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recreation welfar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강원도(江原道)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프로그램의 방향(方向) 모색(摸索) (New Perspective of Forest Recreation Program in Gangwon-do)

  • 이용규;최정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자연휴양림의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자연휴양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2003년 현재 강원도는 19개소의 자연휴양림(국유림 11 개소, 공유림 4개소, 사유림 4개소)을 조성 운영하고 있으며, 현행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숲해설, 산악자전거, 산악 마라톤, 산악스키, 숲속 음악회, 숲교실 등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자연휴양림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향을 위해서 문화 복지 교육 프로그램을 축으로 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화 프로그램으로는 "전통가옥체험 프로그램", "오지체험 프로그램", "산촌 특산물 프로그램"을 구상하였으며, 복지 프로그램은 "노인복지프로그램"과 "장애인 복지 프로그램"을, 교육프로그램으로는 "숲속의 지구촌 교류" 프로그램 조성과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주 5일 근무제 도입으로 휴양수요가 대폭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광 강원도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자연휴양림의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증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산림휴양복지 수요자에 대한 시장 세분화 연구 (Market Segmentation to Identify Forest Recreation Welfare Consumers)

  • 변승연;허성윤;구자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248-257
    • /
    • 2023
  • 최근 소득수준 향상, 유연근무제 확산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하여 산림휴양복지에 대한 수요 및 이용 패턴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산림휴양·복지 시장 전반에 대한 세분화를 통해 각 유형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규명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차별화된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하여 산림휴양·복지 활동 경험 유형을 4개의 그룹(소극적 이용형, 보통형, 적극적 애호가형, 무관심형)으로 세분화하고,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그룹 간 차이의 원인을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을 통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3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산림휴양 복지를 경험하는 그룹이 세분화되어있다는 것이다. 둘째, 산림활동 경험 유형별 그룹을 구분 짓는 사회경제적 특성이 규명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산림휴양복지 경험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대상 및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룹별 차별화된 정책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그룹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책수단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특성 비교 (Comparison of Recognition on Introduct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System)

  • 김성학;서정원;조한솔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99-107
    • /
    • 2016
  • Forest service government has been prepared a Forest welfare voucher service system base on published law on th Promotion Welfare Fores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tudy on domestic situation and set on direction of voucher service before started it. In particular, voucher service will be implemented to Forest service government's recreation facilities area, awareness of voucher service system of its users and operators need to be reveal, and also other government's similar voucher operator's opinions also investigate. From those results, it find out introduction factors of forest welfare services voucher system. Recognition investigating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ordinary people are interested in programs, the forest recreation experts are interested i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forest infrastructure', other voucher's experts are interested in 'Training', and ordinary people are interested in 'voucher programs'. So each respondents' results are different in important factors of introducing welfare service voucher system.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림휴양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 연구 - 유명산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Universal Design Principles for Forest Welfare Service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the Yumyeongsan Natural Recreational Forest -)

  • 이재혁;민경훈;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51-61
    • /
    • 2015
  • The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for forestry is increasing. Although several studies applied universal design in forest site, they had been only concentrated on the barrier-free design for the limited activities rather than overall utilization for considering all visitors from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infirm to the baby an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design within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by analysing how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perceive overall usag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area. This study figures out the mai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in forest welfare through analyzing usage of children and disabilities in Yumyeo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where is one of the popular type of forest welfare area. By doing focus interviews targeted on children and disabilities, the results a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objectively. The result proves that universal design in forest welfare area contains four principles; convenience, safety, diversity and amenity. Also it confirmed that disabilities need better internal space facilities and priority care. Through those characters of universal design, forest area will be able to cover more various type of users as forest welfare area.

Developing User Persona Based on the Factors of Visitor Recreation Activities in Hongneung Experimental Forest

  • Jang, Youn-Sun;Yoo, Rhee-Hwa;Lee, Jeong-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5-539
    • /
    • 2019
  •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user behavior by taking surveys and interviews to plan the green space effectively.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understanding detailed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ities and values. This study applied the Persona-based Scenario Method (PSM) to Hongneung Experimental Forest to understand the detailed needs and behaviors of the users in the forest recreation area. The PSM is a user experience modeling technique, which tries to understand the users by describing the type of users as real people. This study 1) extracts the factors of visitor recreation activities in Hongneung Experimental For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2) develops user personas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and comes up with activity factors, and 3) designs user scenario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SM, 64 factors of visitor activities were derived from the observation survey in 14 sites of Hongneung Experimental Forest and 25 key factors of visitor activities were chosen through observer's brainstorming. Second, three types of personas were developed considering the key factors and the results of user characteristic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Lastly, context scenarios were designed by applying the key factors of visitor recreation activities to the persona model. We identified the design problems of the space and design requirements through the scenario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takes an approach from the user perspective and was applied to the forest recreation area, which was mainly used in product design. The developed personas could be used for deriving design elements and setting the direction for planning considering detailed needs,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근거이론을 이용한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제도 도입 방안 분석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System by Grounded Theory)

