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cted sliding distanc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소파케이슨 방파제의 기대활동량 산정 (Calculation of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Wave Dissipating Caisson Breakwater)

  • 김동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3-220
    • /
    • 2005
  • 소파케이슨 방파제의 기대활동량 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소파케이슨의 활동량 산정을 위해 필요한 파력의 시계열은 기존에 개발된 소파케이슨의 정적 파력모델을 동적으로 확장하여 개발하였다. 충격파와 중복파의 구성은 지속시간 및 최대파력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제안방법에 의한 소파케이슨의 1파에 대한 활동량 및 50년간의 기대활동량을 직립케이슨에 적용하는 기존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고결과 제안방법에 의한 소파케이슨의 활동량은 기존방법을 적용할 때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케이슨 방파제의 허용활동량 초과확률 (Exceedance probability of allowable sliding distance of caisson breakwaters in Korea)

  • 김승우;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95-507
    • /
    • 2009
  • 케이슨 방파제의 사용년수 동안의 기대활동량은 방파제의 안정성 평가 기준으로서 한계점이 있다. 기대활동량은 사용년수 동안의 모의 활동량의 평균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제 활동량은 평균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허용활동량에 대한 초과확률을 산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초과확률을 산정하기 위해 Latin Hypercube sampling과 Crude Monte Carlo simulation을 사용하였다. 또한 확률변수의 분포함수로 정규 분포가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절단정규분포를 사용하였다. 정규분포를 사용한 경우의 모든 한계상태에서 옥계항, 화순항, 동해 NI의 보강 전 단면은 불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이중절단정규분포를 적용한 경우에서 보수가능 한계상태의 화순항과 모든 한계상태의 동해 NI의 보강 전 단면만 불안정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안정성 평가 기준으로 기대활동량이 가지는 단점을 발견하였고 허용활동량에 대한 초과확률을 이용하여 국내 케이슨 방파제의 활동에 대한 안정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중절단정규분포의 적용을 통한 케이슨 방파제 기대활동량 평가의 향상 (Improved Estimation for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Caisson Breakwaters by Employment of a Doubly-Truncated Normal Distribution)

  • 김태민;황규남;타카야마 토모츠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21-231
    • /
    • 2005
  • 본 연구는 기대활동량을 이용하는 케이슨 방파제의 신뢰성 설계법(레벨 III)에 대한 연구로서, 기대활동량의 향상된 평가를 위해 지금까지 이용되어온 정규(가우스)분포 대신 이중절단정규분포의 사용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 개념에 근거한 기대활동량의 계산과정에서 Monte-Carlo모의 기법을 통한 불확정요소들의 영향을 반영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중절단정규분포가 적용되어야만 하는 명확한 근거가 제시되며, 또한 기대활동량 평가시의 이중절단정규분포의 적용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슨 방파제만을 대상으로 이중절단정규분포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중절단정규분포의 적용은 다양한 해안구조물 및 타 공학 분야에도 적극 활용될 수 있으므로 향후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확산모수와 제이슨방파제 기대활동량을 이용한 개정 설계파 분석 (Assessment of New Design Wave by Spread Parameter and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Caisson Breakwater)

  • 김동현;윤길림;심재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6-150
    • /
    • 2007
  • 개정설계파의 극치분포를 확산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케이슨방파제 기대활동량 산정을 통하여 확산모수가 방파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확산모수가 통상적 값보다 클 때 극치분포함수를 이용해 발생시킨 년최대 유의파 중에서 50년 빈도 설계파보다 매우 큰 이례적인 파가 발생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개정설계파의 확산모수는 외국사례와 비교한 결과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며 방파제 기대활동량 평가시 결정론적 안전율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도 매우 큰 활동량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대 총 건설비 및 허용 활동량을 고려한 방파제 케이슨의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Breakwater Caisson Considering Expected Total Construction Cost and Allowable Sliding Distance)

