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response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2초

옥수수 일차뿌리에서 TIBA가 brassinolide에 의해 유도된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BA on the Brassiolide-induced Gravitropic Response in the Primary Roots of Maize)

  • 강병희;박지혜;김종식;장수철;김성기;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39-1144
    • /
    • 2009
  • 옥수수 뿌리에 BL을 처리하면 양성굴중성 반응이 촉진되고, ethylene 생성도 증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BL에 의해 유도된 굴중성 반응과 ethylene 생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ethylene 생성 억제제인 $10^{-4}$ M AVG를 처리하면 ethylene 생성은 90% 이상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13% 정도 억제되었다. AVG를 BL과 함께 처리한 뿌리는 ethylene 생성은 약 60%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대조구 보다 증가하였다. 다른 ethylene 생성 억제제인 cobalt ion을 처리하면 ethylene 생성은 약 10% 정도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억제되지 않았다. BL과 cobalt ion을 함께 처리한 뿌리는 ethylene 생성이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증가되었다. 이러한 BL의 효과가 auxin transport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uxin transport inhibitor인 TIBA를 처리하였다. $10^{-5}$ M TIBA와 BL과 TIBA를 함께 처리한 경우(BL+TIBA), ethylene 생성은 각각 96%, 132% 증가하였으나 굴중성 반응은 모두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BL, TIBA 그리고 IAA를 함께 처리한 뿌리 (BL+TIBA+IAA)는 음성굴중성 반응을 나타냈으나 뿌리 생장은 오히려 증가시켰으며, 이는 수평으로 있는 뿌리에서 IAA가 아랫면으로 transport 되지 못하고 윗면에 축적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BL이 뿌리 내에 존재하는 IAA의 차등분포에 영향을 주어 양성굴중성 반응을 촉진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Ranunculus sceleratus 엽병의 에틸렌 매개 생장반응조절에 있어서 Spermine의 관여 (Involvement of spermine in Control of Ethylene-Mediated Growth Response in Ranunculus sceleratus Petioles)

  • 정미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25-429
    • /
    • 1992
  • Ranunculus sceleratus 엽병의 세포 신장은 에틸렌에 의하여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옥신을 처리한 엽병조직 절편에서 spermine은 세포 신장과 에틸렌의 생성을 비슷한 양상으로 억제하였다. Spermine 농도에 대한 오옥신 유도 에틸렌 생성 억제반응은 ACC에 의한 에틸렌 생성의 경우도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폴리아민이 ACC가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오옥신 유도 에틸렌 생성은 폴리아민 생합성 억제제인 DFMA아 DFMO에 의하여 각각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DFMA에 의한 에틸렌 생성의 증가는 spermine을 고농도로 처리하므로써 완전히 소멸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오옥신과 에틸렌에 대한 Ranunculus의 세포성장 반응에서 내생 폴리아민이 조절 역할을 수행한다는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 PDF

Effect of Colchicine on the Growth and Gravitropic Response via Ethylene Production in Arabidopsis Roots

  • Kim, Seon Woong;Park, Arom;Ahn, Dong Gyu;Kim, Soon 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7-603
    • /
    • 2018
  • Inhibitory effect of colchicine on growth and gravitropic responses in Arabidopsis root was explored to find whether there was an involvement of ethylene production. It has been known that cytoskeleton components are implicated in sedimentation of statoliths to respond to gravitropism and growth. The root growth was inhibited by 25% and 40% over control for 8 hr treatment of colchicine at a concentration of $10^{-5}M$ and $10^{-7}M$, respectively. The roots treated with colchicine at the concentration of $10^{-7}M$ showed the same pattern as control in 3 hr, however, gravitropic response was decreased in the next 5 hr. The colchicine treatment at the concentration of $10^{-5}M$ inhibited the gravitropic response resulting in $60^{\circ}$ of curva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colchicine, the production of ethylene was measured with and without the treatment of colchicine. Colchicine increased the ethylene production by 20% when compared to control via the activation of ACC oxidase and ACC synthas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of the growth and gravitropic responses of Arabidopsis roots by the treatment of colchicine could be attributed to the rearrangement of microtubule, and increase of ethylene production.

Ethylene-Induced Auxin Sensitivity Changes in Petiole Epinasty of Tomato Mutant dgt

  • 장수철;이명숙;이상만;김진석;강빈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257-262
    • /
    • 1994
  • The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mutant diageotropica (dgt) lacking normal gravitropic response is known to be less sensitive to auxin compared with its isogenic parent VFN8. Straight growth as well as ethylene production in response to added auxin in hypocotyl segments of dgt was negligib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otypes in auxin transport in petiole segments and its inhibition by the phytotropin N-1-naphthylphthalamic acid(NPA). Kinetic parameters of NPA binding to microsomal membranes were also non-distinguishable between the two. Its petiolar explants treated with ethylene developed epinastic curvature with the magnitude of response increased about 3 folds over non-mutant wild type. Ethylene-induced epinasty in both dgt and VFN8 was nullified by treatment of explants with the ethylene autagonist 2,5-norbonadiene. Lateral transport of 3H-IAA toward the upper side of ethylene-treated petioles in dgt, however, was not significantly more pronounced than in VFN8, the implications being that auxin sensitivity in the mutant was restored, or even rised above the wild type, by ethylene.

