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packaging film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32초

LDPE-나노 TiO2 복합 필름의 기능성 및 재질안정성 평가 (A Study of Functionality and Stability of LDPE-Nano TiO2 Composite Film)

  • 이우석;고성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7-74
    • /
    • 2017
  • In this work, the effects of nano $TiO_2$ on functionality and stability of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composite films were investigated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 LDPE-nano $TiO_2$ composite films were prepared with various $TiO_2$ contents (0, 0.5, 1.0, 3.0 and 5.0wt%) by melt-extrusion and their basic properties such as crystallinity, chemical bonds and surface morphology were examined by XRD, FTIR and SEM. Ultraviolet (UV) light barrier property of as-prepared LDPE-nano $TiO_2$ composite films was also studied and the presence of nano $TiO_2$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of UV light barrier compared to the pure LDPE film. To evaluate influence of nano $TiO_2$ on LDPE properties required as packaging material, thermal, mechanical, gas barrier and optical properties of LDPE-nano $TiO_2$ composite films were characterized with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including TGA, UTM, OTR, WVTR and UV-vis spectroscopy. As a result, except optical property of LDPE,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other properties. Opacity of pure LDPE was grea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nano $TiO_2$.

식품용 PVC 포장재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Characteristic of PVC Food Packaging)

  • 이선희;정규진;이융국;임종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3-56
    • /
    • 2008
  • Polyvinylchloride(PVC) is variously used to produce food packaging, wrap film, sealing compound of drinking bottle cap. Safety of these PVC food package is controlled by Food Code, PVC regul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researches on manufacture process,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and monomer(CAS No., common name, molecular structure) of PVC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PVC material. Also, this study helps us the understanding of regulation through researches on the foundation of PVC regulation, the purpose of test and the comment of test metho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informations of material properties and explanations of test method are very useful to PVC producers, users and analyzers of them.

  • PDF

포장재질 및 방법에 따른 애호박의 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of Physico-Characteristics in Green Pumpkin during Storage by Packaging Material and Method)

  • 이진원;신혜승;이경희;박장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74-379
    • /
    • 2009
  • 포장 방법을 달리한 애호박을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나타나는 품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애호박을 OCF, PF, PWPF 및 PVCF로 각각 포장한 후 저장하면서 pH, 중량 감소율, 갈색도, 경도 및 기체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한 애호박에 대하여 pH변화의 경우 모든 실험구에서 최소 6.38에서 최대 6.67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중량 감소율, 갈색도 및 경도 변화에 대해서는 저장기간이 증가될수록 PWPF 및 PVCF로 포장한 경우 가장 안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중 기체 함량 변화의 경우 포장재 특성(가스 투과도)에 따라서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O_2$ 농도는 저장 초기보다 감소되었으나, $CO_2$ 농도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PWPF 및 PVCF로 포장한 경우 $CO_2$ 함량이 저장 초기에 비하여 최대 45.2, 41.0%까지 각각 증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PWPF 및 PVCF 포장재 내부의 낮은 $O_2$ 농도와 높은 $CO_2$ 농도가 애호박의 연화 작용을 억제하는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포장 방법이 상추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Leaf Lettuce)

  • 이정수;이혜은;이윤석;전창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30-634
    • /
    • 2008
  • 유통현장에서 다양한 포장 형태로 이용되는 상추의 포장방법별 선도 유지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에서 이용되는 상추의 소포장 형태를 포장재 종류 및 천공 여부, 포장 방법 등에 따라 봉지 형태의 PP 필름 무공 밀봉 포장, PP 필름 롤 타입 포장, PP필름 유공 포장, PET 상자형 용기 포장, LDPE 필름 봉지 형태 포장과 같이 5가지로 분류하였다. 포장 형태에 따라 상추를 저온에 저장하면서 중량 변화, 호흡량, 외관의 품위, 색상 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포장 형태에 따른 중량 감소는 봉지 형태의 PP 필름 무공 포장과 같은 밀폐 정도가 큰 무공필름 밀봉 형태에서가 가장 적었으며 저장 중의 엽색, 외관 및 중량의 변화폭도 가장 작아 상품성이 가장 오래 유지되었다. 반면, 롤 형태의 포장과 같이 개방 정도가 큰 포장 형태나 무포장으로 저장한 상추가 중량감소 정도, 색상 변화 및 선도 변화폭이 커 상품성이 크게 떨어졌다. 본 실험의 결과, 개방 정도가 가장 작은 밀봉 포장으로 저장하는 것이 상추 저장 중의 상품성 유지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포장 형태의 개방 정도가 커짐에 따라 상품성의 저하가 크게 나타났다.

