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ntal status

Search Result 1,49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산업체 근로자들의 치주질환 인식 및 치주건강실태 조사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Awareness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among Industrial Workers)

  • 홍민희;김윤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6-22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체 근로자들이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치주질환의 인식 및 치주건강상태를 검사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근로자들이 치주질환에 관한 지식을 처음으로 알게 된 경로는 치과병원에서 알게 된 근로자가 36.3%로 가장 많았으며, 근로자들의 치석제거 주기에 관해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치석제거를 6개월에 한 번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1년에 한 번 정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근로자들이 가지고 있는 치주질환 상태를 살펴본 결과, 치주질환으로 이 사이에 음식물이 끼는 근로자가 26.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경우(24.5%)와 치아가 시리고(20.6%), 잇몸이 가끔 붓는 경우(15.9%), 그리고 치아가 흔들리는(4.5%) 순으로 나타났다. 3. 치주질환의 원인에 대해 근로자들은 부적절한 잇솔질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근로자가 48.8%로 가장 많았으며,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올바른 잇솔질이 잇몸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근로자가 66.8%로 가장 많았다.

가임기 여성의 치주질환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eriodontal Disease in Fertile Women)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80-586
    • /
    • 2019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20~44세의 성인 여성 2,134명을 대상으로, 가임기 여성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연령대(p<0.001), 교육수준(p<0.001), 결혼상태(p<0.001), 소득수준(p<0.05), 흡연(p=0.05), 출산경험(p<0.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만성질환 요인은 고혈압(p<0.001), 비만(p<0.001), 당뇨(p<0.001), 고콜레스테롤혈증(p<0.05), 저콜레스테롤혈증(p<0.001), 고중성지방혈증(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강건강 행태요인은 치통(p=0.05), 교정치료(p<0.05), 저작불편(p<0.05)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만성질환요인에서 정상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1.576배, 당뇨군에서 2.569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행태요인은 구강위생용품미사용자가 1.372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좋은 여성에 비해 나쁜 여성이 1.614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여성의 만성질환 중 당뇨병이 치주질환 가장 큰 위험도를 나타냈으며, 당뇨와 비만은 관련성이 크므로 치주질환 위험요인으로 중요한 변수라 사료된다. 이에 복합적인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위험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향후 여성의 치주질환을 위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확대 및 구강보건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최근 한 달 이내 전자담배 흡연율 및 관련요인 (Smoking rate of Electronic Cigarettes and its related factors within the last one month)

  • 김형수;김빛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3-162
    • /
    • 2021
  • 이 연구는 19세 이상 성인의 최근 한 달 이내 전자담배 흡연율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요인 측면의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전자담배 흡연율 감소를 위한 금연교육과 보건정책 수립의 근거를 생성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8년 서울시 지역사회 건강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22,908명의 설문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며,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최근 한 달 이내 전자담배 흡연율은 4.5%이었으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전자담배 흡연 관련요인은 성, 연령, 교육수준, 직업, 일반담배 흡연상태이었다. 전자담배 흡연을 예방하고 흡연율을 낮추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전문직을 대상으로 전자담배의 위험성을 알리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전자담배 흡연도 일반담배 흡연과 차이가 없음으로 알리는 홍보와 캠페인을 시행하고 나아가 전자담배를 일반담배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동일한 금연정책의 전개가 요구된다.

Serum Level of MMP-3 in Patient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Lack of Associ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 Tadbir, Azadeh Andisheh;Purshahidi, Sara;Ebrahimi, Hooman;Khademi, Bijan;Malekzadeh, Mahzad;Mardani, Maryam;Taghva, Masumeh;Sardari, Yasam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545-4548
    • /
    • 2012
  • Background: MMP-3 is a proteolytic enzyme of the matrix metalloproteinase family. Protein degradation which is their fundamental action regulates different activities of tumor cell such as their growth, differentiation, apoptosis, migration, invasion, angiogenesis as well as their resistance to the immune system. Ai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MP-3 serum levels in patients with OSCC and investigate if they correlate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Method and materials: Using an ELISA kit, we assessed and compared the circulating levels of MMP-3 in blood serum of 45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 with 45 healthy control samples. Results: The serum MMP-3 level in OSCC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9.45{\pm}4.6$ ng/ml) than healthy controls ($5.9{\pm}3.6$ ng/ml, p<0.001), especially in females and in older patients. However, there was no apparent correlation in serum MMP-3 concentration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such as tumor location, stage, tumor size, nodal status, distant metastasis, histological grade and smoking. Discus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easurement of serum MMP-3 concentration might be helpful to diagnose OSCC but not to predict prognosis.

항혈소판제 복용 환자의 구강 내 소수술 전 처치에 대한 제안 (PROPOSAL FOR PRETREATMENT OF PATIENTS IN ANTIPLATELET THERAPY REQUIRING MINOR ORAL SURGERY)

  • 최지욱;최세경;김남균;최의영;차인호;김형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6호
    • /
    • pp.426-430
    • /
    • 2009
  • Purpose: Many patients in anti-platelet therapy have been consulted for bleeding risks before minor oral surgery.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 established pretreatment protocol for treating thes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rotocol for the preoperative management for patients in anti-platelet therapy. Patients and Methods: The existed consultation pattern of patients was examined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Yonsei Dental Hospital. Based on the observation, a protocol including classification of medical status of patients and the type of oral surgery in need was introduced. This protocol had been performed for 6 months. Result: Following this protocol, the frequency of consultation for bleeding risk was decreased. The number of minor oral surgeries with concurrent anti-platelet therapy was increased. There was no severe bleeding event observed among minor oral surgeries that wer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anti-platelet therapy. Conclusion: This protocol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clinical practice of patients in anti-platelet therapy requiring minor oral surgery.

