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o cop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natural disasters in recent years, managers in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Status Control Center, who have considerable experience and skills, are regarded highly important. Although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Status Control Center oversees the disaster-status control tasks in preparation for various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there is little data due to the frequent replacement of manager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disaster-safety code system that tracks and manages disaster information, because the current record management and amount of information sharing remains very low. Among 22 natural and social disaster types, this study targeted four types of disasters: heavy snow, strong winds, high seas, and heavy rain. The final disaster-safety data code system was propos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analysis of the code systems of disaster areas in Korea and overseas, setup of the implementation of directions,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categorization. For the systematic accumulation of data, the four code systems were integrated into one. A prototype system was developed and opera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ode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data were accumulated and services were provided accordingly with respect to the proposed code system. If past data are accumulated and utilized according to the proposed code system in this study, it will be helpful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o respond to new types of disasters, based on past experiences.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그간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지닌 재난상황관리 담당자들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각종 자연 및 사회재난에 대비하여 재난상황관리 업무를 하고 있으나,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과거 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련 기록관리 및 정보 공유가 저조함에 따라 재난정보를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재난안전 코드체계를 개발하였다. 22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중에서 대설, 강풍, 풍랑, 호우 등 4개 재난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외 재난분야 코드체계 사례분석, 구축방향설정, 분류체계 개발 및 유형화 과정을 통해 최종 재난안전 데이터 코드체계를 제시하였다. 데이터의 체계적인 축적을 위하여 4개의 코드체계를 하나로 통합하였다. 제시한 코드체계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운용가능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용한 결과, 코드체계에 맞게 데이터가 축적되고 서비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코드체계에 따라 과거의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 활용된다면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