포장재 두께에 따른 청매실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as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Packaging Material)

  • 차환수;정명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8-153
    • /
    • 2002
  • 개화 후 71일 만에 수확된 청매실을 20, 30, 40$\mu\textrm{m}$ 두께의 LDPE 필름 포장재에 각각 넣고 상온($25^{\circ}C$) 및 저온($0^{\circ}C$ 와 1$0^{\circ}C$)에 저장하면서 저장 중 일정 시간 간격으로 pH, 산도, 가용성고형분과 클로로필의 함량, 경도, 색상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포장하지 않은 채 저장한 시료에 대한 변화와 비교하였다. 포장재에 넣고 저장한 시료는 포장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무포장구에 비해 외관적으로 변화가 훨씬 적음을 확인하였고, 화학적 성질 변화를 억제하는데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결과를 종합적으로 비교해 보았을때 30$\mu\textrm{m}$ 두께의 LDPE 필름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때가 다른 필름 두께의 포장구에 비해 모든 측정 항목에서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임을 알 수 있었고, 이 사실은 LDPE 30 포장구가 외부차단 효과와 적절한 호흡 특성 유지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조건임을 말해 준다.

Zeolite/Zinc-polypeptide를 코팅한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항균 및 항진균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of Zeolite/Zinc-polypeptide Coated Polypropylene Film)

  • 이학래;고의석;심원철;김종서;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21
  • 본 연구는 기능성 항균 포장재를 신선식품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Zeolite/Zinc-polypeptide를 식품용 포장재 중 하나인 PP 필름에 코팅하여 항균 및 항진균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Zeolite/Zinc-polypeptide를 PP 필름에 각각 5%, 10%, 15% 농도로 코팅하였으며, FESEM과 FT-IR 분석을 통해 분산된 Zeolite/Zinc-polypeptide의 코팅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항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코팅 물질의 농도에 따른 필름의 항균 및 항진균성을 분석하였다. 코팅 필름의 표면 분석 결과 PP 필름의 표면에서 Zeolite/Zinc-polypeptide의 농도에 따라 코팅 액의 분포 크기가 불규칙하지만 넓게 나타났다. 또한 항균 효과에 따른 분석 결과 박테리아 균 중 하나인 E. coli에서 99.9%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R. oryzae의 성장을 약 70% 억제하여 PP 필름 코팅 적용 후에도 Zeolite/Zinc-polypeptide가 E. coli와 R. oryzae에 대하여 항균 및 항진균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Zeolite/Zinc-polypeptide 코팅 필름은 기능성 포장재로서 신선식품의 부패 방지와 보관수명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며, 향후 다양한 신선식품에 적용하기 위한 저장 실험이 요구되어진다.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한 젤라틴 필름의 딸기에의 포장 적용 (Use of a Gelatin Fil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in the Packaging of Strawberries)

