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lling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5초

창경궁 명정문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Wooden Elements in Myeongjeong-gate of Changgyeong-palace, Seoul, Korea)

  • 이광희;조상윤;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7-9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창경궁 명정문 목부재에 대해 수종과 연륜연대분석을 진행하여 재질과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명정문 목부재(79점)의 수종은 소나무류 78점, 전나무속 1점으로 확인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TSAP 프로그램으로 크로스데이팅을 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소나무류 목부재 58점에 대한 최외각 연도는 1604년 초봄-1615년 늦가을, 1706년 늦가을-1707년 초봄, 1828년 늦가을-1834년 늦가을로 총 3개의 벌채시기가 확인되었다. 1600년대와 1800년대 벌채시기들은 조선왕족실록, 광해군일기, 창경궁영건도감의궤의 수리기록과 일치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1700년대 벌채시기는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아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은 수리기록을 연륜연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A Sample Design for Forestry Management Survey

  • Lee, Kay-O;Yoo, Jeongbi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3호
    • /
    • pp.739-751
    • /
    • 2001
  • In this paper, a sample design is studied for 2000 forestry management survey of five types forestry , tree felling, gathering of pine mushroom, growing of nut trees, growing of wild flowers, and lumbering industry. We introduce population stratification and a modified stratified cut-off sampling which deal with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sample allocation, and estimation of total and variance of estimator. Substitution of sample units and imputation of nonresponse units are discussed for reducing the nonsampling errors.

  • PDF

SNMP 기반의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방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Polling Architecture Design for SNMP)

  • 윤병수;김채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271-274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ile efficient polling architecture for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Now a day, tile internet traffic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within a few years as the subscriber's network to connect internet is provided commonly. With this trend, the network management traffics also make the same phases. To provide numerous higher Quality services to the customers, the management traffic must be controlled within the permitted limit. This paper proposes the policy-based felling architecture for SNMP MIB with several parameters and suggests the data collecting layer architecture for the efficient polling.

  • PDF

금속 알콕시드로부터 유리의 합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Glasses from Metal Alkoxide)

  • 최석진;김병훈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34
    • /
    • 1984
  • Basic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monolithic glasses from metal alkoxide has been done concerning gelling of silicon alkoxides and dehydration of those gells. The felling tim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Carbon number of alkyl radical of alkoxide and am-ount of water and the lower pH value of water. Large portions of water and organic materials were rem-oved below 25$0^{\circ}C$ and shrinkage of glass took place above 80$0^{\circ}C$ Therefore heating up to 25$0^{\circ}C$ and above 75$0^{\circ}C$ must be done gradually with rate of 0.5$^{\circ}C$/min.

  • PDF

서울 화계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en Elements in Daewoong-jeon of Hwagye-temple, Seoul, Korea)

  • 이광희;박창현;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26-33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서울 화계사 대웅전의 목부재에 대한 수종과 연륜연대분석을 진행하여 재질과 정확한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웅전 목부재(27점)의 수종은 대부분 소나무속 중 경송류로 식별되었고, 대보 1점만 전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시료 채취하였으며, TSA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크로스데이팅 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보와 기둥과 같은 구조재 20점들에 대한 최외각 연도는 1839년에서 1870년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수피가 존재하는 5점의 벌채연도는 1869년과 1870년으로 나타내어, 2012년 실측조사에서 종도리 복장물에서 확인된 중건기록(1870년)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직물의 구성특성과 냉온감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I ) -상대습도 $65\%$하에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tton Fabrics and their Cool-and-Warm Felling (I) - at $65\%$ Relative Humidity-)

