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eding preference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5초

번개매미충에 대한 벼의 품종저항성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Zigzag-Striped Leafhopper, Recilia (Inazuma) dorsalis Motschulsky(II))

  • 최승윤;송유한;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3-87
    • /
    • 1973
  • 번개매미충(Recilia (Inazuma) dorsalis MOTSCH.)에 대한 IRRI 선발 및 국내품종 또는 계통의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고 나아가 몇 가지 저항성기작을 검토코저 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uthumanikam, PTB-18, Su-Yai-20 및 Vellanl-angalayan은 저항성(R) 반응을 보였고 DV-139는 중도저항성(MR)의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그밖에 품종 또는 계통은 모다 감수성(S)으로 나타났다. 2. 식이선호성은 품종 또는 계통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저항성품종 Su-Yai 20, Vellanlangalayan에서 낮은 식이선호성을 나타내었고 감수성품종 Mudgo, Jaelrun, Jinheung, T(N) 1등은 높은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3. 산난선호성은 품종 또는 계통에 따라 역시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IR $747-B_2-6-3,$ T(N)1, Vellanlan galayan등은 비교적 산난선호성이 높았고 Pankari 203, Jaekun, Suweon 213은 비교적 낮았다. 그러나 산난선호성은 유묘의 저항성반응이나 식이선호성과 어떤 관계를 찾아 볼 수 없었다. 4. 저항성품종 Su-Yai-20, Vellanlangalayan, 중도저항성품종 DV-139는 100\%$의 약충기사충율을 보여 고도의 Antibiosis 현상이 나타났으며 부화약충 접종후 저항성품종 Vellanlangalayan에 서 는 1.8일만에, Su-Yai-20에서는 2.2일만에, 중도저항성품종 DV-139에서는 8.3일만에 100\%$의 사충률을 보여 주었다. 감수성품종에서도 충의 발육도에 있어서 품종 또는 계통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약충기간은 16.8일에서 19.8일의 분포를 보였으며 약충기간의 사충율은 $33.3-80.0\%$, 우화율은 $20.0-66.6\%$이었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항성기작은 번개매미충의 경우 식이선호성과 Antibiosis가 관계하며 산난선호성은 그 관계가 낮거나 아니면 없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PDF

기주식물 종류에 따른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DNA Polymorphism 비교 (Absence of DNA Polymorphisms in Myzus persicae (Homoptera: Aphididae) in Relation to their Host Plants)

  • H. J. Kim;K. S. Boo;K. H. Cho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9-215
    • /
    • 1996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은 두가지 서로 다른 기주선호성을 가지는데 이 기주선호성과 형태적 특징에 기초하여 담배진닷물(Myzus nicotinae Blackman)과 담배 이외의 다른 채소류에 서식하는 복숭아 혹진딧물(M. persicae)로 분류하였지만(Blachmean, 1987) 이 분류 방법에 동의하지 않는 학자들도 많다. 이런 이유로 RAPD-PCR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에 서식하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하여 그들의 2차 숙주선호성에 따른 DNA의 변이 정도를 살펴보았다. 실험곤충으로는 담배와 배추에서 채집하여 사육한 진딧물 각 4 clones 씩을 사용하였다. 각 clone은 한 개체를 사육하여 얻은 자손들과 그들의 후손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육한 진딧물에서 핵 DNA를 추출하고, 10개 nucleotide 길이의 random primer 100가지를 사용하여 PCR한 후 1 % agarose gel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였다. 사용한 100종류의 random primer 중 83가지에서 DNA 단편이 합성되었다. 증폭된 1개의 primer당 단편의 수는 1개에서 22개였고 평균 단편 수는 약 13개였으며, 각 각 단편의 길이는 500에서 20,000 base pair사이에 분포하였다. 82가지 primer의 경우에 일부 단편의 짙기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단편종류의 분포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한가지 primer경우에만 담배섭식형 1개 c clone에서 다른 7가지 clones에 없는 band가 1개 나타났다. 이때 나머지 7 clones의 단편 분포 형태는 모두 동일하였다. 따라서 이 band는 숙주 선호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 실험에 사용한 100종류의 primer에 기초하여 RAPD-PCR기법으로 DNA를 증폭한 결과 복숭아혹진딧물의 숙주선호성이 개체군간의 유전적인 차이점에 기인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

  • PDF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 급여가 돈육 삼겹살의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Fermented Food Wastes on Consumer Acceptability of Pork Belly)

  • 박홍양;박근규;정영철;이의수;양시용;임병순;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6-392
    • /
    • 2004
  • 본 연구는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 급여가 돈육의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국내에서 가장 소비가 많이 되고 있는 삼겹살 부위를 이용하여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암퇘지 삼겹살의 경우 생육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신선도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식 후 소비자 관능특성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 에 차이 가 없었다. 거세돈 삼겹살의 경우 생육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지방량을 제외하고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식 후 소비자 기호도도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생육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육색을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식 후의 소비자 관능특성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시험구(FFWF)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선호도에 있어서는 암퇘지의 경우 대조구가 시험구(FFWF)에 비하여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거세돈의 경우 시식 전 생육에 있어서는 시험구(FFWF)가 대조구에 비하여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시식후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두 처리구 간의 선호도는 생육과 시식 후 모두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돼지 삼겹살의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의 돼지사료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보리와 둑세풀에 대한 애멸구$\cdot$끝동매미충의 기주 선택성(제1보) (Host Preference by the Small Brown Planthopper and Green Rice Leafhopper on Barley and Water Foxtail (I))

