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gifted student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 영재학생의 개방형 문제 해결 사례 분석 (An Analysis on Open-ended Problem Solving of Gifted Students)

  • 최수아;강홍재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545-563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processes and implication to a given program for the 20 gifted children grade 5 by making the number from 1 to 100 with natural numbers 4,4,9 and 9. Revelation of creativity, mathematical tendency of students and meaningful responses were observed by the qualitative records of this game activity and the analysis of result. The major result of a study is as follows: The mathematical creativities of students were revealed and developed by this activity. And the mathematical attitude were changed and developed, so student could actively participate. And students could experience collaborative and social composition learning b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 competition with a permissive atmosphere and open-game rule. It was meaningful that mathematical ideas (negative number, square root, factorial, [x]: the largest integer not greater than x, absolute value, percent, exponent, logarithm etc.) were suggested and motivated by students themselves.

심화 발문을 통한 영재 수업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gifted classes model using deepening questions)

  • 방승진;최중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7-101
    • /
    • 2006
  • 초 중 고등학교 수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수학수업의 모델로, 수학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학영재의 지적 호기심을 유도하는 발문과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그리고 내용 구성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수업 중 제시되는 각 개념은 기초에서 심화에 이르는 위계적 구조로 제시되며, 교사는 심화 발문을 통해 학생들의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단계별로 높인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이와 같은 발문과 학생들의 발문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재수업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Proposing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Education

  • Shin Myeong-Kyeong;Park Jong-Wook;Chung Byung-Ho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7-357
    • /
    • 2005
  • Since 1998, 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has hosted the center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institute hired undergraduate students to escort and liaison each class of the gifted student participants with assisting classroom activities. These liaison teachers observed the gifted classroom activities and evaluated them by using a given checklist and filling out pre-made evaluation forms. Currently this system is being transferred from part-time jobs for students to earn allowance into well organized pre-service teacher program focusing on the gifted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system is being shifted from how liaison teachers facilitate the gifted program to how the system helps the liaison teachers to be quality teachers for the gifted who can understand what the gifted are and how to facilitate them. Analyzed were the self reports of the liaison teach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beliefs of the gifted and their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participant liaison teachers purposed to have more live experiences with getting along with students as well. Liaison teachers’ perceptions on establishing a gifted teacher professional education sequence we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potential scaffolding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model of the gifted education was provided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개념 만화를 활용한 소집단 과학 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논증활동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Argumentation during Small Group Science Inquiry using Concept Cartoon)

  • 최권용;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115-128
    • /
    • 2014
  • Students' argumentation during science inquiry should be regarded important as it could help students to make meaningful connections between theories and experiments and to make scientific claims based on evidences. In this study,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argumentation during small group inquiry was analyzed according to inquiry process. There were three stages of argumentation during students' inquiry. The first argumentation was to predict what would happen(Prediction stage). In this stage, the scientific problem was presented by concept cartoon as a way to start and to facilitate students' argumentation. The second argumentation was to design an experiment to solve the problem(Planning stage) and the third was to interpret the result of experiment(Interpretation stage). The discourse move, level of grounds and their relationship were analyz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argumentation during science inquiry. In terms of discourse move, 'Asking for opinion' was the most frequent whereas 'Claim' or 'Rebuttal' were rare. Students tended to listen to or ask others' opinion rather than provide their own claims or critics on others' opinion. 'Rebuttal' was shown a few times only during prediction and planning stage. There was no single 'Rebuttal' during interpretation stage. Students tended to easily accept or agree other student's interpretation of data instead of arguing their own ideas. In terms of level of grounds, students mostly provided their ideas without any attempt to justify their position. Especially during planning stage, students tended to suggest or decide ways of measuring or controlling variables without any grounds. They used evidences only a few times during prediction stage. In terms of relation between discourse move and level of grounds, students provided grounds most frequently when they dispute others' claims. The level of grounds were higher when they advocate or clarify their own or others' ideas than when they claim their ide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quality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argumentation during science inquiry was undesirable in many ways. Implications for scaffolding and facilitating argumentation during science inquiry were discussed.

