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Thinking

검색결과 1,275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학 임상실습에서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설계 및 적용효과 (A Design and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ject Learning in Nursing Clinical Practice)

  • 강명주;정경희;조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36-348
    • /
    • 2019
  •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공감력 및 문제해결의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전후설계에 의한 원시실험연구로 대상자는 N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간호관리학실습 교과목 수강자 64명이었다. 디자인씽킹 기반의 팀 프로젝트 학습은 2주간의 임상실습 중 매주 5일, 1일 1시간 30분,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사용하여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전과 후 대상자의 공감력(t=-2.94, p=.005)과 문제해결의 적극성(t=-6.2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감력과 문제해결의 적극성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34, p<.001)가 있었다. 팀 학습 참여경험은 디자인씽킹, 공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의 4개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은 고객의 욕구를 찾고, 정의하고, 문제의 해결안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업을 통해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고 공감력을 발휘하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경험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인간의 공간 인지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Experience Design - Focused on Human's Cognition Process in Space -)

  • 김예진;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38-146
    • /
    • 2006
  • Main elements in definition of space value were physical, formal, and reasonable characteristics in the past. Howener recently, definition of space value is changing by being advanced about study concerned with human's cognition and thinking way in definition and analysis of space. As you see, cognitive psychologist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uman's cognitive structure and process and studied diverse aspects of human's thinking ; consciousness, perception, memory, image, language, decision-making, inference, and so on. Therefore main elements in definition of space value are five-dimensional, psychological, symbolic, mental, emotional characteristics above physical, formal, and reasonable characteristics. As mentioned above, the conversion of thinking focused on reason to thinking focused on human's spirit and emotion is achiev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human's experience' in space become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ation of human's cognitive process in space by conversion of thinking and gives a definition about experience. And, I would like to define 'experience design' whose main attribute is experience in space and establish theoretical basis of experience design through theoretical researches about experience. This study on experience design that induces users to participate in space and stimulate human's spirit is a important point in definition of space value not only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but also prospective generation.

A Creative Apparel Up-cycling Design Development Using Creative Thinking Methodology

  • Minji Kim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6호
    • /
    • pp.147-159
    • /
    • 2023
  • Fashion is the second most polluting industry. We must strive to transition to a form of industry that does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These efforts drive may fashion brands to produce and sell products with redesigned methods that delight the inventory flow.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eative apparel up-cycling design using the creative thinking method. This study aims to produce clothing redesign works by introducing design idea types for systematic redesign creation.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of up-cycling design and employed heterotopa spacial concept reflected fashion design creation methodology types. The RE;CODE, a leading domestic up-cycling design brand, was used in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shape transformation, it is spreading, stacking, dropping, inverting and crossing, from the creative thinking method reflecting heterotopia spacial concepts, showing designers a concrete way to transform form into new apparel. Seven works of apparel up-cycling design were developed by conducting process of RE;CODE. Also, to establish an apparel up-cycling design creation process for creating work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systematic method for apparel up-cycling design, including a method for reorganiz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to create something new and ultimately reversing the structur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s a systematic method for apparel up-cycling design to make it new.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apstone Design Program on Creative 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 김지숙;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06-41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에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P시 U 대학교 간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한 18명 실험군과 K 대학교 2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 캡스톤디자인 수업 전 후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창의적리더십이 높아지면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교육 실시 후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성향 등을 반복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간호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패션 상품 아이템 개발을 위한 창의적 발상법의 활용 -벨벳 상품의 사례- (Item Development for Fashion Products Us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A Case of Velvet Products-)

  • 정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3-223
    • /
    • 2013
  •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of fashion item development with velvet through creative thinking methods. Creativ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for a successful job career and education enhancing creative thinking is needed in the area of fabrication, product design, and marketing strategy development. Velvet was selected as a research stimulus because it is a luxurious fabric with various differential properties such as a soft touch, unique luster, excellent drapability, and fine physical properti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creative thinking methods review, the selection of the tools, idea sourcing and listing, sequential idea evaluation and sample product making. After review of the various creative thinking methods, a combination method and forced connection method were employed as research tool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creative thinking training because of their independence of use and application simplicity. A total of 1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is research. After some training, each student derived ten ideas for velvet products that utilized a combination method and forced connection method. A total of 120 ideas were evaluated for novelty, technical possibility, practicality, and marketability; subsequently, 24 ideas were adopted and developed as sample products. The effectiveness of creativity education in fabrication and product design classes was verified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product planning.

