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Awareness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among Industrial Workers

산업체 근로자들의 치주질환 인식 및 치주건강실태 조사

  • Published : 200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iodontal disease awareness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in an attempt to help facilitate thei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a knowledge acquisition route on periodontal diseases, the largest number of the industrial workers investigated(36.3%) learned about the diseases from dental hospitals. As to scaling cycle, the younger workers deemed it necessary to get their teeth scaled every six months. In contrary, the older workers considered it advisable to do that about once a year. Age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p<.05). 2. As for the state of the periodontal diseases of the workers, the greatest group (26.5%) found themselves to have something between their teeth often. The second most prevalent peridontal disease was gingival bleeding(24.5%), and the third largest group(24.5%) had teeth that were sensitive to cold. The fourth greatest group(15.9%) had the swollen gums from time to time, and the fifth largest group(4.5%) had shaken teeth. 3. Concerning the cause of periodontal diseases, the largest group (48.8%) cited an incorrect toothbrushing. As to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s, the greatest group(66.8%) viewed the right toothbrushing as the best way for that as well.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체 근로자들이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치주질환의 인식 및 치주건강상태를 검사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근로자들이 치주질환에 관한 지식을 처음으로 알게 된 경로는 치과병원에서 알게 된 근로자가 36.3%로 가장 많았으며, 근로자들의 치석제거 주기에 관해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치석제거를 6개월에 한 번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1년에 한 번 정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근로자들이 가지고 있는 치주질환 상태를 살펴본 결과, 치주질환으로 이 사이에 음식물이 끼는 근로자가 26.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경우(24.5%)와 치아가 시리고(20.6%), 잇몸이 가끔 붓는 경우(15.9%), 그리고 치아가 흔들리는(4.5%) 순으로 나타났다. 3. 치주질환의 원인에 대해 근로자들은 부적절한 잇솔질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근로자가 48.8%로 가장 많았으며,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올바른 잇솔질이 잇몸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근로자가 66.8%로 가장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H. Sasahaea, M. Kawamura, K. Kawabata, and Y. Iwamoto,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gingival condition and caried experience of their 30year-old children," Int J Paeefiatr Dent Vol.8(4), pp.261-267, 1998. https://doi.org/10.1046/j.1365-263x.1998.00091.x
  2. 옥치상, "치주질환자의 유지관리 효과", 석사학위 논문, 고신대학교, 2004.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연구, 2000.
  4. 송우성, "dextranse 함유 구강세정액의 치태 억제 및 치은염 예방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Vol.31, No2, 2001.
  5. 신형식, 치주과학, 고문사, p.179, 2002.
  6. 김병옥, 치주과학, 지영문화사, p.174, 1992.
  7. W. M. Ormes and R. C. Sherident, "Prevalence of periodontal pocket alone," J, Periodont, Vol.36, No.22, p.112, 1965. https://doi.org/10.1902/jop.1965.36.2.112
  8. 임기정, 한경윤, "외과적 치주치료중 치주질환으 로 기인된 치아별 상실률에 관한 연구", 대학치주과학회지, 제20권, p.413, 1990.
  9. B. F. Hansen, E. Bjertness, and P. Gjermo, "Chandes in periodontal desease indications in 35 yeat old Oslo citizens from 1073 to 1984," J, Clin, Periodont, Vol.17 p.249, 1990.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0.tb00021.x
  10. F. A. Caeeanza, "Glockman's clinical periodontology 7th ed, Philadelphia," The W. B. Saunders Co, 302, 1990
  11. 양병근, 한부수, "한국인 청년의 치주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제21권, 제2호, pp.303-323, 1991.
  12. 박정란, "치주건강에 대한 자각증상과 실제 치주 상태와의 관련성 조사", 마산대학 논문집, 제21호, pp.215-240, 1999.
  13. 최복희, "일부 근로자들의 치주질환 인식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2004.
  14. 윤정안, "서울.경기지역 주민의 치주 질환 인식도에 대한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989.
  15. 박인숙, "내원환자의 구강건강관리에 관한 인식도 조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2.
  16. 한수부, 백대일, "한국인의 치주질환 인식도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Vol.22, No.1, pp.191-197, 1992.
  17. 노기성, "치주질환 환자의 주소에 관한 분석", 치의학 석사논문, 조선대학교, 1994.
  18. 심지은, "산업체 근로자들의 치주관리의 필요성에 관한 조사", 보건학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2002.

Cited by

  1. A analysis on oral health behaviors of workers and Korean adults vol.12, pp.4,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839
  2. A study on the cervical abrasion in some industrial workers vol.13, pp.3,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3.387