  • 김경숙;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0-2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직립 방파제 케이슨의 활동량 산정 모델과 케이슨 복구비용 계산 모델을 결합하여 기대 총 건설비 산정 모델을 수립하였다. 직립 방파제 케이슨의 최적 단면은 활동량의 허용 범위 내에서 기대 총 건설비가 최소가 되는 단면으로 정의된다 활동량의 허용 범위는 방파제 수명 동안의 기대 활동량을 0.1m로 하는 경우와 방파제 수명 동안의 누적 활동량이 0.3 m를 초과하는 확률을 0.1 이내로 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또한 할인율 개념을 도입하여 미래 가치로 산정된 복구비용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였다. 작은 재현주기에 대해서 설계된 케이슨의 경우 잦은 복구 활동으로 인해 할인율을 적용했을 때의 기대 총 건설비용이 할인율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작아진다. 수심이 얕을 때 본 설계법이 기존의 결정론적 설계법보다 더 작은 단면을 요구하여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수심이 얕을 때는 전술한 활동량 허용 기준들이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깊은 수심에서는 전자가 후자보다 더 큰 단면을 요구한다.

장기간의 항만 폐쇄와 일시적 운영 중단이 직립 방파제 케이슨의 최적 설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Term Harbor Shutdown and Temporal Operational Stoppage upon Optimal Design of Vertical Breakwater Caisson)

  • 서경덕;김덕래;김경숙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3-12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직립 방파제 케이슨의 활동에 따른 복구비용, 과도한 케이슨 활동 발생시 항만 폐쇄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그리고 월파에 의한 일시적 작업 중단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는 기대 총 건설비 산정 모델을 수립하였다. 발생시점이 서로 다른 피해 비용을 일정한 기준으로 산정하기 위해 할인율을 적용하였다. 케이슨의 최적 단면은 방파제 수명 동안의 기대 활동량의 허용범위 내에서 기대 총 건설비용이 최소가 되는 단면으로 정의되며, 그 기대 활동량의 허용치는 0.3 m와 0.1 m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살펴보았다. 과도한 케이슨 활동에 의한 항만 폐쇄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과 그 산정 기준이 케이슨 복구비용이나 월파에 의한 작업 중단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보다 최적 단면 결정에 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항만 폐쇄에 대한 케이슨 활동량의 임계 칼이 커질수록 케이슨의 최적 단면은 기대 총 건설비의 최소점보다 기대 활동량의 허용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한 직립방파제 콘크리트 케이슨의 기대활동량 산정 (Calculation of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Concrete Caisson of Vertical Breakwater Considering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 홍수영;서경덕;권혁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Shimosako and Takashi(1999)가 직립방파제 케이슨의 기대활동량을 계산하기 위해 개발한 신뢰성 설계법을 방향 불규칙파의 방향 분산, 심해 설계주파향이 해안선에 직각 방향과 이루는 각도, 심해 주파향의 설계치에 대한 변동 등과 같은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심해로부터 방파제 설계 위치까지의 파랑변형을 계산하기 위하여 Shimosako and Takahashi는 평행한 등심선을 갖는 직선 해안에 직각으로 입사하는 일방향 불규칙파를 가정하여 Goda(1975)가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향 불규칙파의 변형을 계산하기 위하여 Kweon et al.(1997)이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파랑의 방향분산 및 심해 주파향의 변동에 의한 영향은 별로 크지 않은 반면에, 심해 설계주파향이 해안선에 직각 방향과 이루는 각도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커서, 이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대활동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우리나라 동해안 일부 지역의 현장 자료를 이용한 경우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했을 때의 기대활동량이 이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약 1/3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파랑변형 계산을 위하여 Goda 모형을 사용하는 경우 무시되는 굴절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하여 계산된 유의파고를 일률적으로 6% 감소시키는 것은 심해 설계주파향이 약 20$^{\circ}$인 경우에 적합한 값이며, 심해 설계주파향이 보다 작은 경우에는 6%보다 작은 값을, 보다 큰 경우에는 6%보다 큰 값을 사용해야 한다. 케이슨의 기대활동량을 30cm로 설계할 경우 수심이 약 25 m 이하의 지역에서는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기존의 결정론적 설계보다 최대 약 30% 정도까지 케이슨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동해안 일부 지역의 현장 자료를 사용하여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할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최대 약 10% 정도까지 케이슨의 소요 폭이 감소하며, 고려한 전 수심 구간(10∼30 m)에서 결정론적 설계보다 작은 케이슨 폭이 요구된다.