  • 최승윤;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79-184
    • /
    • 1976
  • 봄철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기주선택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태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애멸구 약충은 둑새풀이나 벼에 비하여 보리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고 둑새풀과 벼사이에는 별 차이없이 식이선호성이 낮았다. 끝동매미충 약충은 벼 보다는 독새풀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었다. 2. 보리, 둑새풀 및 벼에 대한 애멸구의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간에 차이가 없었고 끝동매미충은 벼에 비하여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산란선호성이 현저히 낮았다. 3. 애멸구는 보리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고 우화율이 높았으나 둑새풀에서는 발육이 늦고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끝동매미충은 보리에서는 약충기 사충율이 $100%$로서 한마디리로 우화하지 못하였으며 둑새풀은 벼에 비하여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4. 보리에서 사육한 애멸구 성충의 평균수명과 평균산란수는 각각 32일 182개인데 비하여 둑새풀에서 사육한 것은 성충의 수명이 9일이었고 산란수는 불과 13개이었다. 둑새풀에서 사육한 끝동매층은 성충의 평균 수명은 15일, 평균산란수는 24일기이었다. 5. 벼 진흥의 유묘에서 얻어진 애멸구, 끝동매미충 성충을 보리와 둑새풀에 옮겼을 때 애멸구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27일, 둑새풀에서 9일이었으며 끝동매미층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8일, 둑새풀에서 12일이었다. 6. 월동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증식 가능 여부면에서 볼 때 애멸구는 보리를 좋은 기주식물로서 선택하나 독새풀은 그렇지 않으며 보리는 끝동매미충의 기주식물로서 그 가치가 낮아 세대의 증식이 크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

  • PDF

북방수염하늘소의 산란부위 및 식이 선호성 (Oviposition and Feeding Preference in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 박용철;김종국;조세열;신상철;정영진;원대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14-418
    • /
    • 2007
  • 북방수염하늘소의 산란흔은 잣나무의 산란가지 상부(햇빛을 바로 받는 부위)에서 $3.3{\pm}3.6$개, 하부(지면을 향하는 부위)에서 $16.3{\pm}13.9$개로 하부를 선호하여 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흔과 실제 부화 유충 수를 비교 한 결과 실험실 산란목의 산란흔은 $64.7{\pm}23.8$개였고, 유충 수는 $18.8{\pm}10.0$마리였다. 반면, 야외 산란목의 산란흔은 $63.6{\pm}31.1$개 였고, 유충 수는 $2.0{\pm}2.6$마리 였다. 잣나무 내수피와 목질부를 함께 공급한 유충들은 체중이 증가 하며 발육상태가 정상이었으나 목질부만 공급한 유충들의 경우 체중이 감소 하며 발육상태는 불량 하였다. 그러나 목질부만 급여한 유충들에게 잣나무 내수피를 함께 공급한 결과 몸무게와 발육상태가 회복 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지방체를 이용한 Esterase 활성 실험에서는 잣나무 내수피와 목질부를 함께 먹인 유충에서 Est1이 강한 활성을 나타냈다.

학교급식에서 편식 아동의 식생활 양상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 김영희;서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3호
    • /
    • pp.345-35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Children who eat only what they lik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is surve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food intake frequencie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a total of 160 children : 92 male students(unbalanced-diet group, 46; control group, 46), and 68 female students(unbalanced-diet group, 34; control group, 3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tion knowledge between the unbalanced-die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ietary behavior of control group turned out to be more desirable than that of the unbalanced-diet group. In addition, 68.7% of the unbalanced-diet group and 13.8% of the control group hated to eat vegetables. The result of food intake frequency indicates that the control group turned out to be higher in their intake of fish, cereals, vegetables, seaweeds, fats & oils and Kimchi compared with unbalanced-diet group. Intake frequency of minerals and vitamins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balanced-diet group. On the other hand, the unbalanced-diet group turned out to be higher in sugar intake. Children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 of fruits. The unbalanced group turned out to prefer sugar and beverage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irable dietary habits of children should be formed with the help of nutrition education designed for behavior modification.