  • 조한솔;서정원;김성학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113-125
    • /
    • 2014
  • After Forest Service formed a forest welfare service system by life cycle in 2008, they established a variety of policy for promoting welfare of the people. In Forest welfare service plan(2013~2017) which recently the forest service department established to along with government's welfare policy, they introduce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linked to National welfare system to provide forest welfare actively to disadvantaged citiz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up a direction of forest voucher system, and to make strategies of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by research existing voucher system of government. A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research by use grounded theory without a quantitative research, because there is not a lot of similar cases with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experts of National Park Authority 's voucher management, forest service's Nature recreation management and relevant researcher institution. The research i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subject and by using grounded theory analysis. After processing an opening coding, categorization of opening coding, and axis coding, induce a direction of the forest welfare service voucher system.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특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Visitor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 유리화;장윤선;이정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532-543
    • /
    • 2020
  •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간의 방문 이용특성과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및 충성도(재방문의향, 권유의향)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이용객 충성도 모두 수목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서비스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나 이용객 충성도에 비해 평균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 이용객 충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수목원의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와 이용객 충성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원 이용객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산림 및 휴양경관'이었으며 재방문의향은 '자연경관 체험콘텐츠'와 '시설이용요금'이, 권유의향은 '자연경관 체험콘텐츠'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에 분포한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 이용객을 대상으로 공통된 항목을 동시에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여 두 산림휴양공간 간에 이용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향후 이러한 전국 규모의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가 산림휴양공간 유형별 차별화된 운영전략 제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산림휴양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공통 조사항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 각각의 산림휴양공간의 조성목적에 부합하는 기능 발휘를 위해 서비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므로 해당 항목을 추가적으로 개발, 모듈화하여 공통 조사항목과 병행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휴양자원 이용 고객의 산림휴양 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Forest Recreation Satisfaction of Customers Using Forest Recreation Resour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장영탁;박인엽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33-143
    • /
    • 2023
  • 본 연구는 산림휴양자원 이용 고객의 산림휴양 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산림휴양자원 이용 고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거된 377부 중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뒤 최종 355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WIN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산림휴양만족도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은 산림휴양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및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산촌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통한 산림치유마을 조성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rest Healing Village Based on the Survey on the Stakeholder Perception)

  • 정미애;서정원
    • 농촌계획
    • /
    • 제22권3호
    • /
    • pp.11-1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ategy on activation of village by forest healing. Researcher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forest healing village development to classify the mountain's characteristics by the three factors(linkage resource, program, facilities). In result, villag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single element outstanding type(resource), complex element outstanding type(resource+program, resource+facilities). The development of forest healing village have to focused on the forest healing service recipient and mountain village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ealing recipient and mountain characteristics was as follows: single type (resource) - public; complex type (resource+program) - chronic disease, social vulnerable people; complex type (resource+facilities) - severe disease. The detailed guideline for forest healing village needs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mountain characteristics.

산림복지시설별 이용객 특성과의 관계 분석: 대응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characteristics by Forest Welfare Facilities: Focusing on Correspondence Analysis)

  • 김동훈;강병훈;이은지;강희지;이정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1-13
    • /
    • 2024
  • 본 연구는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 및 결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22 산림복지 시설·공간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립자연휴양림, 국립숲체원, 국가숲길, 국립치유의숲 등 4개 시설을 대상으로 범주형 자료분석인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산림복지시설별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교통수단,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은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대응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숲체원과 치유의숲이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등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라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이용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숲길 이용객의 교통수단은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차이점을 보였으며, 숲체원은 공적인 성격의 단체방문 유형과 관련기관 및 시설 홈페이지 및 온라인 포털사이트로부터 정보 습득, 그리고 교육 및 학습·체험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과 연관성을 보이는 등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이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과 결합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대응분석을 통해 산림복지시설 이용객 자료 활용성의 범위를 확장하였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