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tility

검색결과 1,757건 처리시간 0.028초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31-52
    • /
    • 2012
  • 본 연구는 그 동안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저출산 관련 주요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저출산 관련 시책에 대한 인지도와 경험도를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인지도와 경험도가 자녀의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존 자녀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경제적 지원 정책과 양성평등 문화조성에 대한 인지도는 출산계획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현존 자녀수별로 분석할 경우 다르게 나타난다. 즉 무자녀 기혼여성들의 경우 저출산 관련 대책들에 따른 자녀출산계획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1자녀 기혼여성의 저출산 관련 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추가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2자녀 여성의 경우에도, 저출산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추가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출산 정책의 이용도의 경우에도 동일한 패턴으로 나타난다. 즉 현존 자녀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경제적 지원, 일 가정 양립 지원, 양성평등 문화조성 등은 출산계획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현존 자녀수별로 분석을 진행할 경우 이러한 변수들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사라져 저출산 정책의 이용경험은 모두 출산계획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출산 정책을 수리할 때 자녀수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저출산 관련 지원정책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보다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저출산 대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PDF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The 1997 Asian Economic Crisis and Changes in the Pattern of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Korean Fertility)

  • 김두섭
    • 한국인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구학회 2006년도 후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59-87
    • /
    • 2006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하여 사회경제적 차별출산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2003년 전국출산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49세 기혼 여자의 총출생아수와 1998년 이후의 출생아수에 대한 비교분석이 이루어 졌다. 또한, 분석대상을 1997년 이전에 결혼하였거나 재혼한 부인들과 1997년 이후 처음 결혼한 부인들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출산력 수준과 출산행태를 비교함으로써 IMF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총 출생아수에 대한 분석 결과, 부부의 교육수준, 직업, 종사상 지위 등의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출산수준은 대체로 뒤집어진 J 자형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바로 밑의 집단보다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런데, 최근의 출산수준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과는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출산수준 감소의 폭은 기존의 출산수준과 정비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출산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급속한 출산력 저하가 이루어졌으며, 출산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완만하였다. 그 결과, 최근의 출산수준은 중상층에 해당하는 사회경제적 지위를 지닌 집단이 가장 높고 다음이 최상위 집단, 그리고 하위 집단의 순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경향은 부부의 교육수준, 직업, 종사상 지위, 주관적 계층에 따른 최근 출산력의 변화양상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 PDF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 OECD 국가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Family Policies, and Gender Equality on Fertility Rate : Focused on OECD Countries)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2호
    • /
    • pp.41-5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가족정책변수, 양성평등가치변수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19년까지 30년 간 OECD회원국의 출산율 자료와 UNDP 자료, World Value Survey 자료를 시계열로 결합한 패널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1단계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통제변수를 투입하였고, 가족정책변수, 양성 평등가치변수 순으로 변수를 추가하면서 각 변수들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첫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각 모형에서 출산율에 양의 영향을 보였다. 즉,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로 인해 출산율이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가족정책변수인 부성 출산휴가기간이 출산율에 정적 영향을, 모성 출산휴가기간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상반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양성평등가치변수인 성불평등지수가 높은 국가에서 출산율이 높았다. 또한 성평등 가치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출산율이 낮았으며, 성평등 가치관을 3개 하위지표로 분리하여 분석했을 때 대학교육의 중요성에 양성 평등한 가치를 보일수록 출산율이 낮았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는 경제활동이 저출산의 원인이 아니며, 경제활동참여와 출산율이 동시에 상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남녀의 출산휴가와 같은 정책적 지원, 그리고 남녀의 성평등 가치가 출산율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출산율은 가족의 시간, 소득 등 자원에 대한 배분과 관리, 자녀양육분담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이나 이를 지원하는 가족정책과 성평등 가치가 통용되는 사회적 기반 위에서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Comparison between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and intracytoplasmic morphologically selected sperm injection in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patients

  • Kim, Hyung Jun;Yoon, Hye Jin;Jang, Jung Mi;Oh, Hwa Soon;Lee, Yong Jun;Lee, Won Don;Yoon, San Hyun;Lim, Jin 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1권1호
    • /
    • pp.9-14
    • /
    • 2014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intracytoplasmic morphologically selected sperm injection (IMSI) technique compared with conventional ICSI and previous ICSI attempts in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OAT) patients. Methods: The sperms were selected under high magnification ($6,600{\times}$) and used to induce fertilization in previous ICSI patients by IMSI.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conventional ICSI cycles in patients with OAT infertility. Results: These result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rtilization rate between IMSI and previous ICSI cycles (67.7% vs. 65.0%). However, the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ith IMS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ICSI cycles (33.3% vs. 12.5% and 14.6% vs. 5.4%, respectively; p<0.05). The miscarriage rate among pregnant patients (18.2% vs. 37.5%)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Conclusion: Compared to conventional ICSI, this study found that IMSI increased the IVF-ET success rates in patients with OAT.

Genetics of Self-fertility and Selection of Self-Fertile Lines in Rye (Secale cereale L.)