  • 장지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2-163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eriment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tton fabrics and their cool-and-warm felling in order to develop more comfortable fabrics. Comfort in textile products has been emphasized as consumers preferred performance to fashion of clothing. Thermal comfort of clothing is a basic parameter of the comfort sensation which is usually represented by the cool-and-warm feeling felt by human skin. Cloo-and-warm feeling is perceived by the heat flux which transfers heat energy stored in an object to skin. We feel warm (cool) if the temperature of nerve extremity in skin ascends (descends). As cool-and-warm feeling determines the comfort sensation of clothing, it is important to develop new comfort fabrics. Although considerable works have been made on the body, clothing, and environment, there has been no research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abrics and their cool and warm feeling. Cool-and-warm feel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nsient heat transfer property. This research study used the cotton fabrics manufactured in Korea as sample and measured $q_{max}$ value with thermal property measuring instrument (Thermo-Labo II type). $q_{max}$ values estimated by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bserved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structural parameters of cotton fabrics for a specific range of $q_{max}$ valu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he thickness, porosity and air permeability of cotton fabrics increase, $q_{max}$ value decreases. 2) As the fabric count and over factor of cotton fabrics increase, $q_{max}$ value also increases. 3) $q_{max}$ values have been estimated by simple and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Regression curves which have been plotted by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s also provided with the range of structural parameters for a specific range of $q_{max}$ values of cotton fabrics.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structural Parameters for the cool-and-warm feeling of cotton fabric at $65\%$ relative humidity.

  • PDF

숲 가꾸기 임지의 소나무좀 발생과 후식 피해 (Secondary Damage and Adult Emergence of Pine Bark Beetle (Blastophagus piniperda) in Tended Forests)

  • 구관효;이정환;김종갑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8-264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1) emergence of pine bark beetles, 2) larval density in residual timber on Idlest land by each felling season, and 3) the secondary damage rates in the tended forest. Pine forest land which had undergone tending had a higher secondary damage ratio $(59.6\%)$ by pine bark beetles than forest land that was not tended $(2.8\%)$. The number of escape holes averaged 11.3 0.31 per $250 cm^2$ on the bark of leaf trees in the tended forest. The number of escape holes was higher in the Jinju site than in the Hamyang site. The larval habitat density of pine bark beetles as compared with each felling period was higher after mid-October than in forests tended early in October. Thus, forests should be tended before early October in order to prevent secondary damage from pine bark beetles. Secondary damage in the tended forest was higher in the upper part $(75.5\%)$ of the tree crown than in the lower part $(49.2\%)$. The damage was higher in terminal shoots $(80\%)$ than in lateral shoots $(48\%)$. Therefore, secondary damage by pine bark beetles can cause deterioration of the elongation growth of the forest trees. In conclusion, if by-products of tended pine forest forests are neglected, they will be utilized as a propagation site for pine bark beetles (Blastophagus piniperda L). The propagated adults will damage the tender shoots of the leaf trees and thus seriously limittheir elongation.

솔잎 혹파리의 생태조사(生態調査) (2) -하기벌채시기(夏期伐採時期)와 피해분포(被害分布)- (Studies on the Ecology of the pin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sis Uchida et Inouye) II -The summer Felling period and Distribution of infested degrees)

  • 고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0-44
    • /
    • 1968
  • 1. 가해기(加害期) 충영내(虫癭內) 솔잎혹파리유충(幼虫)은 7월초순(月初旬)부터 서서히 자라며 9월(月)부터는 급격(急激)히 자라난다. 2. 가해기간중(加害期間中)의 충영내(虫癭內) 솔잎혹파리 유충수(幼虫數)는 감소(減少)되지 않는다. 3. 솔잎혹파리의 피해엽(被害葉)은 충영(虫癭)이 형성(形成)되기 시작하면 길이 생장(生長)이 정지(停止)된다. 4. 서울지방(地方)에서 솔잎혹파리를 편제(騙除)하기 위한 하기(夏期) 벌채(伐採)는 종한시기(終限時期) 9월(月)20일경(日頃)이며 이 때의 유충체장(幼虫體長)은1.4~1.5mm이다. 5. 수관(樹冠)의 층위별(層位別) 방향별(方向別) 신초(新梢)의 길이별(別)에 따른 솔잎혹파리의 피해(被害)는 차이(差異)가 없으며 수령(樹令)과 산복위치(山腹位置)에 따라 피해도(被害度)의 차이(差異)가 있다.