  • PDF

Differential Response of Etiolated Pea Seedlings to Inoculation with Rhizobacteria Capable of Utilizing 1-Aminocydopropane-1-Carboxylate or L-Methionine

  • Shaharoona, Baby;Arshad, Muhammad;Khalid, Azee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15-20
    • /
    • 2007
  • The majority of soil microorganisms can derive ethylene from L-methionine (L-MET), while some rhizobacteria can hydrolyze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due to their ACC-deaminase activity. In this study, three strains having either ACC-deaminase activity (Pseudomonas putida biotype A, $A_7$), or the ability to produce ethylene from L-MET (Acinetobacter calcoaceticus, $M_9$) or both (Pseudomonas fluorescens, $AM_3$) were used for inoculation. The highly ethylene specific bioassay of a classical 'triple' response in pea seedling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oculation with the rhizobacteria in the presence of 10 mM ACC or L-MET. The exogenous application of ACC had a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 on the etiolated pea seedlings in creating the classical 'triple' response. The inoculation with P. putida diluted the effect of ACC, which was most likely due to its ACC-deaminase activity. Similarly, the application of $Co^{2+}$ reduced the ACC-imposed effect on etiolated pea seedlings. In contrast, the inoculation of A. calcoaceticus or P. fluorescens in the presence of L-MET caused a stronger classical 'triple' response in etiolated pea seedlings; most likely by producing ethylene from L-MET. This is the first study, to our knowledge, reporting on the comparative effect of rhizobacteria capable of utilizing ACC vs L-MET on etiolated pea seedlings.

Arabidopsis 피토크롬 돌연변이체(phyAB)의 뿌리 굴중성 반응 (Root Gravitropic Response of Phytochrome Mutant (phyAB) in Arabidopsis)

  • 우순화;오승은;김종식;;;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8-153
    • /
    • 2008
  • Arabidopsis의 피토크롬 2중 돌연변이형 (phrAB)은 야생형 (WT)과 비교하여 뿌리의 굴중성 반응이 지연되었다. 중력 자극을 받은 지 8시간 후에 돌연변이체의 굴중성 반응은 야생형의 48%를 나타내었다 지연된 반응은 중력 자극을 준 후 1.5 시간 뒤에 나타났다. 12시간 동안 야생형과 돌연변이형의 뿌리 절편에서 에틸렌 생성을 측정하였다. 돌연변이형의 에틸렌 생성은 12시간이 경과한 후에 야생형의 40% 정도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피토크롬이 에틸렌 생성과 연관되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틸렌은 식물의 뿌리나 줄기를 억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 전구체인 1-aminocycloprpane-1-carboxylic acid (ACC)를 처리하여 뿌리의 생장을 측정하였다. 야생형은 ACC 존재하에 뿌리 생장이 억제되었으나, 돌연변이형은 야생형만큼 억제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CC 존재하에 굴중성 반응을 측정한 결과, 야생형은 ACC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37.4%의 억제를 나타냈으나, 돌연변이형은 ACC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6.6%만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피토크롬이 에틸렌 생성을 통하여 뿌리 굴중성 반응을 조절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Oryzalin이 애기장대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작용 (The Effect of Oryzalin on Growth and Gravitropism in Arabidopsis Roots)

  • 고진규;박선일;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9-114
    • /
    • 2021
  • Oryzalin은 미세소관의 배열을 방해하는 dinitroaniline계 제초제이다. 미세소관과 미세섬유는 식물 세포 생장에 관여하는 세포벽을 구성하는 골격 성분이다. 또한 미세소관은 평형석의 침전에도 관여하는데, 이는 뿌리 끝에 있는 columella 세포에서 중력 인지를 조절한다. 본 연구는 애기장대 뿌리에서 에틸렌 생성을 통하여 oryzalin이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4 M oryzalin을 뿌리에 처리하면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을 조절하는 oryzalin의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애기장대 뿌리 절편에서 ethylene 생합성을 측정하였다. Oryzalin을 처리하면 ACC oxidase와 ACC synthase을 활성을 촉진하여 에틸렌 생성이 촉진되고, 증가된 ethylene은 미세소관의 배열을 변화시켜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을 억제한다.

