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t Preference by the Small Brown Planthopper and Green Rice Leafhopper on Barley and Water Foxtail (I)

보리와 둑세풀에 대한 애멸구$\cdot$끝동매미충의 기주 선택성(제1보)

  • Choi S. 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 R.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최승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 이형래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76.12.01

Abstract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larity the early-spline host·selectivity by the small brown planthopper(SBPH),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and green rice Leafhopper(GLH), Nephotettix cincticeps Uhle., on the bailey (the variety Suweon #18) and water foxtail (Alopeculus aequadis Sosbol). The host selectivity was evaluated on the bases of feeding and ovipositional perferences of the insects on the plants and their biological effects on the plants. The nymphs of SBPH much more preferred barley for feeding than water forxtail, while the nymphs of GLH relatively prefered water foxtai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ipositional preference by SBPH among the test plants, and ovipositional preference by GLH Ivas significantly lower on barley and water foxtail than on rice. Nymphal growth an4 adult emergence of SBPH were significantly faster and higher on barley than on water foxtail. No adult emergence of GLH was observed on barley, and adult emergence was still quite lower even on water foxtail. The adult of SBPH fed on barley showed longer longevity aad higher fecundity than that of SBPH from water foxtail and rice. The adult GLH fed ell water foxtail shorted relatively shorter longevity and to)ver fecundity than that of GLH on rice. In conculsion, barley seems to be more adequate for spring host of SBPH than water foxtail, but barley may not be quite adequate for spring host of GLH. At presont moment, GLH seems rather to primarily select the water foxtail than barley as a spring host, even if the water foxtail is not so adequate for development of GLH.

봄철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기주선택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태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애멸구 약충은 둑새풀이나 벼에 비하여 보리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고 둑새풀과 벼사이에는 별 차이없이 식이선호성이 낮았다. 끝동매미충 약충은 벼 보다는 독새풀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었다. 2. 보리, 둑새풀 및 벼에 대한 애멸구의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간에 차이가 없었고 끝동매미충은 벼에 비하여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산란선호성이 현저히 낮았다. 3. 애멸구는 보리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고 우화율이 높았으나 둑새풀에서는 발육이 늦고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끝동매미충은 보리에서는 약충기 사충율이 $100%$로서 한마디리로 우화하지 못하였으며 둑새풀은 벼에 비하여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4. 보리에서 사육한 애멸구 성충의 평균수명과 평균산란수는 각각 32일 182개인데 비하여 둑새풀에서 사육한 것은 성충의 수명이 9일이었고 산란수는 불과 13개이었다. 둑새풀에서 사육한 끝동매층은 성충의 평균 수명은 15일, 평균산란수는 24일기이었다. 5. 벼 진흥의 유묘에서 얻어진 애멸구, 끝동매미충 성충을 보리와 둑새풀에 옮겼을 때 애멸구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27일, 둑새풀에서 9일이었으며 끝동매미층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8일, 둑새풀에서 12일이었다. 6. 월동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증식 가능 여부면에서 볼 때 애멸구는 보리를 좋은 기주식물로서 선택하나 독새풀은 그렇지 않으며 보리는 끝동매미충의 기주식물로서 그 가치가 낮아 세대의 증식이 크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