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res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earch Result 1,18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신갈나무 임분의 입지 및 토양 속성을 이용한 부분최소제곱 회귀의 지위추정 모형 (Predicting Site Quality by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Using Site and Soil Attributes in Quercus mongolica Stands)

  • 김춘식;백경원;정상훈;황재홍;이상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23-31
    • /
    • 2023
  • 산림생산력의 예측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나 산림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산림관리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전국 112개 신갈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입지 및 토양 특성의 속성변수를 이용하여 지위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신갈나무 임분의 지위지수는 입지 및 토양 특성을 독립변수 한 일반최소제곱(Ordinary Least Squares, OLS) 및 부분최소제곱(Partial Least Squares, PLS)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유의적인 추정(P<0.05)이 가능하였다. 지위추정 회귀모형의 수정 결정계수(adjusted R2)는 입지 및 토양단면 속성변수의 회귀모형(A층: R2=0.29; B: R2=0.32)이, 토양 물리·화학적특성의 속성변수(A층: R2=0.09; B층: R2=0.21)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PLS 회귀모형(R2=0.20~0.32)은 OLS 회귀모형(R2=0.09~0.31)에 비해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이 높았다. 본 연구로부터 신갈나무 임분의 입지 및 토양 특성을 이용한 지위 추정 회귀 모형이 개발되었으나, 결정계수 값이 낮아 회귀모형의 설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변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노루 서식지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Habitat-using of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 박용수;이우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10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research about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an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area into Seoraksan(Mt.) National Park, South Korea. We recorded Siberian roe deer field signs (bedding sites, feeding areas, feces and tracks etc),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nearest distance to the watercourse, trails, slope, aspect, forest type and land cover etc. from Jan. 2006 to Dec. 2007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habitat characteristics of Siberian roe deer inhabited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preferred mixed forest consisted of aged forest and middle-aged forest on the gentle slope which was close to hydrosphere in the middle elevation area of altitude of 400~600m above sea level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berian roe deer appeared to prefer south slope or north slope during the snow season and west or east slope during the non-snow season. The area of most suitable habitat for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was $128.5km^2$ (32% of the total area) followed by $244.3km^2$ buffer area (62.2% of the total area), and $22.9km^2$ unsuitable habitat area (5.8% of the total area), which means environmentally unsuitable habitat for Siberian roe deer was rare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Thus, the area classified as major area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appeared to be most important for the protection of Siberian roe deer.

한국산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 권성민;장재혁;김철우;김광모;이재선;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68-275
    • /
    • 2012
  • 국내산 겨우살이의 해부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겨우살이 및 기주목인 신갈나무의 목재 조직구조를 관찰하였다. 겨우살이가 착생된 부분의 가지는 직경이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더 컸다. 겨우살이 사부는 인피섬유와 유세포로 그리고 목부는 후벽 목섬유, 방사유세포, 축방향유세포 및 도관상가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겨우살이 방사조직의 경우 일반적인 목재 수종에 비해 방사유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평복세포, 직립세포 및 방형세포 모두로 이루어져 있는 이형방사조직인 것으로 밝혀졌다. 겨우살이의 도관상가도관 세포벽 내강표면에 나선비후 그리고 세포벽에 유연벽공이 발달되어 있다. 겨우살이 흡기의 삽입에 따라 숙주 도관의 형태가 일부 변형되어 있으나 도관 내 타일로시스는 관찰되지 않았다. 겨우살이 흡기의 끝 부분 형태는 비교적 뾰족하게 나타났고 흡기 삽입에 따른 기주목 세포 자체의 파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울산공단지역과 지리산지역 강우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in Water at Ulsan Industrial Complex Area and Mt. Jiri Area)

  • 서동진;윤석락;문현식;이총규;김종갑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15-22
    • /
    • 2010
  • 울산공단지역과 지리산지역에서 소나무림의 강우로부터 산림내 유입되는 수간류, 수관통과우, 임외우의 이온성분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울산공단지역에서는 pH가 지리산지역에 비해 수간류, 수관통과우, 임외우 모두 낮아 대기오염의 영향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EC는 수간류, 수관통과우, 임외우 모두 울산공단지역이 높았으며, 수간류와 수관통과우에서는 양지역이 2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이온성분은 울산공단지역에서 대체적으로 높았으며, 수간류에서 지역차가 2배 이상 나타났으며, 특히 $Ca^{2+}$, $Mg^{2+}$ 이온의 농도가 지역간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음이온 성분은 두 지역 모두 ${SO_4}^{2-}>{NO_3}^{-}>Cl^-$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간 차이가 가장 큰 이온은 ${SO_4}^{2-}$으로써 수간류에서 토양으로 유입되어 토양의 산성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산림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간 자기상관성을 고려한 산불피해지 경계 형성과 경관특성변수들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Edge Formation of Burned Forests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with Consideration on Spatial Autocorrelation)

  • 이상우;원명수;이현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13-121
    • /
    • 2013
  • 가장자리는 산불 피해 후 산림생태계 변화 및 회복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의 공간 자기상관성을 고려하여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형성과 경관특성변수들과의 관계 분석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지로는 2000년도에 발생한 삼척 산불피해지를 선정하였으며, 대상지내 경관특성변수 측정을 위하여 산불피해지 전 지역을 포함하도록 500 $m^2$ 격자를 생성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경관 특성 변수들로는 표고, 경사, TWI(Topographic Wetness Index), SRI(Solar Radiation Index)을 사용하였고, 연료유형변수와 토지피복 변수를 포함시켰다. 격자들은 산불피해지 경계선과 교차하는 격자는 가장자리로 그 외의 격자들은 내부지역으로 설정하였다. 공간자기 상관을 보정하기 위하여 경관 변형된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산불피해지 경계 형성과 양의 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TWI, SRI, 물, 전, 답, 개발지, 나대지이며, 음의 관계를 보이는 경관특성변수는 경사, 표고, 그리고 모든 연료 유형 변수들이었다. 특히 TWI은 r=0.437로 경계형성과 강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산불 피해지의 경계는 산림과 이질적인 토지피복 혹은 토지이용이 존재하는 경우와 경사가 완만하고 표고는 낮으며, 토양 및 지표면의 상대습도가 높은 지형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asy and Quick Survey Method to Estimat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the Thin Forests