옥수수 일차뿌리에서 oryzalin이 굴중성 반응과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ryzalin on the Gravitropic Response and Ethylene Production in Maize Roots)

  • 김충수;티모시 멀키;김종식;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23-1229
    • /
    • 2015
  • Oryzalin은 미세소관을 분열시키는 dinitroaniline계의 제초제이다. 미세소관과 미세섬유는 평형석 침강과 세포벽을 구성하는 세포골격들이다. 평형석은 뿌리 끝에 있는 columella 세포에서 중력 인지 조절을 한다. 본 연구는 oryzalin이 옥수수 일차 뿌리에서 ethylene 생성을 통하여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뿌리 끝 부분에 10-4 M oryzalin의 처리는 뿌리 성장과 굴중성 반응을 저해하였으나, 신장대에 처리하게 되면 저해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10-4 M oryzalin을 뿌리 끝에 15시간 처리하면 뿌리 끝의 생장이 억제되고 둥근 형태로 부풀었다. 에틸렌의 전구물질인 ACC를 뿌리 끝에 처리하여도 굴중성 반응이 억제되었다. Oryzalin의 작용과 에틸렌 생성에 대한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oryzalin 처리 후 에틸렌 생성을 측정하였다. Oryzalin 처리에 의해 ACC oxidase와 ACC synthase의 활성이 증가되어 에틸렌 생성이 촉진되었다. Oryzalin은 ACO와 ACS의 유전자의 발현도 증가 시켰다. Indole-3-acetic acid (IAA)는 굴중성 반응 동안 관찰되는 비 대칭적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oryzalin이 뿌리 끝에서 IAA transport를 억제하여 뿌리 신장대의 윗면과 아랫면의 IAA 양의 차이를 감소시키고, 또한 에틸렌 생성을 촉진하며 미세소관의 배열을 방해하여 뿌리 글중성과 생장을 억제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옥수수 뿌리에서 굴중성 반응과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조절 작용 (Regulation of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in the Gravitropic Response and Ethylene Production in Primary Roots of Maize)

  • 정윤호;김종식;이건주;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7-91
    • /
    • 2012
  • 암을 유발하는 phorbol ester로 알려진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는 동물세포에서 신호전달 효소의 하나인 protein kinase C (PKC)를 활성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 일차뿌리에서 PMA가 에틸렌 생성을 통하여 굴중성 반응을 조절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PMA는 8시간 동안 $10^{-6}$ M과 $10^{-4}$ M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촉진 효과는 PKC의 억제제인 staurosporine (STA)에 의해 상쇄되었다. 이 결과는 굴중성 반응이 신호전달 체계에 관여하는 protein kinase C를 통하여 조절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식물호르몬인 에틸렌도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에틸렌 생성은 $10^{-6}$ M과 $10^{-4}$ M PMA에 의하여 각각 26%와 37% 증가하였다. PMA는 또한 ACC synthase (ACS) 활성을 촉진시켰다. 또한 이 증가 효과는 STA에 의하여 상쇄되었다. 이 결과는 옥수수 뿌리에서 굴중성 반응은 에틸렌 생성을 거쳐 protein kinase를 통하여 조절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애기장대의 하배축에서 피토크롬이 생장과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Phytochromes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Growth and the Gravitropic Response via Ethylene Production in Hypocotyl of Arabidopsis)

  • 이상승;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6
    • /
    • 2018
  • 피토크롬은 빛을 인지하여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식물호르몬인 에틸렌은 식물의 줄기 뿌리의 생장을 조절한다. 본 연구는 phyA, phyB and phyAB와 같은 애기장대의 피토크롬 돌연변이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빛 조건(암소, white light, red light, far red light)에서 하배축의 생장과 굴중성 반응을 측정하였다. 모든 빛 조건에서 돌연변이체 phyAB는 다른 돌연변이체와 wild type (WT)보다 생장과 굴중성 반응이 가장 촉진되었다. Red light (R)에서 phyB가 phyA보다 굴중성 반응이 촉진되었으나 far red light (FR)에서는 phyB가 phyA보다 굴중성 반응이 억제되었다. 하배축의 생장도 굴중성 반응과 같은 양상으로 조절되었다. 피토크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에틸렌 생성과 in vitro ACS, ACO 활성을 측정하였다. White light에서 돌연변이체보다 WT에서 에틸렌 생성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R에서 키운 phyA와 FR에서 키운 phyB에서 에틸렌 생성이 촉진되어 WT와 비슷한 생성량을 보였다. ACS 활성도 에틸렌 생성량의 양상과 일치하였다. 이 결과는 R에서는 phyB의 Pr 형태가, 그리고 FR에서는 phyA의 Pfr 형태가 에틸렌 생성을 조절하여 하배축의 생장과 굴중성 반응을 조절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