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system

검색결과 3,121건 처리시간 0.032초

Evaluation Index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Signs in Urban Shelters in China

  • Song, Chen;Zhang, Jingxing;Kim, Tae-Hwan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81-85
    • /
    • 2016
  • Reasonable disaster prevention signs play an important role in guiding evacuation. Through the field investigation on disaster prevention signs in shelters and surrounding areas in Beijing, some problems were found in the using of sign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integrated design, evacuation and rescue requirements, it is necesssary to make further study on aspects such as, design of function, systematic consideration, humanization design, as well as the internationalization using. This paper presents an evaluation index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signs. Such a system is very important for strengthening the independent guiding function of sign systems and improving evacuation efficiency. An effective connection could be realized between the internal environment of buildings, evacuation routes, and emergencey shelters.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 (Self-powered wireless bus information and disaste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 김태국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7-22
    • /
    • 2022
  •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버스 정보 시스템은 유선으로 전력과 통신을 제공함에 따라 유선 매설작업으로 인한 설치비용 증가와 설치 장소 제약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버스 도착 정보를 제공하며, 자연재해 등의 재난 발생 시, 시스템의 스피커를 통해 재난 정보도 알림으로써 혼란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자가 전력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무선 WiFi 또는 LTE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 장소 제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본의 토사재해 대응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diment Disaster Response System in Japan)

  • 이우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47-54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토사재해로 인하여 해마다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비교법적으로 검토해 보면, 일본 히로시마에서는 1999년에 폭우로 인한 토사재해로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였는데, 이후 제정된 토사재해방지법에 근거하여 도도부현에 토사 재해 방지를 위한 비 구조 대책이 도입되었다. 여기에는 토사재해 경보, 대피 표준 강우량 제정, 토사재해 경계 구역 지정 및 토사재해 특별 경계 구역 지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제 적용례로서, 일본 가고시마현의 토사재해경계정보시스템과 전문 인력 활용방안인 일본 국토교통성의 TEC-FORCE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향후, 일본과 같은 토사재해경계시스템과 전문 인력을 활용한 피해예방 및 피해저감 대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지역사회 재난회복력 구성요소와 재난관리정책 결정요인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on Disaster Response)

  • 김진근;박찬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39-346
    • /
    • 2019
  • 연구목적: 사실 재난대응을 잘하기 위해서는 발생한 재난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평가로 자연스럽게 완화 및 대비가 이루어져야 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응 ${\rightarrow}$ 복구 ${\rightarrow}$ 완화 ${\rightarrow}$ 대비${\rightarrow}$ ${\ldots}$"가 선(善)순환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분절적 재난관리가 반복되었다. 연구방법: 여러 다각적인 연구방법 및 분석을 통해 결국 사회재난 중심 재난관리체제인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의 재난회복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결과: (1) "시민 안전교육 및 훈련" (2) "시민대상 실시간 재난정보제공 및 공유" (3) "재난정보 및 경보시스템 네트워크(연결망) 구축" (4) "재난분석과 평가(위험성 및 취약성 평가)" (5) "재난완화계획"(6) "정부 간(間) 협조체계 구축" 등 주요 구성요소가 재난관리정책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실현되어야 함을 검증하였다. 결론: 이제는 더 이상 악(惡)순환적 또는 단절적 재난관리가 아닌 선(善)순환적 연결된 재난관리가 되어야 한다. 재난관리를 더 잘하기 위해서는 완화 및 대비 영역에서 재난대응에 영향을 주는 재난회복력 주요 구성요소가 재난관리의 선(善)순환적인 연결고리에 작동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정책에 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도서관 장서를 위한 재난대책 수립 (Developing the Disaster Plan for Materials in Library)

  • 방준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5-15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and all kinds of library in Korea to develop a disaster plan. The materials in the library are apt to get damaged at once by such disasters as fire or flood etc. It is fortunate that we Have not found any big disaster at libraries in Korean. considering many cases of big disaster which distroy materials at library in foreign countries. In spite of the posibility of disaster any time, that will make librry loss of function, there are no library that have a disaster plan in Korea. Disaster plan is a guidance by which materials are conserved at ordinary times, protected and recoverd in contingency. It consists by four elements: prevention, preparedness, reaction and recovery. As libraries function by biblogrophic data and user data in automation system, it is also recommended to prepare system protection in the disaster plan.

