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ypes of test information on learning performance in the e-Learning contents

e-러닝 컨텐츠에서 문제풀이 정보의 제시유형에 따른 성과 차이 분석

  • 이문봉 (동의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are in education field: the paradigm shift from teacher-centered and text-oriented learning to learner-centered and multimedia-oriented learning.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the e-learning conten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n e-learning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ypes of test information on learning performance in e-learning cont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ypes and gender influences the comprehension of learning; the female prefers to the feedback and narrative type but the male prefer to the narrative type. The narrative type showed the highest score on the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among three different types. Also, the main effect of gender difference had no effect on e-learning performance.

e-러닝으로 대변되는 교육의 변화는 교수중심 수업방식이 학습자 중심의 수업방식으로, 기존의 교과서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를 이용한 수업환경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e-러닝 성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고, 많은 연구에서 컨텐츠 품질이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지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_ 밝혀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e-러닝 컨텐츠에서 문제풀이 정보의 제시유형과 성별이 학습자의 e-러닝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학습 이해도에 있어서 제시 유형과 성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문제풀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높은 이해도를 보인 반면에 남성의 경우는 설명형으로 제공해야 높은 학습 이해도를 보였다. 둘째, 학습 이해도와 학습 만족도에 있어서 문제풀이 정보의 제시 유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설명형이 가장 높은 학습 이해도와 만족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남성과 여성간의 성별 차이는 학습 이해도와 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의대학교

References

  1. 김성균, 성행남, 정대율, "e-러닝 성광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6권 제1호, pp.201-230, 2007.
  2. 김혜영, 이희수, "e-Learning 콘텐츠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K사이버대 콘텐츠 유형사례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 연구, 제10권 제4호, pp. 299-316, 2009.
  3. 김혜은, e-러닝의 심리학적 기반, 학지사, 2007.
  4. 남태우, 김성희, "이용자 중심의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0권 제2호, pp. 263-283, 2003.
  5. 노규성, "정보통신 교육용 e-Learning 컨텐츠 개발전략", 정보과학회지, 제21권 제9호, pp. 53-59, 2003.
  6. 박형성, 김철민, "e-러닝 환경에서 정보 제시시 색상과 명도차이가 회상과 재인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2호, pp. 55-79, 2008.
  7. 서창갑, 이석용, "e-Learning 학습자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8권 제3호, pp. 1-25, 2009.
  8. 손달호, 김현주, "E-learning의 결정요인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0권 제2호, pp. 49-70, 2008
  9. 엄명용, 김태웅,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본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1호, pp. 51-80, 2006.
  10. 이문봉, "e-Learning 플로우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 85-94, 2010.
  11. 이문봉, 강병영, "e-Learning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 173-182, 2007.
  12. 이문봉, 김종원 "e-Learning 시스템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5권 제4호, pp. 171-188, 2006.
  13. 이승미, 송기상, "이러닝 학습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감성 피드백의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0권 제4호, pp. 125-133, 2007.
  14. 이웅규, 이종기, "e-learning에서의 학습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제16권 제1호, pp,1-21, 2006.
  15. 이학식, 김장현, 김형식, "공평성 지각이 소비자 감정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적 역할," 마케팅연구, 제24권 제2호, pp. 21-49, 2009.
  16. 임병노, 이준, "고등교육에서의 e-러닝 콘텐츠 실태와 시사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2호, pp. 277-307, 2007.
  17. 정경수, 이원빈, 노미진, "모바일 러닝의 특성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분석", 정보시스템연구, 제19권 제3호, pp.75-103, 2010.
  18. 정성무 외 9인, "국가 e-러닝 품질관리 지원을 위한 e-러닝 품질가이드라인 개발 -초, 중등 교육-",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RR-2006-1, 2006.
  19. Chae, S.W., Lee, K.C., and Lee, K.Y.,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avatars on learner's e-learning performance: emphasis on trust transference between avatars and contents",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4), pp. 149-176, 2009. https://doi.org/10.1111/j.1365-2575.2008.00299.x
  20. Clark, K., Dwyer, F. M.,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computer assisted feedback strategies on achievement and response conf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25(1), pp. 55-63, 1998.
  21. Kim, M. Y., Choi, W. S., and Lee K. N.,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learners affecting the success of learning under e-learning circustances for universities,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8, pp. 221-236, 2007.
  22. Nikolaenko, N., "Sex Difference and Activity of the Left and Right Brain Hemispheres," Journal of Evolutionary Biochemistry & Phisiology, 41(6), pp. 689-699, 2005. https://doi.org/10.1007/s10893-006-0011-4
  23. Shu-Ling Wanga, Pei-Yi Wub, "The role of feedback and self-efficacy on web-based learning: The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Computers & Education, 51, pp. 1589-1598, 2008. https://doi.org/10.1016/j.compedu.2008.03.004
  24. Su-Houn Liu, Hsiu-Li Liao, and Jean A. Pratt, "Impact of media richness and flow on e-learning technology acceptance", Computers & Education, 52, pp. 599-607, 2009. https://doi.org/10.1016/j.compedu.2008.11.002
  25. Warden, C. A., "EFL business writing behaviors in differing feedback environments", Language Learning, 50(4), pp. 573-616, 2000. https://doi.org/10.1111/0023-8333.00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