초등 수학 영재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수 연산 게임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Number-Operation Games for Mathematical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 김용직;조민식;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4호
    • /
    • pp.313-32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 연산 게임과 수업 시안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영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창의적 문제 해결학습 모형을 토대로 기존의 게임을 활용하여 10차시의 수 연산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영재학급 학생 20명을 상대로 검사지를 통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적용하였다. Leikin의 평가 준거와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을 적용하여 얻은 결과,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PISA의 문제해결력 도구를 이용한 정보 영재 학생의 문제해결력 분석 (A Problem Solving Analysis of Gifted Students in Information based on PISA Problem Solving Tool)

  • 최정현;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79-18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학생들의 인지적인 특징을 비교하고 그를 통해 정보영재학생들의 판별과 관찰기준을 제시하며 나아가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영재학생들의 지속적인 발전과 개발을 위한 기초정신능력이자,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종합하고 적용하는 등 학습능력의 바탕이 되는 '문제해결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정보 분야의 영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 PISA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틀을 검사도구로 사용하여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우수한 측면과 보완이 요구되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보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목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초등 영재아의 학습스타일과 학습자 특성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yle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경빈;정가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71-594
    • /
    • 2010
  • 본 연구는 설문지와 학습스타일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상황 속에서 영재아의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부모, 교사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가진 영재들을 이해하여 영재아들이 잠재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구현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영재학생이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있고, 다양한 학습자 변인과 선호하는 학습스타일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물리적, 심리적 환경이 학습스타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영재학생들이 선호하는 학습스타일과 교사들이 자주 실시하는 교수스타일 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 프로그램이 학습자에 맞게 세분화되고, 학습스타일 관련 학습자 특성을 파악하여 교육 현장에서부터 차별화되고 개별화된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DI 리더십특성검사(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

  • 전미란;유경재;유효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09-12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및 중 고등학생용 'KEDI 리더십특성검사(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및 기 개발된 리더십특성검사의 분석을 토대로 'KEDI 리더십 특성검사(간편형)'를 개발하였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되, 내적일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타당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검사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용은 .610-.838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고, 중 고등학생용은 .734-.936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해 교사 3인의 심의를 통해 수정 보완하였고, 교육학 전공 전문가 2명에게 문항별로 적절성 정도에 따라 5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그 결과, 리더십 전체 검사 평균이 각각 4.23, 4.17을 받아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고, 두 전문가 평정점수의 상관계수가 .676로(Spearman 상관관계 계수)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모형적합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초등학생의 경우 CFI, TLI, RMSEA 지수가 각각 .954, .943, .068로 양호하게 나타났고, 중학생의 경우 CFI, TLI, RMSEA 지수가 각각 .935, .915, .070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학교 안팎에서 리더로 활동하는 직책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리더십 검사점수결과는 모든 리더 직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을 보여주었으나 특히 학급 내에서의 직책과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영재교육경험의 유무에 따라 리더십 요인별 점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영재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영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약 0.5점정도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검증한 'KEDI 리더십특성검사(간편형)'은 개인이 내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성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외적으로 드러나는 개인 간 특성을 쉽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검사도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Learning Styles of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한기순;김희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289-31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 5, 6학년 178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영재학생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두 변인간의 상호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Sternberg의 사고양식 검사와 Grasha Reichmann Student Learning Style Questionnaire(GRSLSQ)가 활용되었다.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의 경우 입법형, 사법형, 지엽형, 자유주의형, 계급형, 외부지향적인 사고양식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양식과 관련하여서는 의존형보다는 독립형, 협동형보다는 경쟁형, 회피형보다는 참여형이 높게 나타났다.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두 변인 군 간의 공유변량이 59%(Rc=.77)로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에 상당히 유의하고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정준함수 1의 독립변인 군에서는 외부지향적, 자유주의적, 계급적, 사법적, 행정적, 입법적 사고양식 순으로 높은 정준교차부하량을 지닌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군의 경우에는 독립형, 참여형, 협동형, 경쟁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외부지향적, 자유주의적, 계급적, 사법적, 행정적, 입법적 사고양식이 높을수록 독립형, 참여형, 협동형, 경쟁형의 학습 양식 선호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영재들의 특성 이해 및 향후 양식 연구와 관련하여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가가 논의되었다.

초등 과학영재반과 일반 학생 및 남녀 간의 독해력과 과학탐구능력의 비교 및 상관관계 분석 (Comparative and Correlation Analysi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between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by Gender)

  • 최종경;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2-2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to see the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science gifted students by gender. The subjects were 57 science gifted students and 57 general students in 5th grade in U c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gifted students had excellen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gender, boys and gir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marks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respectively. But for boy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for girl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science gifted students has excellent science process skill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gender, boys and gir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marks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respectively. And for boys and girl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By gender, boys and girls showed low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But for boy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for girl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