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STEAM Program for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초·중등학생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기반의 STEAM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Kim, Se Mi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Education&Technology, KAIST) ;
  • Kim, Jeong Kyoum (Department.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 Ho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Education&Technology, KAIST) ;
  • Maeng, Joon Hee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Education&Technology, KAIST)
  • 김세미 (카이스트 융합교육연구센터) ;
  • 김정겸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
  • 김성호 (카이스트 융합교육연구센터) ;
  • 맹준희 (카이스트 융합교육연구센터)
  • Received : 2018.02.14
  • Accepted : 2018.03.23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STEAM program for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design thinking-based STEAM program dealt with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issues and it consisted of 8 topic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change of Science concept awareness, Interest, Self-efficacy, Career consciousness of students through the progra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llowing 4 areas, such as 'Science concept awareness', 'Interest', 'Career consciousness' and 'Self efficacy'. Pre-post test was conducted to 75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post-test compared to pre-test, 'Science concept awareness', 'Career consciousness' and 'Self efficacy' of students were improved. And the 'Interest' wasn't changed significantly.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esign thinking-based STEAM program can be useful at school education to improve the Science concept awareness, Career consciousness and Self-efficacy of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It is also proposed that further research of the various areas of interest and other affective variables will be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강갑원(2015). 융합인재교육의 원류, 변천 및 그 정체성의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4(2), 5-29.
  2. 강인애.김희주.김다미(2012).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STEAM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 사례연구. 중등교육연구, 60(4), 1105-1134.
  3. 고운(2013). 디자인적 사고 기반 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사고 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4. 고현.유영길(2015).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4), 173-190.
  5.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년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2009.
  6.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1년 업무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 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7. 교육부(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8. 김가연(2013). 과학자와 과학관련직업에 대한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9. 김강용(2015).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0. 김성원(2013). 창의융합인재교육(STEAM)의 방향과 과학교육. 물리학과 첨단기술, 22(5), 35-38.
  11. 김영민.박수경.이승우(2010).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및 관련지식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20(3), 901-919.
  12. 김효정.조성화.심효영(2015). 중학생을 위한 디자인 창업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미술과 과학 교과의 통합수업을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44, 101-112.
  13. 남주영.김향미(2012).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중등학교 미술교육에서의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의 필요성. 한국과학예술포럼. 10, 65-76.
  14. 박문형(2014). 디자인적 사고의 전 분야 스필오버 효과(Spillover effect)를 위한 융합디자인 활성화 제안.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161-170.
  15. 박혜원.신영준(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16. 백윤수 외(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7. 백윤수 외(2012). 융합인재교육 (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18. 우영진.윤지현.강성주(2016). 초등 과학영재의 집단 창의성 발현을 돕는 전략으로써 디자인적 사고의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 433-460.
  19. 우영진(2017).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공감 중심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 윤미선.김성일(2003). 중, 고생의 교과홍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학회지, 17(3), 271-290.
  21. 윤진.박승재.명전옥(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22. 이도현.윤지현.강성주(2014).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의 도입과 속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93-10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093
  23. 이정희(2013).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24. 임정훈(2001). 가상교육.사이버교육에 관한 개념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17(3), 165-194.
  25. 전경민(2013). 디자인 사고과정을 적용한 초등영재 융합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6. 조보람.이정민(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87-105.
  27. 조향숙.김훈.허준영(2012).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OR 2012-02-02.
  28. 최상덕(2011).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9. 최정훈(2013). 공학교육의 현장 : Part 2 K-12와 공학교육; 미래의 과학기술공학사회를 대비하는 STEAM교육. 공학교육동향, 20(2), 51-57.
  30. 태진미(2016). 초등학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구 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15(2), 121-147.
  31. Bootcamp Bootleg D.School(2010). Available at http://dschool. typepad.com/files/bootcampbootleg2010v2slim-1.pdf. Hassno Platner & Institute of Design at Standford University.
  32. Brown, T.(2014). Change by Design: How Design Thinking Transforms Organizations and Inspires Innovation. Harper Business. 고성연 역(2014). 디자인에 집중하라. 파주: 김영사.
  33. Boyd, D.(2007). Why youth (heart) social network sites: The role of networked publics in teenage social life. In D. Buckingham (Ed.). Youth, Identity, and Digital media (pp. 119-142). Cambridge, MA:MIT Press.
  34. Carroll, M. et al.(2010). Destination, imagination, and the fires within: Design thinking in a middle school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 Design Education, 29 (1), 37-53. https://doi.org/10.1111/j.1476-8070.2010.01632.x
  35. IDEO(2011). Available at http://www.designthinkingforeducators.com/DTtoolkit_v1_062711.pdf.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oolkit.
  36. Kelly, T. & Littman, J.(2001). The art of innovation.: Lessons in Creativity from IDEO, America's Leading Design Firm. Broadway Business. 이종인 역(2002). 유쾌한 이노베이션. 서울: 세종서적.
  37. Konno, N.(2010). Bijinesu no tameno dezain shikol,, = Innovate by Design-based Management. Tol "kyol" : Tol "yol" keizaishinpol" sha. 노경아 역(2012). 디자인 사고. 서울: 스펙트럼 북스.
  38. Martin, R. L.(2009). The Design of Business: Why Design Thinking is the Next Competitive Advantage. Harvard Business Press. 이건식 역(2010). 디자인 씽킹: 아이디어를 아이콘으로 바꾸는 생각의 최고 지점. 서울: 웅진윙스.
  39. Pintrich, P. R. &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40. Schiefele, U.(1991). Interest,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3-4), 299-323.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603&4_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