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management Planning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1초

군집분석을 이용한 산촌경관 유형 구분 및 특성 분석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Mountain Village Landscape Using Cluster Analysis)

  • 고아랑;임정우;김성학
    • 농촌계획
    • /
    • 제26권1호
    • /
    • pp.101-112
    • /
    • 2020
  • Recently, public awareness regarding mountain villages' landscapes is increasing. Thu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tandards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creation of mountain village landscape by characterizing and classifying those exist. 286 mountain villages' data were collected and 19 variables - extracted from GIS spatial information and statistic data of mountain villages, chosen as right sources according to former studies - were utilized to conduct factor and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7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villages' landscapes were defined - 'Location', 'Cultivation', 'Ecology·Nature', 'Tourism', 'Residence', 'Recreation'. The K-means cluster analysis categorized the mountain villages' landscapes into four types - 'Residential', 'Touristic', 'General', 'Environmentally protected'. The classification was examined to be appropriate by field assessment, and basic guidelines of mountain village landscape management were s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planning and implementing regarding mountain village landscape in the future.

삼림경영계획(森林經營計劃)모델의 적용성(適用性) 연구(硏究) - FORPLAN 구조(構造) - (The Application of Various Forest Resource Planning Models to Forest Management in Korea - FORPLAN Structures -)

  • 권오복;장철수;양윤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1호
    • /
    • pp.1-10
    • /
    • 1989
  • FORPLAN은 미국의 국유림(國有林)에서 다목적(多目的) 이용계획(利用計劃)에 채용되고있는 복잡한 하나의 분석(分析)모델이다. 이 모델의 구조(構造)를 개관(槪觀)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FORPLAN 요소(要素)들이 정의(定義)되고 FORPLAN의 발전과정(發展過程)에서 나타나는 3개 모델의 구조도(構造圖)가 제시(提示)되며 각 모델의 장단점이 논의된다.

  • PDF

장기산림경영계획의 목표수확량 산출을 위한 목표계획법의 적용 (Estimation of Optimal Harvest Volume for the Long-term Forest Management Planning using Goal Programming)

  • 원현규;김영환;권순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125-131
    • /
    • 2009
  • 산림청에서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실현과 국내 목재수급 및 우량 목재자원 확보를 위해서 전국 450개 단지, 292만ha의 산림을 경제림육성단지로 지정하고, 경제림육성단지별 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지자체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집약적으로 산림사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산림의 대부분은 III, IV영급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불균형한 영급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 영동군의 경제림육성단지를 대상으로 이 지역의 산림을 지속가능한 영급구조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벌채수확량을 산출하였다. 벌채수확량의 최적화를 위해서 목표계획법(Goal Programming)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대상지의 산림을 지속가능한 영급구조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50년을 전체사업기간으로 하여 매 분기(10년)별로 약 124만$m^3$의 벌채수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영급구조 개선을 위한 관련 정책 및 사업들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Implement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 김다민;임철희;이우균;송철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40-648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는 국유림이 탄소흡수와 산림자원조성 측면에서 주도적인 역할로 자리매김하게 하였으며, 이에 국유림을 관리하는 국유림경영계획과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의 운영이 효과적인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계획수립과 경영은 올바른 평가방법을 바탕으로 확보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타 분야의 평가 제도와 비교분석, 국유림업무 담당자 및 전문가와 면담 분석, 11개소 경영계획구의 국유림경영계획 최종평가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 계획수립과 평가결과간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각 평가별 목적과 시기 수정, (2) 사업수행과정을 반영하기 위해 사업별 가중치 할당, (3) 계획변경내역과 사유 기재를 통한 정성적 평가 진행, (4) 이러한 개선방안은 궁극적으로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과 연동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미래 산림변화를 예측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이룩하는 것은 사업수행과정 전반에 대한 신뢰성 있는 평가에서 시작되며, 따라서 본 연구는 실행평가 고도화 방안을 제안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관리에 따른 마을비보숲의 식생 변화 - 진안 서촌 마을비보숲과 원연장 마을비보숲을 사례로 - (The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 in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according to Management - Centered on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of Seochon and Weonyeonjang in Jinan County -)