  • 임금옥;장성애;김주연;김현진;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6-201
    • /
    • 2010
  • 자몽종자추출물(GSE)이 다른 농도(0, 0.6, 1.0%)로 첨가된 젤라틴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의 물성과 딸기의 포장 효과를 각각 조사하였다. GS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젤라틴 필름의 신장률은 증가하였으나 인장강도는 대조구의 46.39 MPa에서 1.0% GSE 함유 젤라틴 필름 경우에 31.96 MPa로 감소하였고, 필름의 투습도는 GSE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GSE 1.0%가 함유된 젤라틴 필름은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GSE 1.0%가 함유된 젤라틴 필름을 딸기 포장에 적용하였을 때 저장 12일 차에서 대조구에 비해 총 호기성 세균, 효모 및 곰팡이의 수가 각각 1.60, 1.43 log CFU/g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1.0% GSE-젤라틴 필름으로 포장한 딸기가 대조구나 젤라틴 필름만으로 포장한 딸기에 비해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1.0% GSE-젤라틴 필름 포장이 딸기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위해인자의 감소와 딸기의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Impact of Packaging Methods Coupled with High Barrier Packaging Loaded with TiO2 on the Preservation of Chilled Pork

  • Xiaoyu Chai;Dequan Zhang;Yuqian Xu;Xin Li;Zhisheng Zhang;Chengli Hou;Weili Rao;Debao W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142-1155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packaging methods coupled with high barrier packaging loaded with titanium dioxide (TiO2) on the quality of chilled pork.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hree treatment groups: air packaging (AP), vacuum packaging (VP), and vacuum antibacterial packaging (VAP). Changes in total viable count (TVC), pH value,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value, sensory attributes, and water holding capacity of pork were analyzed at 0, 3, 6, 9, and 12 d. TVC of the VAP group was 5.85 Log CFU/g at 12 d,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AP (6.95 Log CFU/g) and VP (5.93 Log CFU/g). The antibacterial film incorporating TiO2 effectively inhibited microorganism growth. The VAP group exhibited the lowest pH value and TVB-N value among all the treatment groups at this time.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application of VAP effectively preserved the sensory attributes of pork, the hardness,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of pork in VAP group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han those in AP group (p<0.05), but not significantly compared with VP group. On the 12 d, the CIE a* value of pork in VAP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is exhibited that VAP could effectively maintain the freshness of chilled pork and extend the shelf life for 3 d compared to the AP group.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iO2-loaded packaging film in the food industry.

포장재의 종류에 따른 저장 중 카레분말의 향 안정성 변화 (Effect of Packaging on Aroma Stability of Curry Powder during Storage)

  • 최준봉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7-152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ackaging on the aroma stability of curry powder during storage.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curry powders packed with laminated film or vinyl were analyzed by th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during in storage at $25^{\circ}C$ for 13 weeks. Forty-eight compounds, comprising 36 terpenes, 5 alcohols, 4 benzenes, 2 carbonyl compounds, and 1 ester, were identified from the curry powders. The main volatile compounds were cuminaldehyde, anethole, and eugenol. The Volatile compounds of curry powder packed with laminated film were maintained unchanged during in the storage, whereas those packed in vinyl were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The amounts of p-cymene, cuminaldehyde, anethole, and (E)-caryophyllene from curry powder packed with laminated film were maintained during storage, while those packed with vinyl decreased gradually. The aroma stability of eugenol was unaffected by packaging. The results indicates that curry powder is best packaged in with laminated film to maintain the aroma stability during storage.

선도유지기능정보가 각인된 PE필름의 식품보존 특성 (Characterization of food preservation properties of PE film templated with freshness maintenance information)

  • 방건웅;김강녕;김희정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
    • /
    • 1999
  • 식품의 선도가 될 수 있는대로 오래 유지되도록 하여 소비자들에게 보다 신선한 식품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중의 하나이다. 지금까지는 식품의 선도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식품보존용기에 사람에게 유해한 방부제를 첨부하거나 분위기를 제어하는 방법, 혹은 식품의 표면을 특수처리하는 방법 등이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보존방법에 대해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다른 이물질을 식품 보관용 필름에 혼입하지 않고도 식품자체의 선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술의 요체는 식품이 오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물에 각인한 다음에 이를 식품 보관용 필름에 전사하여 그러한 기능을 갖도록 한 것으로서 일종의 기능성 필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입각한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선도유지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기술이 보다 더 다듬어지고 그 작용기전이 밝혀진다면 더욱 우수한 제품이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