농촌영양실태(農村營養實態)에관(關)한 조사((調査)ll) (A Survey of the State of Nutrition in Rural Korea (ll))

  • 이금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4호
    • /
    • pp.6-11
    • /
    • 1974
  • 1. 시범(示範)과 비교부락간(比較部落間)의 영양실태(營養實態)는 별차(別差)가 없다. 따라서 위(胃)의 부담(負擔)을 줄이고 적은 양(量)으로 많은 영양가(營養價)를 얻기 위(濕)하여 곡류(穀類)나 채식위주(菜食爲主)의 부통적(博統的) 식생활(食生活)에서 빨리 탈피(脫皮)할 수 있는 광의(廣意)의 혼식(混食)으로 식생활(食生活)의 개선(改善)이 시급(時急)히 요망(要望)된다. 2. 구강(口腔)의 건강(健康)이 전신(全身)의 건강(健庸)과 직결(直結)된다고 할 수 있는 치아보건(齒牙保健)을 위(爲)하여 채유이외(菜誘以外)의 다른 식품군(食品群)에서 다량(多量)의 Ca섭취(攝取)를 꾀하도록 연구(硏究)와 노력(努力)이 있어야겠다. 특(特)히 임부(任婦)의 각성(覺醒)이 촉구된다. 3. 식후(食後) 3분내(分內)에 1분간(1分間)의 이닦는 운동(運動)을 반드시 1일(日) 3회(回) 할 수 있는 3 3 3 운동(運動)動의 습관(習慣)을 갖도륵 철저(徹底)한 주지(周知)가 있어야 하겠다.

  • PDF

Recognizable Investigation on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of Physical Therapist in Gwangju and Jeonnam

  • Yu, Seong-Hun;Kim, Seung-Rae;Cho, Sung-Hyoun;Seo, Tae-Hwa;Moon, Young-Sung;Kim, Myeong-Hui;Kim, Hyun-Jin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3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need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among physical therapist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METHODS: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continuing education on physical therapist held in Gwangju in 2015 with 297 participant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12 ques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therapists, 8 questions regarding the awareness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and 7 questions on need.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service period, according to categories of the inconvenience associated with commuting to/from hospitals, long-term treatment for patients, high quality treatment with intensive care, treatment at a time of patients' choosing. The category of hospital fees reduced due to early discharge from the hospital also saw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respondents' marital status, dependent family, and service period. Providing treatment without causing discomfort to patients in front of others also sa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hysical therapist career period.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is easier for family members to take care of patients also sa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and physical therapist career period. CONCLUSION: Survey indicates that physical therapist province feel the need fo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in many respects. However, since as many as half of the surveyed physical therapists have only heard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or are have no awareness of the this form of treatment, it appears that there is a need to raise awareness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among physical therapist and introduce appropriate policies.

공복혈당장애 및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Relationship among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 박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89-39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복혈당장애 및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년, 2012년)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성인 총 10,856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치주질환 유병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모든 변수가 보정된 상태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흡연 및 당뇨병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본 연구결과 당뇨병의 전단계인 공복혈당장애가 치주질환의 확실한 위험요인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전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10년 내에 당뇨병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당뇨병 단계에서부터 치주질환의 지속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배우자의 가사 노동 개입이 여성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use's Housework Intervention on Women's Depression)

  • 김은정;양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80-289
    • /
    • 2018
  • 본 연구는 경기 수원, 이천, 여주, 광주 지역 소재 학령기 이후 자녀를 둔 어머니 119명을 대상으로 배우자의 가사노동개입이 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목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필드 조사 방법을 통해 10일 간의 실증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배우자의 가사노동개입이 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정결과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배우자의 가사노동개입의 주중 주말과 자녀돌봄여부에 따라 우울증 유병률에 차이를 나타냈다. 이 같은 차이는 배우자의 가사노동개입에 따라 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주중 돌봄과 주말 돌봄에 따라 차이가 있고 이는 배우자의 가사노동개입에 따른 가사 부담 또한 경감될수록 우울증이 낮아지며, 예방에 도움이 됨을 의미한다. 이 같은 결과는 배우자의 가사노동개입이 단순 주중 주말의 자녀돌봄 수준과 개입의 정도에 따라 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음에 따라 가사와 자녀 돌봄 등 전체적인 가족관리까지 개입하여 분담할 때 효과가 보다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임부의 정기적인 인접면 세균막 관리와 치주건강상태간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Regular Interdental Cleaning and Periodontal Condition among Pregnant Women)

  • 하정은;김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44-151
    • /
    • 2017
  • 임부의 구강건강과 건강한 출산을 위하여 치주조직 감염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임신기 구강건강관리법을 제시하고자, 임신부 319명을 대상으로 인접면 세균막 관리가 임상적 및 세균학적 치주조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기적으로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시행하는 군보다 비정기적으로 관리하거나,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하지 않는 군에서 치은출혈 조직 수 및 치은염, 치주염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지 않을 경우, P. gingivalis가 더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부의 치실 및 치간솔 사용과 같은 인접면 세균막 관리는 임부의 치주조직건강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