  • 박재철;장효동
    • 농촌계획
    • /
    • 제24권2호
    • /
    • pp.69-7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vegetation change through monitoring representative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according to different management. For this, two of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around Mai mountain which many ones remain were selected. Those are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of Seochon and Wonyeonjang. Seochon forest is a representative one which is managed naturally and Wonyeonjang one is a representative one which is managed artificially. The field survey for monitoring was preformed in 2002 and 2007, 2016. D(Dominant degree) and S(Sociability degree) were measured by Brown-Blanquet's method in field survey. Through the analysis and review of survey data, the change of species richness, appearing species characteristics, species composition and layer structure etc. according to different management was monitored.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natural succession has increased species diversity, improved vegetation structure and circulation of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On the other hand, excessive anthropomorphic management was found to be detrimental to the health of the forests and to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And it was found that excessive management threaten sustainability and periodical proper management is necessary. Through this review, the useful management direction of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was suggested.

Linear Programming에 의한 삼림경영계획(森林經營計劃) - 잣나무임분(林分)의 삼림수확계획(森林收穫計劃)을 중심으로 - (Forest Management Planning by Linear Programming - Timber Harvest Scheduling of a Korean Pine stand -)

  • 우종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27-435
    • /
    • 1991
  • 삼림수확계획(森林收穫計劃)을 위한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LP)의 적용성(適用性)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삼림경영(森林經營) 계획기간(計劃期間) 10년 동안 보적수확량(保積收穫量)의 시간적(時間的), 공간적(空間的) 최적배분(最適配分)을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을 사용하였다. 수확표수치(收穫表數値)를 이용하여 수종별(樹種別) 생장방정식(生長方程式)을 유도했고 시뮬레이션 모형(模型)에 유도된 생장방정식(生長方程式)을 포함시켜 계획기간(計劃期間)동안 잣나무임분(林分)의 축적변동상황(蓄積變動狀況)을 추정(推定)하였다. 이것은 LP모형의 기초 data가 되며 고전적(古典的) 수확조절방법(收穫調節方法)(Paulsen-Hundeshagen 공식법(公式法))에 의해 계산된 분기별(分期別) 수확재적(收穫材積)의 상한치(上限値)등이 LP모형구성에 포함되었다. 2년(年)을 1분기(分期)로 하여 계획기간(計劃期間) 10년(年)을 5분기(分期)로 나누었으며 본(本) 연구(硏究)에서 개발(開發)된 LP모형에 의해 연습림내(演習林內) 잣나무 임분(林分)의 보조소반별(補助小班別) 분기별(分期別) 최적수확(最適收穫) 계획(計劃)을 수립(樹立)하였다.

  • PDF

행위자연계망이론을 통한 영국 도시교외지역 관리시책의 운영과정 특성 분석 -테임즈 체이스 마을 숲 조성 시책을 사례로- (An Analysis of the Urban Fringe Management Initiative's Operational Process in UK Using the Actor Network Theory - A Case Study of Thames Chase Community Forest Initiative -)

  • 김용범;박재홍;천성환
    • 농촌계획
    • /
    • 제13권1호
    • /
    • pp.97-10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and analyse how Community Forest Initiatives as urban fringe management initiatives made alliances with a variety of interest groups, enrol them in the urban fringe management processes using the Actor Network Theory. The Thames Chase Community Forest Initiative was selected and its area of operation included a $97 km^2$ area of green-belt area in East London. It was a instrument far improving and prot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side landscape from urban developments as well as evaluating the impact of forestry inclusion in land use planning in the urban fringe. It was operated through a tiered structure comprising the Thames Chase Joint Committee and the management team. They employed a variety of devices to speak with one voice to bring about an effective operation process and to secure the enrolment of a variety of interest groups in its operational processes. Of note, the initiative's actor network impacted on improvement to and management of the countryside landscape despite not owning any land itself. As a result, when urban fringe management initiatives will be launched in South Korea to achieve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urban fringe management, local councillors and representatives from public and non-government bodies should be more responsive to local communities' views and needs and work more vigorously on their behalf through lobbying, seeking media support, and so on. Moreover, bette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local authorities' officers and management initiatives' teams are essential to avoid duplication of work practice.

