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양미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보현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홍재 (안양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Received : 2022.03.09
  • Accepted : 2022.06.1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director,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33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respectively,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teacher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system through the exercise of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식, 김규수 (2004).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유아-교사 관계의 질에 따른 유아교사의 스케폴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9(3), 1-28.
  2. 권성민 (2013).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영란, 문영경 (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https://doi.org/10.21213/kjcec.2016.16.1.99
  4. 권정해 (2014).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민솔 (2019).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순남 (2000).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영미 (2018). 원장의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숙자 (2019).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분석. 대구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은아 (2018).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정희, 문혁준 (2007).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간 관계 비교. 아동학회지, 28(4), 155-168.
  11.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0(3), 103-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03
  12. 김지현 (2017). 중학교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희정 (2019).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명준희 (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문명화, 김남희 (2020). 동료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6(6), 185-202.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185
  16.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백승준 (2017). 진정성 리더십과 선제적 행동, 업무성과, 변화저항 행동 간의 관계: 심리적 오너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서혜은 (2019).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자기개발욕구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송은경 (2012). 원장의 감성리더십,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 간의 인과적 관계.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신은정 (2016).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신혜영, 이은해 (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23. 유은경 (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유화 (2017), 어린이집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강재, 이유미 (2017). 어린이집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4), 19-35.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4.019
  26. 이나미 (2018).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의 소명의식과 유치원의 조직풍토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정숙 (2012). 유아교육기관의 학급규모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이채호, 박인영 (2021). 어린이집의 직무환경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교사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7(6), 15-28.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6.015
  29. 이호주 (2013). 유치원 조직문화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정계숙, 최은아 (2019). 보육교사의 대인 관련 직무스트레스와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8(3), 23-48. https://doi.org/10.30761/ecoece.2019.18.3.23
  31. 조성자, 문백수, 민하영 (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26(2), 25-32.
  32. 조영옥 (2015).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정서지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조인숙 (2005). 보육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조정대 (2016).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유치원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주미정 (2009).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소진의 인과적 구조분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주희경 (2017). 원장의 전문성과 진정성 리더십이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추연정 (2020).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보육헌신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1(4), 1445-1460. https://doi.org/10.22143/HSS21.11.4.102
  38. 최미숙 (2016). 유아 부모-교사 파트너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열린부모교육연구, 8(2), 111-124. https://doi.org/10.20437/KOAECE25-2-15
  39. 최미애 (2020).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전문성의 구조적 관계.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최미애, 최양미 (2020).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전문성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5(2), 347-369. https://doi.org/10.20437/KOAECE25-2-15
  41. 함은희 (2021).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홍자영 (2015).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감성지능,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44. Avolio, B. J., & Gardner, W. L. (2005).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Getting to the root of positive form of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6(3), 315-338. https://doi.org/10.1016/j.leaqua.2005.03.001
  45. Avolio, B. J., Gardner, W. L., & Walumbwa, F. O. (2007).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 Mind Garden.
  46. Bamford, M., Wong, C. A., & Laschinger, H. (2013).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and areas of worklife on work engagement of re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1(3), 529-540.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2.01399.x
  47.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48. Bandura, A. (1977).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49.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50. Feng-I, F. (2016). School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and teachers' psychological capital: Teachers' perspectives.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9(10), 245-255. https://doi.org/10.5539/ies.v9n10p245
  51. Gibson, S., & Dembo, M.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52. Guo, Y., Justice, L. M., Sawyer, B., & Tompkins, V.(2011). Exploring factors related to preschool teachers' self-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5), 961-968. doi:10.1016/j.tate.2011.03.008
  53. Hoy, W. K., & Woolfolk, A. E. (1993).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 https://doi.org/10.1086/461729
  54. Korte, D. S. (2017).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eacher self-efficacy in novice agricultural education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55. Kulophas, D., Hallinger, P., Ruengtrakul, A. and Wongwanich, S. (2015). The relationalship among authentic leadership, teachers' work engagement, academic optimism and school size as moderator: A conceptual model.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91, 2554-2558. https://doi.org/10.1016/j.sbspro.2015.04.298
  56. Kulophas, D., Hallinger, P., Ruengtrakul, A. and Wongwanich, S. (2018). Exploring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academic optimism and teacher engagement in Thai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32(1), 27-45. https://doi.org/10.1108/IJEM-10-2016-0233
  57. Laschinger, H. K. S., & Fida, R. (2014). A time-lagged analysis of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workplace bullying, burnout,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5), 739-753. https://doi.org/10.1080/1359432X.2013.804646
  58.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59. Schaller, K.. (1993).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based model of teacher efficacy. [Doctoral dissertation]. Ohio University.
  60. Srivastava, A. and Dhar, R. (2016), Authentic leadership for teacher's academic optimism,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40(5), 321-344. https://doi.org/10.1108/EJTD-12-2015-0096
  61. Walumbwa, F. O., Avolio, B. J., Gardner, W. L., Wernsing, T. S., & Peterson, S. J. (2008).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eory-base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34(1), 89-126.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8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