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갑원(2015). 융합인재교육의 원류, 변천 및 그 정체성의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4(2), 5-29.
- 강인애.김희주.김다미(2012).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STEAM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 사례연구. 중등교육연구, 60(4), 1105-1134.
- 고운(2013). 디자인적 사고 기반 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사고 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고현.유영길(2015).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4), 173-190.
-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년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2009.
-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1년 업무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 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 교육부(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 김가연(2013). 과학자와 과학관련직업에 대한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김강용(2015).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김성원(2013). 창의융합인재교육(STEAM)의 방향과 과학교육. 물리학과 첨단기술, 22(5), 35-38.
- 김영민.박수경.이승우(2010).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및 관련지식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20(3), 901-919.
- 김효정.조성화.심효영(2015). 중학생을 위한 디자인 창업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미술과 과학 교과의 통합수업을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44, 101-112.
- 남주영.김향미(2012).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중등학교 미술교육에서의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의 필요성. 한국과학예술포럼. 10, 65-76.
- 박문형(2014). 디자인적 사고의 전 분야 스필오버 효과(Spillover effect)를 위한 융합디자인 활성화 제안.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161-170.
- 박혜원.신영준(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 백윤수 외(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 백윤수 외(2012). 융합인재교육 (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 우영진.윤지현.강성주(2016). 초등 과학영재의 집단 창의성 발현을 돕는 전략으로써 디자인적 사고의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 433-460.
- 우영진(2017).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공감 중심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윤미선.김성일(2003). 중, 고생의 교과홍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학회지, 17(3), 271-290.
- 윤진.박승재.명전옥(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 이도현.윤지현.강성주(2014).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의 도입과 속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93-10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093
- 이정희(2013).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 임정훈(2001). 가상교육.사이버교육에 관한 개념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17(3), 165-194.
- 전경민(2013). 디자인 사고과정을 적용한 초등영재 융합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조보람.이정민(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87-105.
- 조향숙.김훈.허준영(2012).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OR 2012-02-02.
- 최상덕(2011).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최정훈(2013). 공학교육의 현장 : Part 2 K-12와 공학교육; 미래의 과학기술공학사회를 대비하는 STEAM교육. 공학교육동향, 20(2), 51-57.
- 태진미(2016). 초등학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구 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15(2), 121-147.
- Bootcamp Bootleg D.School(2010). Available at http://dschool. typepad.com/files/bootcampbootleg2010v2slim-1.pdf. Hassno Platner & Institute of Design at Standford University.
- Brown, T.(2014). Change by Design: How Design Thinking Transforms Organizations and Inspires Innovation. Harper Business. 고성연 역(2014). 디자인에 집중하라. 파주: 김영사.
- Boyd, D.(2007). Why youth (heart) social network sites: The role of networked publics in teenage social life. In D. Buckingham (Ed.). Youth, Identity, and Digital media (pp. 119-142). Cambridge, MA:MIT Press.
- Carroll, M. et al.(2010). Destination, imagination, and the fires within: Design thinking in a middle school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 Design Education, 29 (1), 37-53. https://doi.org/10.1111/j.1476-8070.2010.01632.x
- IDEO(2011). Available at http://www.designthinkingforeducators.com/DTtoolkit_v1_062711.pdf.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oolkit.
- Kelly, T. & Littman, J.(2001). The art of innovation.: Lessons in Creativity from IDEO, America's Leading Design Firm. Broadway Business. 이종인 역(2002). 유쾌한 이노베이션. 서울: 세종서적.
- Konno, N.(2010). Bijinesu no tameno dezain shikol,, = Innovate by Design-based Management. Tol "kyol" : Tol "yol" keizaishinpol" sha. 노경아 역(2012). 디자인 사고. 서울: 스펙트럼 북스.
- Martin, R. L.(2009). The Design of Business: Why Design Thinking is the Next Competitive Advantage. Harvard Business Press. 이건식 역(2010). 디자인 씽킹: 아이디어를 아이콘으로 바꾸는 생각의 최고 지점. 서울: 웅진윙스.
- Pintrich, P. R. &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 Schiefele, U.(1991). Interest,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3-4), 299-323.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603&4_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