Design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ffordance Concept for Convergent Design Education

  • Kim, Su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99-206
    • /
    • 2020
  • I suggested the design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ffordance concept approach for supporting and improving learners' behavior and outcome for convergent desig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design learning space should be appli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especially learners' behavior, physical space condition to support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design learning space needs openness, individuality and connectivity to support the learners' behavioral to immerse, participate, cooperate, understand, think and fulfill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convergent design education support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members for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The spaces for design research and teaching needs high privacy while facilitating visual communications through special materials and wall structure design. Also, for connectivity to improve the learners' physical and visual contact, the environment of the classrooms requires flexibility and mobility by providing an open space integrating unit cells for realizing learning purpose. These are provided by formed of an open structure for inducing visual communication and physical contact to involve the design activities and the mutual interchange.

그래픽 태블릿(Graphic Tablet)에 의한 개념적 디자인 사고의 시각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The Visualization of Conceptual Thinking with its Verbal / Visual Information for Design Development)

  • 우흥룡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217-224
    • /
    • 2001
  • 본 연구는 디자인 실무와 교육에서 전개되는 아이디어 스케치 과정을 인지적 그래픽 사고(Graphic Thinking)의 과정으로 보고, 인지적 사고 과정에서 시각적 디자인 사고의 과정의 고찰과 함께 이에 투입되는 언어/시각 정보의 영향을 실험/분석하였다. 실험방법으로 디자인 프로젝트를 설정하여 이의 프로토콜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SAS 통계시스템의 T-Test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로, 그래픽 사고는 추상적 /구체적 영역과 개념적/ 지각적 영역 사이에서 언어/ 시각 정보의 인지적 사고과정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둘째로, LCD 태블릿은 펜과 종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적절한 장치임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컨셉 디자인 단계에서는 언어/ 시각 디자인 정보의 유형에 따른 영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즉, 그래픽 사고과정에서 그래픽 이미지, 지각이미지, 그리고 정신 이미지가 복합적으로 작용되고 있음을 확인해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금후 실험을 다각화하여 연구를 보완할 경우, 디자인 사고의 시각화 과정에 대한 보다 일반화된 이론 체계가 세워질 것이다.

  • PDF

창의·컴퓨팅사고 교육내용 기본 설계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bout combin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 design thinking)

  • 오경선;서응교;정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65-73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한 현 시대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 대학에서 진행하는 비전공자 대상 소프트웨어교육에 필요한 교육내용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디자인씽킹 개념과 컴퓨팅사고요소간의 관계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길러내기 위한 소프트웨어교육 방향을 알아보고 디자인씽킹 기반의 컴퓨팅사고를 위한 두 개 수준별 교육내용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설문 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수준에서는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두고 디자인씽킹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전체 내용을 구성하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프로세스부터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컴퓨팅사고 내용들을 도출하였다. 2수준에서는 수렴적 사고에 초점을 두고 1수준의 내용인 다양한 아이디어와 스토리를 컴퓨팅으로 구체화하여 실현하기 위한 컴퓨팅사고 내용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의 비전공 대상의 SW기초교양으로서 교육내용과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중등학생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기반의 STEAM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STEAM Program for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 김세미;김정겸;김성호;맹준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17-27
    • /
    • 201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STEAM program for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design thinking-based STEAM program dealt with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issues and it consisted of 8 topic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change of Science concept awareness, Interest, Self-efficacy, Career consciousness of students through the progra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llowing 4 areas, such as 'Science concept awareness', 'Interest', 'Career consciousness' and 'Self efficacy'. Pre-post test was conducted to 75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post-test compared to pre-test, 'Science concept awareness', 'Career consciousness' and 'Self efficacy' of students were improved. And the 'Interest' wasn't changed significantly.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esign thinking-based STEAM program can be useful at school education to improve the Science concept awareness, Career consciousness and Self-efficacy of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It is also proposed that further research of the various areas of interest and other affective variables will be needed.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 이재호;이승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1-36
    • /
    • 2021
  • AI 기술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AI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AI 교육은 단발적인 프로젝트 교육 혹은 교사 중심의 교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학생 중심, 현장 중심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디자인 씽킹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은 생활 속 문제를 AI로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AI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이 향상될 것이며, AI에 대한 이해를 넘어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을 길러줄 것이다.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등으로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AI 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