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와 충청북도 H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반응지수도구(IRI),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STEBI를 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효능감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고통 이외 모두 3점 이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32-3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구도구는 사회적지지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STEBI)를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은 모두 3점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 최양미;김보현;이홍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8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director,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33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respectively,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teacher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system through the exercise of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유아 영어교사의 자질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 - 유아교육기관 방문 영어교사를 중심으로 - (The Perception toward Qualification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 Focused on Visiting English Teachers in Preschools -)

  • 기경화;안선희;이순응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25-11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toward qualifica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their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 samples consisted of 201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Seoul, Daejeon, Daegu, Gyeonggi area. A sample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F-test,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teachers were women between 30 to 40 years old, university graduate with job experience less than 3 years. In addition, half of teachers in this study majored on English studies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studies. This study found that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thought themselves to be qualified as a English teacher and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hey rate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o relatively high. There were differences on the scores of qualifica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major. And years of job experience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qualif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Her, Eun Ha;Kim, Sang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39-44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 A total of 76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The study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urvey questionnaires.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along with Sobel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suppor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s well as teaching efficacy that result in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teacher efficacy to their burnout)

  • 강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02-4909
    • /
    • 2013
  • 본 연구는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유아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은 각각 소진에 영향력이 있었는데, 회피-분산적 양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소진이 많았고,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소진이 적었다. 이 결과는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아교사가 효과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사용하도록 돕고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유아교사의 완벽주의 군집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소진 (Early Childhood Teacher Self-Efficacy and Burnout by Types of Perfectionism)

  • 손고은;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4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fectionism type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s burnout according to the types of perfectionism.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9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Seoul, Gyeonggi-do, Daejeon, Se-jong, Kim-Cheon, and Hong-Sung, South Korea.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surveyed regarding perfectionism,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 burnou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 analyses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Cluster analyses with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s cluster variables resulted in three types of perfectionism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self-other directed perfectionism(33.0%)', 'other directed perfectionism(35.0%)' and 'non perfectionism(32.0%)'. Educators with self-other directed perfectionism reported higher teacher self-efficacy and lower teacher burnout than educators with other directed perfectionism or with non perfectionism. Conclusion/Implications: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fectionism may be a significant personality trait linked to quality of education and care in real education settings.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Factors and Teacher Efficacy)

  • 고정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41-34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격유형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G지역의 3,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28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 중 외향성과 교사효능감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은 교사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교사효능감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교사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강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 증진에 외향적인 성격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외향적인 특성을 함양하기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탐색을 위한 융합적 접근 (A Convergence Approach to Exploring Factors Affecting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박혜정;이연규;김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51-459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 재직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여 202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공감,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에 대한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은 교육경력, 직무성취도, 공감, 회복탄력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57.2%로 나타났다(F=45.848, p<.001).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β=.480)이 높을수록, 직무성취도(β=.286)가 높을수록, 교육경력(β=.197)이 많을수록, 공감(β=.141)능력이 높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해 예비유아교사 시기부터 회복탄력성, 직무성취도, 공감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규교육과 비정규교육과정을 융합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이 요구된다.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이정현;안효진
    • 아동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29-141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s. Data from 32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he SPSS 18.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efficacy. Secondly, job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levels. Teacher 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levels. Thirdly, job stress had a directly nega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levels. It was also revealed that teacher effica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