  • Mirzaei, Mehrdad;Bonyad, Amir Eslam;Bijarpas, Mahboobeh Mohebi;Golmohamadi, Fateme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73-77
    • /
    • 2015
  • Acquiring accurat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management of forest stands. In this study, stratification and systematic random sampling methods were used to estimation of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study area. The estimator ($((E%)^2xT)$) was used to compare the systematic random and stratified sampling methods. 100 percent inventory was carried out in an area of 400 hectares; characteristics as: tree density, crown cover (canopy), and basal area were measured. Tree density of stands was compared through systemic random and stratified sampling methods.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stratified sampling method gives a better representation of estimates than systematic random sampling.

산림훼손지복원을 위한 Soil Bioengineering 기술개발(V) - 관목류의 뿌리인발저항 특성 - (Development of the Soil Bioengineering Techniques for Restoring of Degraded Forest Area (V) -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Shrubs' roots -)

  • 차두송;오재헌;지병윤;조구현;이해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11-118
    • /
    • 2008
  • 산림 훼손지 비탈면 녹화에 주로 사용되는 관목류 7종에 대한 인발저항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사수종의 평균인발력은 두릅나무 37.26 kgf, 버드나무 34.56 kgf, 국수나무 26.00kgf의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뿌리의 근원경 및 뿌리체적이 크면 클수록 인발력은 높게 산출되었다. 뿌리 근원경과 뿌리 체적에 대한 인발력은 산딸기나무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산초나무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뿌리의 근원경에 따른 인발력은 대부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뿌리체적에 따른 인발력은 뿌리체적이 20 ml미만에서만 수종간의 인발력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achine Learning for Flood Prediction in Indonesia: Providing Online Access for Disaster Management Control

  • Reta L. Puspasari;Daeung Yoon;Hyun Kim;Kyoung-Woong Kim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1호
    • /
    • pp.65-73
    • /
    • 2023
  • As one of the most vulnerable countries to floods, there should be an increased necessity for accurate and reliable flood forecasting in Indonesia. Therefore, a new prediction model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proposed to provide daily flood prediction in Indonesia. Data crawling was conducted to obtain daily rainfall, streamflow, land cover, and flood data from 2008 to 2021. The model was built using a Random Forest (RF) algorithm for classification to predict future floods by inputting three days of rainfall rate, forest ratio, and stream flow. The accuracy, specificity,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on the test dataset using the RF algorithm are approximately 94.93%, 68.24%, 94.34%, 99.97%, and 97.08%, respectively. Moreover, the AUC (Area Under the Curve) of the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results in 7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providing a model that predicts flood events accurately in Indonesian regions 3 months prior the day of flood. As a trial, we used the month of June 2022 and the model predicted the flood events accurately. The result of prediction is then published to the website as a warning system as a form of flood mitigation.

이질적 경관에서의 연결성 측정: 리뷰 및 적용 (Measuring Connectivity in Heterogenous Landscapes: a Review and Application)

  • 송원경;김은영;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3호
    • /
    • pp.391-407
    • /
    • 2012
  • The loss of connectivity and fragmentation of forest landscapes are seriously hindering dispersal of many forest-dwelling species, which may be critical for their viability and conservation by decreasing habitat area and increasing distance among habitats. For understanding their environmental impacts, numerous spatial models exist to measure landscape connectivity. However, general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connectivity and landscape structure are lacking, there is a need to develop landscape metrics that more accurately measure landscape connectivity in whole landscape and individual patches. We reviewed functional and structural definition of landscape connectivity, explained their mathematical connotations, and applied representative 13 indices in 3 districts of Seoul having fragmented forest patches with tits, the threshold distance was applied 500m by considering the dispersal of tits. Results of correla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connectivity indices could be divided by measurement methods whether they contain the area attribute with distance or not. Betweenness centrality(BC), a representative index measuring distance and distribution among patches, appreciated highly stepping stone forest patches, and difference of probability of connectivity(dPC), an index measuring including area information, estimated integrated connectivity of patches. Therefore, for evaluating landscape connectivity, it is need to consider not only general information of a region and species' characteristics but also various measuring methods of landscape connectivity.

팽나무 뒷면흰가루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Pleochaeta shiraiana의 존재 확인 (Confirmation of the Presence of Pleochaeta shiraiana Associated with Powdery Mildew of Celtis sinensis in Korea)

  • 이승규;이상현;조성은;박지현;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1-395
    • /
    • 2011
  •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팽나무 뒷면흰가루병 및 병원균 Pleochaeta shiraiana의 존재에 대하여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려대학교 표본실에 보존된 9개 시료를 대상으로 병원균의 무성세대와 유성세대의 형태적 특징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또한 4개 시료에서 획득한 ITS 염기서열을 일본의 2개 시료에서 알려진 자료와 비교하여 99% 이상의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P. shiraiana에 의한 뒷면흰가루병이 우리나라에서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