  • PDF

벌채작업(伐採作業)에서의 작업강도(作業强度) 측정연구(測定硏究) -침엽수(針葉樹) 간벌림에(間伐林)서- (Studies on Working Intensity in Felling Operation of the Thinning Forest -In Thinning of Some Conifer Species-)

  • 박수규;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96-408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벌림 벌채작업에서 작업강도를 구명하여 산림작업을 성력화하며, 아울러 작업방법의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침엽수 간벌림에서 벌채작업을 요소작업으로 구분하여 순수작업시간과 맥박수를 측정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맥박수 측정 분석에서 전체 순수작업시간에서의 1분당 평균맥박수는 작업원 A의 경우 108로 나타났으며, 작업원 B의 경우 130, 작업원 C는 119, 그리고 작업원 D는 125로 나타났다. 2. 요소작업 구분별로 맥박수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1분당 맥박수가 가장 높을 때는 작업원 A의 경우 주위정리에서 115였고, 작업원 B는 이동에서 131, 작업원 C는 지타작업에서 122, 작업원 D는 현목처리에서 128로 나타났다. 3. 작업원별로 기준맥박을 100%로 보았을 때 작업강도는 작업원 A(기본맥박 61=100%)가 전체 작업강도 160%, 요소작업 구분중에서는 주위정리가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작업원 B(기본맥박 57=100%)의 전체 작업강도는 220%, 요소작업중에서는 이동이 229%로 가장 높았으며, 작업원 C(기본맥박 73=100%)의 경우에는 전체 강도는 159%, 요소작업중에서는 지타작업이 168%로 가장 높았고, 작업원 D(기본맥박 70=100%)는 전체 작업강도 156%, 요소작업중에서는 현목처리가 1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전체 작업강도를 나다내는 작업원에 따른 노동이행능력 한계점에서의 1분당 초과맥박수는 작업원 A의 경우 30, 작업원 B의 경우 207, 작업원 C는 14이며, 작업원 D는 67로 작업원 B가 가장 작업강도가 높아 신체적인 부담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목 및 단목 집재작업시스템에서 작업시간 및 공정 분석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Time and Productivity in Whole-tree and Cut-to-Length Logging Operation System)

  • 김민규;박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344-355
    • /
    • 2012
  • 임목수확작업시스템 구축과 효율적인 임목수확작업 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타워야더 및 스윙야더 등에 의한 전목집재작업시스템과 굴삭기 그래플 등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시스템의 작업시간 및 공정을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작업시간을 기준으로 분석한 1 cycle당 작업시간은 전목집재작업시스템에서 체인톱에 의한 벌목 46.6초/cycle, 타워야더에 의한 집재 480.6초/cycle, 스윙야더에 의한 집재 287.4초/cycle, 체인톱에 의한 조재 155.14초/cycle로 나타났다. 또 한 단목집재작업시스템에서는 체인톱에 의한 벌목 및 조재 225.65초/cycle, 굴삭기 그래플에 의한 단목집재 4,972초/cycle, 지엽집재 3,143초/cycle로 나타났으며, 바퀴식 미니포워더에 의한 소운재 4,688초/cycle, 굴삭기 그래플 및 소형운재차에 의한 소운재 2,118초/cycle로 나타났다. 전목집재작업시스템의 작업공정에서 체인톱에 의한 평균 벌목공정이 $57.89m^3$/일, 타워야더에 의한 평균 집재공정이 $20.3m^3$/일, 스윙야더에 의한 평균 집재공정이 $31.55m^3$/일, 체인톱에 의한 평균 조재공정이 $20.3m^3$/일로 나타났다. 또한, 단목집재작업시스템의 작업공정에서 체인톱에 의한 평균 벌목 및 조재공정이 $11.96m^3$/일, 굴삭기 그래플에 의한 평균 단목집재공정이 $34.75m^3$/일, 굴삭기 그래플에 의한 평균지엽수집공정이 $37.66m^3$/일, 굴삭기 그래플에 의한 평균 작업로의 개설공정이 73.8 m/일로 나타났으며, 바퀴식 미니포워더와 굴삭기 그래플 및 소형 운재차에 의한 평균 소운재 작업공정이 각각 $15.73m^3$/일과 $65.03m^3$/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