  • Heo, Hwa-Young;Hong, Byung-Hee;Seong, Rak-Chun;Ha, Yong-Wo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343-346
    • /
    • 2000
  • Rye breeding using F$_1$ hybrid began about 30 years ago, when cytoplasmically inherited forms of male sterility (CMS) and corresponding nuclear restorers were detected. It is very important to produce inbred lines for making hybrid lines because of strong self-incompatibility in rye. Among the 456 rye germplasms used in hybrid breeding scheme, 24 lines (5.3%) had the above 60% of self-fertility, and six lines of them were selected for their good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were used for subsequent inbreeding program. The average self-fertility of selected six lines was 78.4%, ranging from 72.2 to 99.5%. Genetic analysis for the self-fertility using $F_2$ populations showed that the segregation of self-fertile and sterile plants in F$_2$populations could be fit into 3 to 1 ratio suggesting self-fertility in rye be controlled by one major gene. The four different self-fertile lines, PI237923, 5C11, 5G5 and Florida black, had the same self-fertility gene because their F$_2$ plants showed almost the same self-fertility as their parents and showed no genetic segregation.

  • PDF

조선후기의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증가: 네 족보에 나타난 1700$\sim$1899년간 생몰 기록을 이용한 연구 (Fertility, Mortality, and Population Growth in 18th and 19th Century Korea: Evidence from Genealogies)

  • 차명수
    • 한국인구학
    • /
    • 제32권1호
    • /
    • pp.113-137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족보에 나타난 생몰 기록을 근거로 조선후기의 사망력, 출산력, 인구 증가율을 추정하는 것이다. 족보에서 파악되 양반 남성의 사망력 수준을 식민지기 사망력 추계 및 모델 생명표를 이용해 전체 인구의 사망력으로 변환한 결과 18, 19세기 우리나라 남성의 출생시 기대여명은 23세로 추정되었다. 족보에서 계산된 양반 여성의 출산력 수준으로부터 여성 초혼 연령 및 식민지기 출산력 추계를 이용해서 전체 인구의 출산력을 추정한 결과는 조선 후기의 합계 출산율이 6.81이었음을 알려주었다. 추정된 조선 후기 사망력 및 출산력 지표를 안정 인구를 묘사하는 방정식에 대입해서 추정한 18, 19세기의 인구 증가율은 0.62%였다.

Fertility preservation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e Korean Society for Fertility Preservation clinical guidelines

  • Kim, Hoon;Kim, Seul Ki;Lee, Jung Ryeol;Hwang, Kyung Joo;Suh, Chang Suk;Kim, Seok 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4권4호
    • /
    • pp.181-186
    • /
    • 2017
  • With advances in the methods of cancer treatment used in modern medicine, the number of breast cancer survivors has been consistently rising. As the number of women who wish to become pregnant after being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ertility preservation in these patients. However, medical doctors may be unaware of the importance of fertility preservation among cancer patients because most patients do not share their concerns about fertility with their doctors. Considering the time spent choosing and undergoing treatment, an early referral to a reproductive specialist is the best way to prevent a delay in cancer treatment. Since it is not easy to make decisions on matters related to cancer diagnosis and fertility, patients should be provided with enough time for decision-making, and to allow for this, an early referral will provide patients with sufficient time to choose an appropriate method of fertility preservation. The currently available options of fertility preservation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clude cryopreservation of embryos, oocytes, and ovarian tissue and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treatment before and during chemotherapy. An appropriate method of fertility preservation must be selected through consultations between individual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and analyses of the pros and cons of different options.

육용종계의 산란능력과 수정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g Production and Fertility in Broiler Breeder)

  • 오봉국;강민수;최연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1985
  • 육용종계의 수정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산란능력과 수정율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GPS 5계통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30주령에서 60주령까지의 평균산란율은 60.5-65.2%를 나타냈고 평균수정율과 평균란중은 각각 82.7-87.9%, 61.79-64.79$\ell$을 나타냈으며 산란율과 수정율은 일정한 주령에서 최대점을 나타내고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 PDF

직무긴장, 삶의 만족도, 그리고 가사노동 분배가 OECD 국가들의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Job Strain, Life Satisfaction,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Fertility Rates across OECD Countries)

  • 전승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51-2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들 간 출산율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출산율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저출산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긴장이라는 요인, 일-가정 갈등을 중심으로 직무긴장과 연관된 수 있는 삶의 만족도, 그리고 가정 내에서 가사노동의 균등한 분배와 출산율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OECD에서 제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낮은 수준의 직무긴장,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 가사노동의 균등한 분배 및 높은 수준의 GDP를 특징으로 하는 국가들이 대체로 높은 수준의 출산율을 보인다. 둘째, 직무긴장과 삶의 만족도, 그리고 가사노동의 측면에서 좋은 수치를 보이는 경우 GDP가 높은 수준의 출산율과 반드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 일-가정 양립 및 가사노동의 균등한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노동환경 및 조직문화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