유공케이슨 방파제의 활동에 대한 설계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Design Methods for Sliding of Perforated-wall Caisson Breakwater)

  • 김남훈;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267-27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무공케이슨 방파제에 대하여 개발된 성능설계법을 유공케이슨 방파제로 확장하여 적용하였다. 확장된 계산 모형은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수행한 수리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케이슨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방파제 수명 동안의 누적활동량의 평균으로 정의되는 기대활동량과 누적활동량이 일정한 허용치를 초과할 확률을 산정하여 케이슨의 안정성 평가에 사용하였다. 기대활동량과 초과확률 모두 수심이 감소함에 따라 쇄파대 안쪽에서는 증가하며, 바깥쪽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안전율에 기초한 결정론적 설계법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성능설계법의 설계기준에 따라 경제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용기대활동량과 초과확률이 극한 한계상태를 만족할 경우 쇄파대 바깥쪽에서는 성능설계법이 결정론적 설계법보다 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쇄파대 안쪽에서는 비슷한 경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구가능한계상태를 만족할 경우 성능설계법이 결정론적 설계법보다 더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에폭시 기지 나노복합재료의 마모 특성 (Wear Properties of Epoxy Matrix Nanocomposites)

  • 김재동;김형진;고성위;김영식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3-88
    • /
    • 2010
  • The wear behavior of epoxy matrix composites filled with nano sized silica particles is discussed in this paper. Especially, the variation of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wear resist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apply load and sliding velocity were investigated for these materials. Wear tests of pin-on-disc mode were carried out and the wear test results exhibited as following ; The epoxy matrix composites showed lower coefficient of friction compared to the neat epoxy through the whole sliding distance. As increasing the sliding velocity the epoxy matrix composites indicated lower coefficient of friction, whereas the neat epoxy showed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as increasing the sliding velocity. The specific friction work of both materials were increased with apply load. In case of the epoxy matrix composites, the running in periods of friction were reduced as increase in apply load. The epoxy matrix composites were improved the wear resistance by adding the nano silica particles remarkably. It is expected that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the epoxy matrix composites will be improved by increase of Pv factor.

급속응고된 Al-Pb-Cu-Mg 합금의 마모특성에 미치는 미세조직의 영향 (Effect of the Microstructrure of Rapidly Solidified Al-Pb-Cu-Mg on the Wear ProPerty)

  • 김홍물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18
    • /
    • 2000
  • Effects of the microstrucrure of rapidy solidified Al-Pb-Cu-Mg alloys on the wear investigated. In order to overcome the miscility gap between Al and pb under equilibrium conditions, both in the solid and the liquid states, the alloy were rapidy solidifies to produce them in a segregation-free condition. Although the Pb particles showed relatively fine dispersion in the Al matrix in all the alloys by this process. the Al-16Pb alloy was found to have the most favorable microstructure with discretre with discrete Pb particles of abount 0.5 ${\mu}$m in size. With the addition of Cu and Cu-Mg to Al-16Pb, cellular structures were newly formed; not seen in the binary Al-Pb alloy. Wear properties of the Al-Pb binary alloys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sliding speen, sliding distance, and applied load showed that the Al-16Pb alloy has the best wear resistance, as expected from the fine microstructural features in this alloy. The were resistance of the alloy containing Cu-and Cu-M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l-16Pvb alloy, due to matrix strengthening by precipitation hardeing. The wear mechanism was identified by examining the traces and wear debr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