  • PDF

재난안전 데이터의 체계적인 축적·활용을 위한 코드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de System for Systematic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of Disaster Safety Data)

  • 정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67-175
    • /
    • 2018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그간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지닌 재난상황관리 담당자들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각종 자연 및 사회재난에 대비하여 재난상황관리 업무를 하고 있으나,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과거 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련 기록관리 및 정보 공유가 저조함에 따라 재난정보를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재난안전 코드체계를 개발하였다. 22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중에서 대설, 강풍, 풍랑, 호우 등 4개 재난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외 재난분야 코드체계 사례분석, 구축방향설정, 분류체계 개발 및 유형화 과정을 통해 최종 재난안전 데이터 코드체계를 제시하였다. 데이터의 체계적인 축적을 위하여 4개의 코드체계를 하나로 통합하였다. 제시한 코드체계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운용가능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용한 결과, 코드체계에 맞게 데이터가 축적되고 서비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코드체계에 따라 과거의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 활용된다면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Development of a hazard map creation support system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type using positional information

  • Mori, Seina;Okazaki, Yasuhisa;Wakuya, Hiroshi;Mishima, Nobuo;Hayashida, Yukuo;Min, Byung-Won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2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can create a hazard map by residents in order to prepare for disaster in daily life. This system make a hazard map by displaying the community-based disaster information on the map. Residents register information about the spot (a disaster type, a risk level, a photo, comments, positional information) that can be dangerous in case disaster. We think that residents can share information while having fan and increase disaster prevention consciousness by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 PDF

풍속과 피해액 간 상관관계분석에 따른 강풍재해피해조사 프로세스 개선방안 -재해연보를 중심으로- (Gale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Process Provement Plan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ind Speed and Damage Cost -Centering on Disaster Year Book-)

  • 송창영;양병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6
    • /
    • 2016
  • Across the world, the industrialization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climate anomaly. The size of damage due to recent natural disasters is growing large and fast, and the human damage and economic loss due to disasters are consistently increasing. Urbanization has a structure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both hardware and software approaches should be utilized. Currently, however, the development of a statistical access process for 'analysis of disaster occurrence factor' and 'prediction of damage costs' for disaster prevention and overall disaster management is inadequate. In case of local governments, overal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s not established, or even if it is established, unscientific classif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lead to low utility of natural statistics of disaster year book.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disaster damage and for rational disaster management, the disaster damage survey process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selected gale as the focused analysis target among natural disasters recorded in disaster year book such as storm, torrential rain, gale, high seas, and heavy snow, and analyzed disaster survey process. Based on disaster year book, the gale damage size was analyzed and the issues occurring from the correlation of gale and damage amount were examined, so a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reliable natural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nd systematic natural disaster damage survey.

스마트폰 앱기반 재난정보 서비스 및 검색기능 구현 (An Implementation for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and Search Function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 이중기;김창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73-280
    • /
    • 2012
  • 최근 우리사회는 집중호우, 산사태 등의 재해발생으로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피해를 입고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관련기관에서는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 사회 여러 분야에서 폭넓은 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재난방재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간단한 형태의 재난정보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황 및 요구조건을 고려하는 재난정보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정보수집 및 제공이 상호 연계적으로 가능한 체계 구성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구현하여 더욱 효율적인 재난정보서비스를 구축한다.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for Preparation of a Disabled-Inclusive Public Disaster Management System)

  • 김승완;노성민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1-22
    • /
    • 2016
  • 본 연구는 인위적 재난과 자연적 재해 같은 국가위기 상황에서 장애인을 고려하지 않은 현 국가위기관리 대응체계를 살펴보고,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통해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되풀이해 모으고, 교환하고, 발전시켜 수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의 재난관리체계와 관련해 전담부처가 존재해야 하며, 전문가들은 보건복지부(37.5%)보다 국민안전처(50.0%)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2.5%의 전문가 의견조사 참여자들은 어느 특정부처를 선택하기 보다는 두 기관이 협력해서 장애인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보았다. 셋째, 전문가들은 재난관리체계의 생애주기 중 재난 대응단계(43.8%)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재난 대응단계에서는 비상 경보체계를 작동하여 재난상황 발생시 장애인을 효과적으로 구조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으며, 그 예로서 장애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개별적 지원체계의 마련, 장애인 재난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전담부서의 설치, 지방정부차원에서 장애에 대한 전문가에 의한 장애인 재난지원계획의 수립, 그리고 중앙정부가 거시적 가이드라인과 재정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지방정부가 실행계획을 마련하는 협력적 관계의 정립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