국유림(國有林) 관리(管理) 영림계획(營林計劃) 운영(運營)을 위(爲)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Database Program for Management Planning in National Forests)

  • 박은식;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63-72
    • /
    • 1999
  • 이 연구에서는 산림계획에 관계되는 자료관리는 물론 국유림에 적용되는 영림계획의 운영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체계로 개발하였다. 이 데이터베이스체계에서는 영림계획 업무에서 요구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메뉴체계에 반영하였으며, 산림조사, 영림계획, 연차계획 및 임반연혁 자료들을 유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델은 한글 윈도우 95 환경에서 구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은 Visual Basic 5.0을 사용하여 작성하였고 데이터베이스 기본 엔진으로 Microsoft사의 ACCESS를 이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영림계획업무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작성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내역, 모델구조 및 응용체계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의 응용체계를 실제 화면모드 출력창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산림기능별 목표임상 조건이 산림경영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위한 선형계획기법 적용 연구 (A Case Study for Applying Linear Programming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sired Future Conditions for Forest Functions on Forest Management)

  • 장광민;원현규;설아라;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247-254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산림과학원 광릉시험림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산림기능에 따른 목표임상 조건이 산림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산림의 사회 경제 생태적 요구에 따라 자연환경림, 자원생산림, 수원함양림 그리고 경관보존림으로 구성된 4개의 산림기능으로 구분하고, 각 기능에 적합한 산림시업체계표를 작성하였다. 선형계획수식모형은 Model II 기법을 적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재적생산의 극대화를 목적함수로 그리고 비감소수확, 벌채허용면적, 계획기간말의 영급구조 및 수종선택 등의 경영방침을 제약조건에 포함시켰다. 선형계획수식모형을 이용하여 각 경영시나리오별로 최적해를 계산하고 재적생산량, 순현재가 그리고 영급구조 등을 비교하여 목표임상 조건이 산림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서울 남산도시자연공원의 비오톱 구조 및 생태적 관리방안 (Ecological Management Plan and Biotope Structure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 이경재;한봉호;이수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2-11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biotope structures on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Classified by actual vegetation, structure of layer and vegetation damage, biotope structures were composed of forest area, compact management area, herb area, cultivated area and non-ecology(urban) area. Succession had seened to stop in the Native forest. Artifical forest was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upper layer, was too dense to accommodate lower layer plants, the other case was the appearance of Quercus spp. and the first stage plants of succession following the declination of the upper layer plants. The soil pH of Nam-san Urban Park was 4.21∼4.51, which meant the soil was becoming acid. As the result of acidity, leaching of available nutrition(K/sup +/, NH₄/sup +/, Ca/sup ++/ etc.) was immediately influenced by the natural ecosystem, influence of acid rain was disturbed to becoming organic matter which was use to plants. In the case of a biotope structure management plan, the urban area was prohibited to spread outside. Cultivated and herb area was regenerated to natural forest. In the forest area, the compact management area was maintained with its present condition, and then it is desirable to make a preservation area and to plant shrubs. Planted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needed to eliminate competitive species of canopy layer, and plant shrubs. Management of deciduous broad-leaved Comm. was maintained in its present conditionand it is desirable to raise the diversity of the understory and shrub layer. The management of the artifical forest seems to be suitable for Q. spp. community. The care of naturalized plants prevents the expansion and restores the structure of wild plants. The soil management was a marked restoration soil ecosystem in order to prevent soil acid and dry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