Busa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14th to 29th of December, 2008 using Korean Sex Role Inventory(KSRI) and Aggression Inventory. Results :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ole identity types according school types ($x^2$=8.813, p=.032). 2. The whole aggression grade point average was 1.58${\pm}$.40 points(highest score: 4), and reactive-overt aggression was highest in the aggression types(2.06${\pm}$.63). 3.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gression of middle school girls according to type of school (t=.188, p=.664).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s of aggression according to gender role identity types. The degrees of aggression in masculinity type was highest [grade point average was 1.70${\pm}$.44 points(highest score: 4)]. 5. There was not interactive effect in aggression between type of school and type of gender role identity.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or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girls to relieve aggression according to gender role identity types.

간호대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이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xual Attitude and Sexual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on Gender Sensitivity)

  • 양영미;조미옥;백경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5-6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C시와 H군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 대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는 SPSS versio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지 감수성은 성태도(r=.383, p=.000)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태도(𝛽= .365, p=.000)로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성인지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을 높이기 위해 올바른 성태도를 확립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Gender Differences in Items of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Dementia

  • Hui Jin Ryu;Yeonsil Moon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7-114
    • /
    • 2024
  • Background and Purpose: Each item in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questionnaire has differential importance to an individual's life functioning based on gender. However, IADL has mostly been utilized for its total score alone, without gender specificity. We identify the impact of each item on the transition from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to Alzheimer's disease dementia (ADD), and determine if the impact of each item differs by gender. Methods: Subjects were aMCI or ADD with a global clinical dementia rating of 0.5 or 1. The sample size was 146 men and 154 women. We u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ach item of IADL on the transition from aMCI to ADD. Results: The odds ratio (OR) for "remembering recent events" had similar values: 27.2 for men, and 27.7 for women. Gender difference was identified in the item with the highest OR value. For women, the "using transportation" item was 63.3, and for men, "conducting financial affairs" was overwhelmingly high at 89.1. Conclusions: Functional decline on items with relatively higher ORs may indicate higher probability of a transition from aMCI to ADD. The OR of "conducting financial affairs" was relatively higher for both gender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conducting home repair" for men, and "using transportation" for women, have relatively higher impac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during the transition from aMCI to ADD, each item of IADL shows a staggered decline in functioning, and that this decline is gender-specific.

SNS 이용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NS Use on the Social Network: Moderating Effect of the Gender)

  • 한수영;최문형;박미경;이홍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3-1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SNS 이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SNS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SNS 이용이 결속적 네트워크와 교량적 네트워크라는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SNS의 주 이용계층인 20~30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였다. 구조방정식에 의한 가설검증 결과, SNS 이용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는 SNS 이용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이용은 결속적 네트워크, 교량적 네트워크에 각각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SNS 이용 영향요인과 SNS 이용 간에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NS 이용과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 간에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과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e-러닝 컨텐츠에서 문제풀이 정보의 제시유형에 따른 성과 차이 분석 (The effect of types of test information on learning performance in the e-Learning contents)

  • 이문봉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11-219
    • /
    • 2010
  • e-러닝으로 대변되는 교육의 변화는 교수중심 수업방식이 학습자 중심의 수업방식으로, 기존의 교과서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를 이용한 수업환경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e-러닝 성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고, 많은 연구에서 컨텐츠 품질이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지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_ 밝혀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e-러닝 컨텐츠에서 문제풀이 정보의 제시유형과 성별이 학습자의 e-러닝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학습 이해도에 있어서 제시 유형과 성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문제풀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높은 이해도를 보인 반면에 남성의 경우는 설명형으로 제공해야 높은 학습 이해도를 보였다. 둘째, 학습 이해도와 학습 만족도에 있어서 문제풀이 정보의 제시 유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설명형이 가장 높은 학습 이해도와 만족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남성과 여성간의 성별 차이는 학습 이해도와 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에 적용한 양성평등 수업이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Instruction in Home Economic clas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 focused on the Unit of Design of Home Life -)

  • 배은주;이송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3
    • /
    • 2005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가정과의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을 중심으로 실험수업을 실시하여 양성평등 수업이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양성평등의식 함양과 양성평등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후 남녀평등의식의 가정생활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활영역, 사회문화생활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남녀평등의식이 더 높게 나타나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전과 후 실험집단의 남녀평등의식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후 남녀평등의식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변화량이 비교집단의 변화량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고등학교 가정과의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실험집단에 적용한 양성평등 수업은 가정생황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황영역, 사회문화생황영역 4개 영역 모두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성차별 의식이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때, 앞으로 지속적인 지도가 절실히 필요하다.

  • PDF

남성 규범 순응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Mediating Effect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e Norm and Psychological Distress)

  • 백주희;양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53-466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있어서 성역할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차원적인 남성 규범에 대한 순응이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39세의 남성 참여자 358명을 대상으로 남성 규범 척도, 남성 성역할 갈등척도 그리고 일반정신건강 척도를 사용하여 본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에 따라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인 '힘과 통제'와 '직업과 자립', '정서 억제'는 각각 성역할 갈등의 하위요인인 '여성성에 대한 공포'를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남성 규범 중 '남성 리더십'과 '가족 부양자'는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인 직접 효과를 가졌으며,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해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며, 특히 성역할 갈등 중 여성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야기함으로써 남성 규범의 역기능적 역할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