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research university

검색결과 460건 처리시간 0.024초

The Analysis 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Hwang, Gyu-Sam;Kim, Hye-Sook;Park, Dae-Sub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37
    • /
    • 2017
  • Purpose - The current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it attempts to discover if business startup confidence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60 days, from July 20, 2016 to September 20, 2016, and distributed to 300 restaurant founders who started their business through business startup education provided by Korea Food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in Seoul, Kyungki and Incheon or existing business founders. Results - P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and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business startup education, all law, entrepreneurship, commercial power analysis, and practical educat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Per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business startup confidence interaction show that they do not have a moderating role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nclusions - Setting up theoretical reasoning, this study supports conclusions drawn by prior studies: business startup edu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xport Performance of Emerging Market SMEs: The Moderating Role of Dynamic Capabilities in South Africa

  • ROBB, Charles;KIM, Eun-Mi;LEE, Jae-Woo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5-29
    • /
    • 2020
  • Purpose: Due to an ever more interconnected global commercial environment, the role of SMEs from emerging markets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 business literature of late. Reinforced by strategic management theory, this study builds on aspects such a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dynamic capabilities to construct and test a framework that focuses on exploring their associations with export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contribute further toward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se markets,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tests a model using data collected from 225 exporting firms located throughout South Africa. Results: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show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tributes significantly towards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outh African SMEs. Additionally, this study integrates three dynamic capabilities in the strategy-performance relationship to test their interacting effects on the cor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xport performance. Further findings advocate support for relationship-based capabilities playing a moderating role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exporting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firms emanating from emerging markets. Conclusions: Findings provide substance to the argument that entrepreneurship, as a strategy-making process, leads to export performance in emerging nations.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as to how small and medium-sized organizations can develop their exporting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청년사업가를 위한 성장요인이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리.외식전공 대학생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Young Entrepreneurs' Growth Factors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ed on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nd Foodservice -)

  • 이인숙;김외순;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39
    • /
    • 2013
  • 본 연구는 조리 외식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사업가를 위한 성장요인이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고 전공적합성에 따른 조절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327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2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최종모형 적합도는 $x^2$=495.217(p<.001), df=231, CMIN/DF 2.144, GFI .902, AGFI .878, NFI .911, CFI .954, RMSEA .067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청년사업가의 성장요인과 창업역량과의 영향 관계에서 성장요인 중 정책지원(${\beta}$=.457, p<.001), 기술지식(${\beta}$=.244, p<.01), 역할모델(${\beta}$= .242, p<.05) 등이 창업역량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창업역량(${\beta}$= .787, p<.001)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관계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어, 성장요인과 창업역량, 그리고 창업의도간의 유기적인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창업역량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서 전공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공적합도가 높을수록 창업의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어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창업지식습득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 가족배경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Acquis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via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mily Entrepreneurship Background)

  • 이주연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219-232
    • /
    • 2022
  • 창업의도에 관한 실증연구는 지난 수년간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COVID-19 팬데믹의 여파로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서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창업이 고용 창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수많은 선행 변수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 개인의 특성이라 볼 수 있는 창업 자기효능감과 환경적 특성인 창업자 가족배경에 초첨을 맞추어 이 변수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스크리닝 질문을 통하여 창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Prolific에서 300명의 글로벌 응답자에 대한 온라인 조사로 진행되었다.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다수 확인된 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샘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지식습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지식습득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창업자 가족배경은 이 관계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업지식습득 수준이 낮을 때에는 창업자 가족배경의 낮고 높음에 상관없이 창업의도가 낮은 반면, 창업지식습득수준이 높을 때에는 창업자 가족배경이 낮을 때에 비하여 창업자 가족배경이 높은 경우에 창업의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준비 과정에서 창업교육이 창업의도를 향상하는데 필요한 조건이며,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창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창업지식습득 수준을 높일수록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궁극적으로 창업의도 또한 고양시킬 수 있다. 셋째, 가족 중에 창업 경험이 있는 경우 창업 심화 과정을 이수하도록 하여 창업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창업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 활동, 창업 교육 등 창업 관련 프로그램 활성화가 중요하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학생들이 창업지식습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함으로써 창업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창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가족 중에 창업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이나 심화 교육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창업 전 기업가기질과 사회적 자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Temperament and Social Capital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efore Start-up)

  • 윤기창;이재은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97-109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temperament (ET) such as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in entrepreneur's lifetime before start-up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SC) such as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examined the components of ET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and components of SC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through existing prior research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first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entrepreneurial temperament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etwork ties of social capital, and the second hypothesis assumed that entrepreneurial temperament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worthiness of social capital. Finally, the second hypothesis assumed that social capital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 collected 175 data using questionnaires for people who have not yet started a start-up. And we us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to evaluate the collected data and to test the research model by the two step research procedure. Results - As a result, the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of E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of SC, but the effect of risk-taking on risk-taking of SC i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network ties and network ties of SC wa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I.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could be observed as mentioned in this paper. First, we found that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are helpful in constructing SCs, but not risk-taking.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T of entrepreneurs is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econd, the SC that an entrepreneur built before the start-up has a meaning for EI. In conclusion, ET was affected partially to EI mediated SC. It is academic in that ET and SC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ET and EI, unlike those directly affecting EI. Althoug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were found in this study,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and we hope that future research will be complemented.