  • PDF

Feeding Acacia saligna to Sheep and Goats with or without the Addition of Urea or Polyethylene Glycol

  • Krebs, G.L.;Howard, D.M.;Dods,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1551-1556
    • /
    • 2007
  •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PEG) or urea supplementation in sheep and goats fed a basal diet of Acacia saligna and wheat straw. The 3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trol: ad libitum A. saligna+ 400 g/d wheat straw (95% DM) (basal diet); (2) Basal diet+50 g/d PEG 4000; and (3) Basal diet+1% (on a DM basis) urea sprayed onto the straw and A. saligna 30 min prior to feeding. All animals maintained live weight, regardless of the dietary treatment. All sheep readily consumed the A. saligna in preference to straw. In sheep both DMD and OMD were higher (p<0.05) where PEG was included in the diet compared to the other two treatments. Contrary to findings by other resear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MI, DMD or OMD between sheep and goats in corresponding treatment groups. All animals were in positive N balance. For both sheep and goats, rumen ammonia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with the use of either urea or PEG. In these groups the maximum ammonia concentrations exceeded 50 mg/L, considered the minimum required to maximise microbial growth. This threshold, however, was exceeded only for a period of 8-11 h. Of those measured, rumen ammonia levels were generally the highest at 4 h post feeding. None of the measurements of rumen ammonia for the control group approached 50 mg/L. It is unclear how and why feed intake and live weight were maintained when rumen ammonia levels were often sub-optimal.

Do the Different Reasons for Lactation Discontinuation Have Similar Impact on Future Breast Problems?

  • Ghadiri, Fereshteh;Iranpour, Negar;Yunesian, Masud;Shadlou, Zahra;Kaviani, Ahm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6147-6150
    • /
    • 2013
  • Background: Breast feeding is considered to be mutually beneficial for both mothers and infants, though the effect of lactation problems on development of breast lesions (whether benign or malignant) is not clea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ossible relations between lactation problems and benign and malignant breast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308 patients referred to two referral breast clinics in Tehran, the capital city of IR Iran, between January 2008 and January 2011, were recruited. They were interviewed by a standard questionnaire regarding breast feeding problems. The study population was classified in 3 major groups; breast feeding without any problem, unwillingness to breast feed according to whether mothers' preference not to feed or some breast problems like mastitis, and finally insufficient milk that caused the mothers to feed their babies with formula. Results: Recruit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mother's unwillingness to feed her child by breast milk, and also breast problems such as mastitis and abscess during lactation period showed significant relation with both benign and malignant breast diseases (p value<0.01). Surprisingly, inadequate milk was not associated with any of these conditions.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lactation problems which involve normal milk drainage from the breas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whether the mother wll subsequently develope both benign and malignant pathologies. In contrast in the situation that the production of the milk is not sufficient and there are no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problems in drainage of the produced milk, future problems would not be more common.

한방병원 산후조리센터 내 신생아의 Rota Virus 감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for Rota Virus Infection of Neonate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Postpartum Care Center)

  • 이정림;하광수;하수연;송인선;김선미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5-126
    • /
    • 2005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ota virus infection of neonate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Methods : This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205 neonates who admitted to the Postpartum Care Center of ${\bigcirc}{\bigcirc}$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July, 2004 to July, 2005. Stools were examined daily with Rotazyme ELISA tests(Bio Line Rota Virus, SD Standard Diagnostics, INC.) for 3 days from the day of admission. Supplementary test was examined when change was found in stools. Results : Among 205 newborn babies, 58 cases turned out to be positive. The positive rate of rota viru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birth weight, gestation age. But, i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livery method and it was higher in caesarean section group. The manifestation rates of symptoms were 51.7% in Rotazyme positive neonates. In the Rotazyme positive 58 cases, 30 cases(51.7%) had diarrhea, 8 cases had fever(13.8%), 1 case(1.7%) had vomiting. The positive rate of rota virus was higher during from october to march. There were 190 cases(92.2%) of mixed feeding and 15 cases(7.8%) of artificial feeding. There was significance between breast feeding and the positive rate of rota virus.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hospital of birth and the rate of positive rotazyme test. Conclusions : A further study of neonates in postpartum care center is necessary as preference of postpartum care center was increased. And the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f rota virus IS expected to be effective, so a further study is necessary.

  • PDF

Feeding Preference, Nymphal Development Time, Bodyweight Increase, and Survival Rate of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rnberg) (Hemiptera: Alydidae), on Soybean Varieties

  • Choi, Man-Young;Lee, Geon-Hwi;Paik, Chae-Hoon;Seo, Hong-Yul;Oh, Young-Jin;Kim, Du-Ho;Kim, Jae-Duk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87-292
    • /
    • 2005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선호도가 가장 낮은 콩 품종은 시험에 이용된 25품종 중 광안콩, 남해콩, 서남콩, 소록콩, 안평콩 등 5품종이었다 그 다음으로 선호도가 낮은 품종은 풍산나물콩 등 7품종 이었으며, 명주나물콩과 은하콩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선호도가 비교적 높은 품종으로 3령약충기 일일발육량이 각각 14.9 mg과 13.9 mg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풍산나물콩에서는 일일발육량이 10.1 mg으로 나타났으며, 약충의 발육기간도 명주나물콩과 은하콩에 비해 3일 정도 긴 $24.5{\pm}2.1$ 2.1일이었고, 생존율은 명주나물콩과 은하콩에 비해 약간 낮은 83%로 나타났다. 생존율과 선호성 일일발육량 등을 비교해보면 풍산나물콩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해 비선호성에 따른 저항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