한국 중소기업의 국제 기업가지향성, IT역량, e-business 기업가 인식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T Capability, and e-Business Entrepreneurial Perceptions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Korean SMEs)

  • 이예림
    • 무역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01-114
    • /
    • 2019
  • E-business enables SMEs to reduce transaction costs and maintain export competitiveness in rapidly changing overseas markets. It is required to raise the entrepreneurial awareness of e-business of exporting SM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e-business by domestic export SMEs. It explores the mechanisms that search and exploit these opportunities in an entrepreneurial way, and examines the process leading to export performance. We conducted a survey for empirical analysis and analyzed the data from 316 companies using e-business in Korea. As a result, both the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IT competence tended to be significant for the perception of e-business entrepreneurs and showed a different pattern in terms of size of influence. In addition, cooperation and operation among e-business entrepreneurs' perception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SMEs.

창업의지와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uccess)

  • 이미자;김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55-65
    • /
    • 2013
  • 본 연구는 창업의지와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공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업대학원생, 소상공인창업 교육생,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창업의지의 특성과 역량을 중심으로 하여 선행연구와 기존문헌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창업의지의 특성요인으로서 창업의지, 기업가 정신, 창업성공, 교육, 멘토의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과 창업성공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 검증하는 연구를 목적으로 두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의지가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창업방법과 창업능력 변수가 유의하였다. 둘째,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공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업의지와 외부요인, 내부요인의 변수가 유의하였다. 셋째, 창업교육이 창업성공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공 재교육이 가장 큰 영향으로 나타나 창업 후에도 꾸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넷째, 창업 멘토가 창업성공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창업의 실무적인 멘토가 가장 큰 영향이 있었으며, 창업의 성공적인 멘토, 사회적으로 성공한 멘토 순으로 나왔고 업종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있고 경험이 있는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서 사업을 더 멀리보고 성장할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성격은 긍정적인 성격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와 창업을 하는 사람들의 성격은 긍정적인 성격과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이 많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장인의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을 매개, 유지-행동성향을 조절변수로 (How Entrepreneurial Mindset of Office Workers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Roles of Social Capital and State-action Orientation)

  • 송창운;박주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73-88
    • /
    • 2020
  • 창업관련 기존의 연구는 주로 청년과 대학생, 시니어 창업과 관련한 창업의도에 미치는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들과 독립창업, 가맹점 창업, 소상공인 창업 등 창업형태에서의 창업에 대한 영향관계 연구들이 주류이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창업의도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창업의도를 갖고 있는 직장인들에게 기존 선행연구에서 창업의도에 적용된 선행변수들이 동일한 영향을 주는지 여부와 유지행동성향이 직장인들의 창업의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높은 직장인은 사회적 자본이 높았으며, 이러한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사회적 자본이 직장인의 기업가형 마인드셋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어,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직장생활을 통해 형성하게 되는 사회적 자본이 직장인의 창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가형 마인드셋은 그 자체로만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직장인의 행동성향이 창업의도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행동성향이 높은 직장인의 경우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창업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직장인들에게 초점을 맞춘 창업연구로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직장인의 창업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미치며, 단순히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높다고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행동성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향후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과 행동성향이 창업연구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을 기대한다.

기업가정신교육이 한·중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Mediator)

  • 양준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233-242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이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지향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기업가정신교육의 영향을 탐색적 연구수준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지향성의 세 가지 하부요인인 혁신성, 자기주도성, 위험감수성 및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표본은 한국과 중국 각 3개 대학교 대학생들을 추출하였으며 한국 224명, 중국 216명, 총 440명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데이터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수립한 가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 교육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지향성 및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대학생들의 기업가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한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 교육이 대학생들의 기업가지향성 및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미래 기업가 양성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또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효과적인 기업가정신 교육방법론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시아 4개국 대학생들의 개인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Four Asian Countries)

  • 조영조;하규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1-64
    • /
    • 2017
  • 본 논문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요인들에 관한 국제 비교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창업의도를 결정하는 개인특성 요인을 규명하고, 대학생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요인으로 창업자신감, 창업선호도, 성취욕구, 실패두려움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사회적인식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창업자신감 및 창업선호도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실패두려움은 창업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성취욕구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사회적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해보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